예장 합동 제95회 총회의 가장 뜨거운 이슈 중 하나인 제비뽑기 개정안 처리가 총대들의 마찰로 결국 보류됐다.

▲예장 합동 정기총회에서 제비뽑기 선거제도에 대한 논의가 벌어지는 가운데, 총대들이 서로 발언권을 신청하면서 회의장이 소란해졌다. ⓒ김진영 기자

29일 셋째날 사무처리 중, 선거제도 개정안을 맡은 정치부가 기존 제비뽑기와 직선제를 절충한 안을 제시했으나 이에 동의하지 않은 총대들 간 실랑이가 벌어져 총회장은 비상정회를 선언했다.

정치부는 이날 선거제도 개정안으로 ‘총회 임원 선거(부총회장)는 현장에서 3개 지역별로 선거인단 30%를 제비뽑아 직접 선거를 시행하며 기타 임원은 3개 지역별로 안배해 부총회장이 지명하되 금권선거를 자행하는 총대에 대하여는 당회장권 외에 모든 공직(노회, 총회)을 영구 박탈토록 하며, 금품 수수자에 대해서는 50배 배상키로 하고 신고하는 자에 대한 보상도 이에 준하며 시행세칙에 대해서는 9인위원을 선정해 처리토록 한다’는 절충안을 제안했다.

총대들은 기존 제비뽑기 지지와 직선제 지지, 절충안 지지 등 세 부류로 갈렸다.

제비뽑기를 지지한 한 총대는 “직선제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두 가지 중 하나”라며 “정말 교단을 사랑하는 양심있는 총대들과 음산한 어둠 속에서 자기의 이익을 챙기려는 총대들”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직선제로 임원이 된 자들이 연합운동을 활발히 벌일 수 있을 것이라고 하지만 그들이 연합운동만 하고 목회지를 돌보지 않으면 교단은 어떻게 되는 거냐”며 “기도하고 목회하는 분위기를 만들려면 제비뽑기가 좋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한 총대 역시 “직선제를 도입하고 금권선거 관련자들을 강력히 처벌하자고 하지만 그건 불가능한 조치”라며 “누가 처벌하느냐. 과연 우리 총회에 그럴만한 기구와 인물이 있는가”라고 제비뽑기를 지지했다.

반면 직선제를 지지한 한 총대는 “직선제는 교단 헌법을 지키는 일이다. 제비뽑기는 현행 교단 헌법을 개정하지 않는 한 불법”이라며 “제비뽑기는 장로교의 가장 헌법적 절차인 대의, 민주, 공화정치에 위배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 “금권선거라는 부작용 역시 교단 스스로 정화시켜야 한다. 스스로 최고의 윤리와 가치를 추구한다는 교단이 이것을 해내지 못한다면 그것은 사회를 향해서도 빛과 소금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이라며 “금권선거를 자행한 사람들은 반드시 축출해야 한다”고 직선제 도입을 지지했다.

▲ 총대들 간 실랑이로 총회가 소란해지자 직선제를 지지하는 김영우 목사(가운데) 등이 서로 의논하고 있다. 김 목사는 총회 첫 날 직선제가 교단 헌법에 맞는 제도라며 총회장에 토론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 ⓒ 김진영 기자

한편 다른 한 총대는 “제비뽑기는 리더십이 검증된 사람을 임원으로 뽑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고 직선제는 금권선거라는 부작용을 안고 있다”며 절충안을 지지했다.

이후 총대들은 각자의 입장을 내세우며 총회장에게 발언권을 요구했지만, 일부 총대들이 단상에 난입하는 등 소란이 일자 총회장은 결국 비상정회를 선언하고 오후 사무처리를 중단했다.

저녁 7시 30분부터는 은퇴목사부부위로예배가 있어, 제비뽑기 개정안 문제는 남은 이틀의 일정 중 처리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