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장복 총장(한일장신대학교)

설교에 관하여 흔히 ‘예화 세 개만 있으면 한 편의 설교는 무난히 해결할 수 있다’고들 한다. 그 뜻은 예화에 자신의 생각을 첨가하고 성경의 본문을 연관시키면 한 편의 설교가 성립된다는 뜻이다. 이것은 설교자로서 가장 태만하고 지극히 부끄러운 설교에 관한 지식이다. 설교를 파멸시키는 요인이 바로 이러한 설교에 대한 견해가 난무하는 데서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설교 전문인이 되기 위하여 설교학의 기초 교육을 받은 신학생들에게 예화 설교를 중단할 것을 강력히 권면한다.


예화 설교는 요즈음 한국교회가 연례행사처럼 계속하는 부흥회에서 회중의 흥미를 북돋우고 손쉬운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시도하는 설교 형태다. 이러한 설교가 주제 설교와 본문 설교에서 가장 왕성하게 사용된 시대가 있었다. 그리고 교육 수준이 낮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할 때 가장 적합한 설교 형태로서 한 때 한국교회의 강단에서 위력을 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부정적인 측면을 생각하면 한국교회 설교 사역을 갱신해 보겠다는 설교자들에게는 합당하지 않은 설교 형태라고 봐도 무리는 아니다. 특별히 저자가 조사한 ‘설교 사역자에 대한 평신도의 의식 구조 분석’에 나타난 결과를 보면 회중의 교육 수준이 향상될수록 예화 일변도의 설교들은 환영받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특별히 본 예화 설교가 안고 있는 문제는 설교자가 거의 석의 작업이나 기타의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거기에 더하여 설교자가 임의대로 시간을 메우는 방편으로 예화가 사용되어질 수 있다는 점 등은 설교자의 발전을 저해하는 심각한 문제라고 여겨진다. 회중의 편에서 보면 말씀의 주인이신 하나님보다는 예화의 주인인 인간만을 가슴에 심은 채 예배당을 떠나는 사례들이 속출한다. 이것이 바로 설교 사역을 비참한 세계로 추락시키는 요소 중의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