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장복 총장(한일장신대학교)

설교는 기본적으로 어떤 경우에 있어서도 설교자 개인의 불편한 심기를 표현하거나, 자신의 유익을 추구하려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편이 될 수 없다. 설교는 어떤 상황에서도 자신의 감정을 발산하는 무대가 될 수 없고, 설교자는 설교를 통해 회중을 선동하여 자신을 옹호하는 개인적인 집단으로 만드는 시도를 할 수 없다.


그런데 현대의 소수의 설교자들에 의하여 설교의 본래적인 성격이 퇴색되고 있다. 무엇보다도 자신의 지식과 연구의 결핍을 회중이 보지 못하게 하는 방법으로 신비주의를 도입하는 사례를 본다. 방언과 예언의 신비한 현상을 유도하여 그것이 말씀 위에 군림하도록 하는 실수를 범하고 있다. 그것만 아니다. 자신을 따르지 않는 사람들을 향하여 직접적인 지적을 하면서 때로는 위협을 한다.

순종이라는 미명 아래 설교자를 맹종하도록 한다. 그리고 자신의 권위를 절대화하고 비판자를 향한 저주를 예사롭게 행하는 모습을 본다. 하나님의 이름을 빙자하여 헌금을 강조하며 수집하는 무대로 설교를 활용한다. 이럴 때는 마치 설교자가 하나님의 둔갑한 듯한 모습을 연출한다. 이러한 비참한 모습을 가리켜 설교가 ‘목회자의 뜻’을 펼치는 수단의 도구가 되었다고 한다.

한때 목회자들의 사회에서는 부끄러운 이야기들이 오고갔었다. 부흥집회를 위하여 강사를 모실 때 헌금을 많이 하게 하는 강사를 초빙하면서 수입을 어떻게 분배한다는 약속을 했던 시절도 있었다. 생각하면 얼마나 한국교회의 강단이 철저하게 탈선했었는지를 잘 말해주는 사례이다. 이처럼 설교가 목회 수단으로 이용되는 효과적인 이기(利器)로 전락한다면 거기에는 밝은 내일이 있을 수 없다. 오직 어둡고 침울한 장래만이 있을 뿐이다.

언제나 설교는 “은혜의 효율적인 방편으로서 하나님이 정해주신 것”이지 결코 인간적인 욕구를 채우기 위하거나 설교자의 정신적 피곤을 풀기 위한 수단이 아니다. 자신을 통하여 하나님이 말씀하신다는 의식을 갖춘 설교자는 어떤 경우도 설교를 목회의 방편으로 전락시킬 수 없다. 언제 어디서나 설교자 진행되는 순간에는 설교 자체가 설교자의 권위나 목회를 위한 수단으로 전락할 수 없다.

비록 설교자의 입을 통한 설교지만 그 주인은 절대로 설교자가 아니기 때문이다. 1980년대 후반에 설교학계에 새로운 감각을 일깨웠던 데이비드 버트릭(David Buttrick)은 개혁자들의 설교 신학을 그대로 이어받아 그의 ‘설교학’에서 다음과 같은 말을 우리에게 하고 있다.

“우리의 설교 가운데서 그리스도는 교회에 말씀을 계속하신다. 이는 그 말씀이 교회를 통하여 세상에 들려지기 위함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설교는 은혜의 방편이다. 그러므로 설교는 내가 말하되 내가 주인이 아니다. 오직 그리스도께서 나를 통하여 말씀하실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