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석한 주요 인사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신태진 기자

KOICA(한국국제협력단)와 외교부가 주최하고 KCOC(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세이브더칠드런·월드비전이 주관한 ‘2014 인도적 지원 정책포럼’이, ‘인도주의, 원칙을 실천으로!’라는 주제로 27~28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제1대연회실에서 열리고 있다.

27일 Simon Andrew Ecclesshall IFRC 재난위기관리국장은 ‘국제사회의 인도적 지원 활동의 위기와 도전과제’라는 주제의 1부 발표에서 “재난의 패턴이 바뀌고 있으며 새로운 위험요소가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비상대책 모의훈련에 투자를 해야 한다. 또 인도적 활동가들은 군대나 민간 부분의 새로운 주체들과 함께 편입해서 일할 수 있는 방법도 개발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인도적 지원의 배분이 현지의 필요에 따라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공여국 정부에 의해 정치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따라서 각 국가들로 하여금 인도적 원칙을 준수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또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피해지역 주민들에게 목소리를 내도록 도와줄 필요도 있다. 공여국 정부들에 대해서는 로비를 함으로 예측 가능한 기부를 하도록 해야 한다. 인도적 주체들에게 자유를 허락하여 현지의 필요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운용해야 한다”고 했다.      

Stuart Katwikirize 월드비전 동아프리카 인도적지원 총괄책임자는 ‘만성적 식량위기에서의 인도적 지원 활동’이라는 주제의 강연에서 “아프리카의 식량위기는 성경에 나오는 ‘죽음의 그림자’와 같은 상황이다. 남수단은 인구가 900만 명인데, 400만 명 이상이 식량위기에 처해 있다. 식량위기에는 인명구조 활동 뿐 아니라 생계 지원도 같이 이뤄져야 한다. 대부분 구호단체들이 단기적 대응만 하는 경우가 많은데, 장기적인 계획이 있어야 한다”며 “아프리카의 식량 위기의 원인은 생산의 실패, 기후변화, 분쟁 등이 있다”고 했다.

또 “기아는 민주주의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정부가 국민을 돌보지 못한 경우에 발생한다. 기아의 위험에 처한 국가는 더디고 부적절하게 대응해 왔다. 기아재난이 선언된 이후에 대응한 것이다. 하지만 기아재난이 선언되기 전에 이미 많은 사람이 사망했다”며 “긴급대응은 많으나 복구에 대한 지원은 부족한 실정이다. 다행인 것은 미국은 아지만, 유럽의 공여국들은 현금으로 지원하고 있다는 것이다. 만성적 식량위기는 생명구원도 필요하지만 생계보호도 동시에 이뤄져야 하는데, 실제로는 그렇지 못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NGO 연대를 활용한 지원이 필요하다. 독자적으로 활동하면 정부에 의해 불이익을 당할 수 있다. 또 불안한 치안 때문에 인도적 접근성이 제한될 수 있기 때문에, 현지 파트너에게 자원을 제공하는 원격관리를 도입해야 한다. 또 전 세계가 테러와의 전쟁을 하고 있는데, 공여국들도 인도주의적 문제에서 안보 문제로 접근하고 있다. 미군이 소말리아 반군에게 물자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원 제재를 했고, 이 때문에 26만 명이 사망했다. 나는 정책의 변화가 얼마나 큰 피해를 가져오는지를 알리고 있다”고 밝혔다.

이 외에도 이날 백은성 글로벌케어 사무총장은 ‘자연재해에서의 인도적 지원 활동’을 주제로 강연했고, 3부 패널토론에는 전지환 월드비전 국제구호팀장, 박미형 IOM 서울사무소 소장, 권구순 서울사이버대학교 교수, 이연수 KOICA 다자협력인도지원실장 등이 패널로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