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와 진보를 넘어선 한국교회 여러 인사와 단체들이 3·1절 90주년을 맞아 평화와 통일을 위해 한 목소리를 내자는 취지로 ‘평화와 통일을 위한 한국교회 3·1선언’을 발표하고 27일 서명자 연합예배를 드렸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이 예배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

사회책임은 같은 날 논평을 발표하고 이번 선언문 내용에 대해 대체적으로 환영하면서도, 일부 오해를 부를 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지적하고 나섰다. 사회책임은 먼저 이 선언문이 북한 인권에 대해 언급하고, 탈북자들의 강제송환을 반대하기 위해 중국과 러시아에 난민 지위 인정을 요구하고, 한국을 향한 북한의 군사적 위협을 강력하게 비판하고 북한이 6.25전쟁에 대한 책임이 있음을 인정하라고 요구한 점에 대해서는 환영했다. 사회책임은 “북한문제에 대한 한국교회의 입장을 하나로 통일시키려고 노력하신 점에 대해 깊은 경의를 표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사회책임은 “이념대결을 죄악으로 간주하고 이를 참회한다는 언급은 오해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념대결이 불가피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 사회책임은 “과거 군사정권시절 우리 사회가 독재에 대해 저항하는 세력과 독재 앞에서 침묵하는 세력으로 분열되었을 때 이 분열이 죄악이 아니었던 것처럼, 우리 사회가 북한 김정일 수령 독재에 대해 저항하는 세력과 침묵하는 세력으로 나뉘어지는 부분은 이념대결이라고 해서 참회해야 할 부분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그래서 이 부분은 우리가 하나되지 못함에 대한 죄의 고백이라는 의미의 원론적인 입장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회책임은 또 남북한 사이의 기존합의들이 존중되고 6·15선언과 10·4 선언을 계승·발전시켜야 한다는 점도 많은 논의가 필요한 부분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는 한편, 한국 정부가 대북 식량 및 비료 지원 등 인도적 지원을 즉각 재개하고 매년 정부예산의 1%를 대북지원 및 개발협력 기금으로 배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원칙적으로는 좋은 말이지만 북한과의 관계가 정상화되지 않은 지금의 시점에서 이러한 주장을 하는 것은 자칫하면 다시 지난날의 ‘햇볕정책’으로 되돌아가라는 주장으로 오해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사회책임은 “이렇듯 우리는 이번 성명서의 불분명한 내용에 대한 염려가 있다”며 “대부분의 서명자들은 이러한 점들에 대해 분명한 분석 없이 서명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런 점에서 우리는 이번 성명이 마치 햇볕정책을 지지하는 것으로 확대 해석되는 일이 없기를 바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