팅커벨 피터팬
▲만화 <피터팬>에 나오는 팅커벨. ⓒ픽사베이
팅커벨 증후군(Tinker Bell Syndrome)을 가진 아동이 있다. 이 증후군은 의지력이 약하여 주변의 어른이나 친구들에게 관심을 더 많이 받고자 한다. 어릴 적부터 활동적이고 수다스러우며 어른들에게 관심을 받고 싶어하는 증후군이다.

이런 증후군을 가진 아동이라면, 정상적인 성장이 이루어지도록 서둘러 개선해 주어야 한다. 팅커벨 증후군은 의지력이 약한 아동, 자주성이 적은 아동, 이상적인 생각이 많은 아동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팅커벨 증후군을 가진 아동은 다음 심리적 상태를 중심으로 원인을 이해해야 한다.

1. 사회성의 발달이 늦은 결과

팅커벨 증후군을 가진 아동은 사회성의 발달이 늦은 것으로 보아야 한다. 사회성 발달이란 신체발달과 심리적인 발달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신체는 발달하는데, 그에 걸맞게 심리가 발달하지 못한 불균형적 현상을 보이는 것이다.

독립성이 적은 아동에 대해 부모는 “우리 아이는 제 도움 없이 스스로 알아서 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어요, 아기 아빠도 직장을 다니고 저도 직장을 다니니까 언제나 옆에 붙어 있을 수도 없으니 걱정이 돼요”라고 말하는 편이다.

아이가 독립성이 부족하고 자율성이 없어 속상해하는 부모들이 많이 있다. 아이의 의존성은 선천적인 것이 아니라, 자라온 환경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아이는 돌이 지나면서 자아상이 생기고 스스로 하고 싶은 것들이 많아진다. 자립심은 이 시기에 만들어진 자신감과 긍정적인 자아상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때 아이를 너무 보호하려 하거나, 부모의 뜻대로 아이를 강압적으로 대하면 자아가 확립되지 못하고 의존적인 아이가 된다.

아이가 하기 전에 부모가 알아서 다 해주고 아이를 품에서 보호하려고만 한다면, 옳지 못한 부모의 행동이다. 아이가 혼자 무엇을 해보기도 전에 자꾸 먼저 손을 잡아준다면, 아이 혼자서 할 수 있는 것이 줄어들고 자신감도 사라지는 것이다.

2. 자아가 성장하지 못한 결과

팅커벨 증후군을 가진 아동은 내면이 성장하지 못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이는 부모로부터 존재 인정이 결여된 결과로 볼 수 있는 점이다.

이런 현상은 자신이 가진 실제 이상으로 더 많이 남에게 보이고 싶어하는 아동이다. 이들은 어떤 상황에서든지 주변의 관심을 끌려 하고, 거기에 중심이 되려는 성향을 가진 때문이다.

그래서 이들에게는 자기 자신이 갖고 있는 그대로의 모습보다는 과도하게 드러내고자 하는 욕동이 발동하고 있다. 그러면 이들의 실제 이상으로 보이려는 태도는 진실치 못한 태도나 허영심이 많은 인격과 관계된다.

그리하여 이들은 주의를 자기에게 끌기 위해서 가장 통상적인 생각을 대변한다. 그런 일을 행하고 또한 외부적으로 나섬에 있어 흔히 남의 눈에 띠는 형태를 취한다. 그런가 하면 그렇게 주변의 관심을 끌 수 있는 또 다른 태도를 취하여 이야기한다.

이들이 취한 행동은 자기만족적인 자만이며, 결국 자신의 인격을 높이기 위하여 환상적으로 꾸며진 이야기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연출하는데 있어서는 그 상당한 부분이 공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3. 자존감이 낮은 상태

팅커벨 증후군을 가진 아동은 자존감이 낮은 상태로 보아야 한다. 자존감이 낮아 자기 일을 스스로 하지 못하고 강한 친구에게 의존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렇다면 이렇게 행동하는 원인은 무엇일까? 심리학적 관점에서 팅커벨 증후군은 대체로 자존감이 낮아진 상태에서 남에게 자신을 의지하려는 습관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한다.

자존감이 낮은 상태는 주로 어린 시절에 부모님의 사랑을 충분하게 받지 못했거나, 받지 않고 있다고 생각이 들면, 처음에는 기분이 상해 다양한 장난을 치는 것으로 부모님의 관심을 끌려고 하게 된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도 자신에게 관심을 주지 않는다면, 자신은 사랑을 받을 자격이 없는 존재인가 하는 두려움에 빠지면서 자신을 부정하게 된다.

때로는 자신에게 쏠렸던 관심이 동생이나, 반려견 등과 같은 대상에게 빼앗겼다는 생각이 들면, 그 대상을 질투하고, 괴롭히는 행동을 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 주변 사람들이 알아채지 못하게 교묘하게 괴롭히기도 한다.

여기에는 근본적인 문제가 자리하고 있지만, 일단은 자신의 욕구가 거절된 경우로 보아야 한다. 아동의 기본적인 욕구는 먹고, 갖고, 놀고 싶은 것에 한정되는 편이다. 아동은 먹는 욕구를 일단 충족해야 하고, 그 다음에 갖는 소유욕구, 그리고 놀고 싶은 욕구가 충족되어야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다.

김충렬
▲한국상담치료연구소에서 만난 김충렬 박사.
4. 정리

팅커벨 증후군을 가진 아이를 둔 경우에 해당되는 부모라면, 전술한 원인을 참고해 스스로 반성할 필요가 있다. 부모가 올바르게 양육을 한다 해도 반드시 원인이 될 만한 조건이 얽혀 있기 때문이다. 부모가 자신을 냉정하게 분석해야 개선 가능성이 보인다.

김충렬 박사(한국상담치료연구소장, 전 한일장신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