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로구청 게시대에 설치된 ‘동성애 광고’. ⓒ이모 씨 블로그

재선을 노리는 오바마 美 대통령이 ‘동성결혼 찬성’ 카드를 꺼낸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도 동성애 합법화를 위한 ‘전략적 움직임’이 계속되고 있다.

민주통합당 청년 비례대표 선거에도 출마했던 동성애자 이모 씨는 ‘서울시민 중 누군가는 성소수자입니다-누구든지 성적지향을 이유로 차별받지 않을 권리가 있습니다’ 라는 광고를 서울 시내버스와 거리 현수막, 지하철 광고판 등에 설치를 계속 시도하고 있다.

이 ‘동성애 광고’는 3개 노선이 지나가는 지하철 종로3가역에서는 거부됐지만, 한겨레·경향 등 좌파 매체에는 이미 광고가 나가고 있다. 또 서울 시내버스 1천대의 운전석 뒤편 화면에 해당 광고가 허가됐고, 서울시내 12개 자치구 공용 게시대에서도 한 달간 현수막을 설치할 수 있도록 했다.

이씨는 서울시장 관사 앞, 서울역·이대역 앞 등 주목도가 높은 곳을 골라 현수막을 설치 중이다. 그는 ‘동성애자 차별금지’가 아니라 ‘성적지향에 의한 차별금지’라며 반대하는 이들을 향해 ‘사실 왜곡’이라는 논리를 펴고 있지만, 사실상 같은 의미이다.

이씨는 지난 2008년 촛불집회 당시 ‘전·의경 제도 폐지’를 요구하며 육군으로 전환복무를 신청해 집행유예를 받은 전력이 있으며, 동료 부대원 성추행 혐의로 기소되기도 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광고 신청인 이모 씨가 ‘동성애자에 대한 서울시의 입장’을 묻자 “모든 시민은 평등과 차별금지를 명시한 헌법과 성적지향 등 구체적 차별금지 대상을 명시한 국가인권위원회법 등에 의해 부당하게 차별받지 않을 권리가 있다. 우리 시는 이러한 법 규범을 존중하고 있으며, 앞으로 성소수자를 포함한 시민의 권익 증진에 많은 관심을 갖고 어려움을 경청하여 정책에 반영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으니 관심을 갖고 지켜봐 달라”고 답했다.

남성 동성애자단체 ‘친구사이’ 측은 박 시장을 소위 ‘성소수자 축제’인 퀴어문화축제에 초청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박 시장이 지난 2010년 ‘서울시장이 되면 동성애자 단체들을 찾아오겠다’고 약속한 것을 잊지 않기를 바란다”며 “이번 퀴어문화축제에 시장님이 참석해 축사를 해 주셨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서울시 측은 “충분히 검토하겠다”고 답변하기도 했다.

12개 자치구에서 허가된 ‘공용 게시대 활용법’도 서울시청이 직접 알려준 방법이다. 현재까지 광고 신청을 받지 않은 자치구는 서초구청이 유일하며, 영등포구는 1차 반려됐지만 ‘동성애’를 ‘성적지향’으로 수정하면 허가하겠다고 밝혔다. 이들 자치구는 일단 현수막 설치를 허용했지만, 민원이 발생하면 다음번에 다시 게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이같은 움직임을 놓고, 동성애자들에 대한 차별은 있을 수 없지만 자칫 이것이 법제화를 통해 ‘동성애 확산과 인정, 그리고 유행’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시민들은 우려하고 있다.

가정을 파괴하고 성경적 가치관에 반하는 동성애 확산을 우려해온 시민단체들은 “이처럼 동성애자들은 조금씩 활동반경을 넓히다 동성애와 이성애를 모두 정상으로 인정하라는 ‘동성애 차별금지법’ 제정을 추진할 것”이라며 “동성애자들은 철저히 자신들을 지지하는 정치세력들을 등에 업고 적극 활동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그러나 이를 막아서는 사람들의 소리는 크지 않은데, 미국에서도 이런 식으로 동성애 결혼까지 허용된 주(州)가 6곳에 달한다”며 “깨어있는 시민들이 서울시와 각 자치구에 강력히 항의하지 않으면 결국 동성애를 인정하는 법마저 통과되고 말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까지의 상황은 동성애자 1명의 전방위적 ‘홍보 활동’을, ‘며느리가 남성이 되는’ 사태를 대부분 찬성할 리 없는 서울시민 1천만명의 무관심 때문에 막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