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가 진행되고 있다. ⓒ김진영 기자

지난해 10월 창립된 ‘온 신학회’(회장 김명용 박사)가 20일 오후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총장 김명용) 세계교회협력센터 미션홀에서 ‘전문위원 세미나’를 개최했다. 임희국(장신대 교회사)·최태영(영남신대 조직신학) 교수가 강사로 나섰다.

“안동교회, 미국식 아닌 한국의 기독교로”

임희국 교수는 ‘Glocalization(세계교회&한국교회의 신학)을 추구하는 온 신학: 한국 장로교 초창기(20세기 초반) 기독교인이 된 유림 선비들의 신앙 범주’를 제목으로 발표했다. 임 교수는 이상재, 김정식, 유성준 등 서울 사대부들과 김약연, 문병규 등 북간도에 이주한 선비들, 그리고 퇴계 후손 이원영의 삶과 이들의 기독교 신앙을 소개했다.

임 교수는 “이상재를 비롯한 정부 관리와 사대부 양반들이 1904년 연동교회로 출석해 교인이 된 것은, 연동교회의 역사 뿐만 아니라 한국 개신교 역사에서도 획기적인 사건”이라며 “당시 연동교회 교인 중에는 천민들이 많았다. 그렇기에 이는 교회 내부 변혁이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사회의 반상계급 타파에도 선구적이었던 것”이라고 했다.

그는 또 “1909년도에 설립된 서울 안국동의 안동교회는 ‘양반교회’라는 별명이 붙어 있었다. 당시 북촌에 사는 양반들이 이 교회의 교인이 되었기 때문”이라며 “구한말에 강계부사를 지낸 한필상 장로, 중추원 참의를 지낸 윤치소 장로, 내부대신을 지낸 유길준 등 정부 고관 출신들이 다수였다”고 했다.

임 교수는 “양반교회인 안동교회에는 남다른 정신문화가 전승되고 있었다. 그 가운데 하나가 ‘주체성’”이라며 “안동교회는 처음부터 선교사 없이 한국인 스스로 모든 것을 일구어 나갔기 때문이다. 초대 목사부터 한국인 한석진 목사였다. 미국식이 아니라 한국의 기독교로, 또 서울 안국동의 안동교회로 자리매김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퇴계 후손 이원영에 대해서는 “그의 곁에는 언제나 성경이 있었다. 그는 세례받은 지 1년 안에 신구약성경을 통독했고, 그 이후로 성경이 그의 손에서 떠난 적이 단 한 차례도 없었다”며 “그의 사역에는 언제나 성경이 중심에 있었고, 이는 안동 지역에 ‘성경기독교’ 전통을 세우는 데 커다란 역할을 했다”고도 강조했다.

▲임희국 교수(왼쪽)가 발표하고 있다. 오른쪽은 사회를 맡은 윤철호 교수. ⓒ김진영 기자

“한국적 신학 제대로 정립해야”

이어 ‘한국신학으로서의 온 신학’을 제목으로 발표한 최태영 교수는 “한국교회는 그 동안 여러 가지 신학적 흐름을 형성했는데, 어떤 의미에서는 한국적 신학을 형성하기 위해 달려왔다고 할 수 있다”며 “지금까지 여러 형태의 한국적 신학이 시도됐지만, 바람직한 한국적 신학은 한국교회의 모든 신학적 흐름을 수렴하면서 동시에 한국적인 독창성을 잘 반영하고 있어야 한다”고 했다.

최 교수는 “곧 하나님의 계시와 세계교회의 신학, 그리고 한국적 맥락이 어우러져 상호 만남과 대화 가운데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결실이 한국신학이라 할 것”이라며 “한국교회가 온 세계의 교회와 사회에 신학적인 기여를 하겠다면, 반드시 한국적 신학을 제대로 정립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이제 그 이름을 나타내기 시작한 온 신학이 한국교회의 신학으로서 그 사명을 제대로 감당하려면 한국적 신학으로 우뚝 솟아나야 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온 신학은 지금까지의 한국신학을 형성하려는 방법론을 깊이 연구해 최선을 모색해야 하는데, 그것은 성경에 계시된 하나님의 구원의 진리를 잘 보존할 뿐만 아니라, 예언자적 정신으로 교회와 사회를 개혁하며, 하나님의 나라의 영원한 생명이 한국과 온 세계에 풍성히 공급되도록 맏드는 것이어야 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아울러 그는 ‘온 신학’의 바람직한 방향으로 △온전한 신학 △올바른 신학 △따뜻한 신학 △쉬운 신학을 꼽았다. 이 중 특히 ‘온전한 신학’에 대해 그는 “통합해 중도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양 극단이 그대로 보존·병행되게 하는 것”이라며 “그래야만 역동적이고 살아 있는 신학으로 기능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