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음표 소녀 앞으로 참고 중복 요청 문제 응답 작업 중요성 기대 질문 정보 우리 아이 왜 이럴까요 이중성 양면성 궁금 김충렬
남의 흉내를 잘 내는 아동이 있다. 바람직하지 않은 말투나 행동을 흉내를 내는 아동이다. 아동의 흉내는 학습의 일환이기도 하지만, 바람직하지 않은 측면은 제어해 개선해 주어야 한다. 이를 방치하면 잘못된 습관으로 고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남의 흉내를 잘 내는 아동은 모방을 잘 하는 아동, 관심을 받고자 하는 아동, 행동통제가 필요한 아동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남의 흉내를 잘 내는 아동은 다음과 같은 심리적 원인에서 이해해야 한다.

1. 욕구불만 상태

남의 흉내를 잘 내는 아동은 욕구불만의 상태로 볼 수 있다. 욕구불만은 아동에게 심리적 결핍을 의미한다. 욕구불만은 나중에 심리적 결핍을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

아동은 자기 나름대로의 욕구를 갖고 있다. 이런 욕구는 부모들에게 합당하게 생각되는 것도 있고 그렇지 못한 것도 있다. 그러나 아동의 욕구가 어떤 것이든 간에 욕구의 충족은 아동의 마음에 중요하게 작용한다.

아동의 욕구는 내면의 깊은 동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반면 이런 욕구가 충족되지 못한 채 쌓이게 되면 정서의 순환을 막게 되는 결과로 아동은 부정적인 정서를 표출하게 되는 태도를 취하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아버지가 어머니에게 야단을 치면, 아이도 타인에게 야단치는 태도를 취하게 된다. 이런 현상은 아마도 아이들이 소꿉장난을 하게 되면 부부간의 문제들이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이다.

뿐만 아니라 유치원에서의 교사들이 어떻게 아이들을 대하는지 문제도 아이들이 그 흉내를 내는 데서 모두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는 아이들이 모두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부정적인 것을 쉽게 학습하는 원리이면서도 이런 방식으로 아동은 자신의 욕구불만을 해소하려 한다. 그런 의미에서 단순히 아이의 지도뿐 아니라, 부모들이 경계해 생활 태도를 고치는 것도 생각해야 할 일이다.

2. 욕구 충족의 문제

남의 흉내를 잘 내는 아동은 기질의 정도를 넘어, 욕구를 충족하고 싶어 하는 행동의 일환이라고 볼 수 있다. 어떤 행동을 통해서든 자신의 부족한 심리적 욕구를 충족하려 한다는 점에서다.

아동의 욕구불만은 그 충족을 요구하는 것이다. 다만 어떤 방법으로 그것을 실천할 수 있는가의 문제가 있다. 그래도 부모가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그것은 아동에게 욕구가 충족되지 못하면 심각한 정신장애가 유발된다는 점이다.

아동의 기본적인 욕구는 먹고, 갖고, 놀고 싶은 것에 한정되는 편이다. 아동은 먹는 욕구를 일단 충족해야 하고, 그 다음에 갖는 소유욕구, 그리고 놀고 싶은 욕구가 충족되어야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다.

이런 욕구는 어떤 환경에 따라 가능할 수도 있고 그렇지 못할 수도 있지만, 불충족의 경우 그에 상응하는 심리적 장애가 발생한다는 것이기에, 부모에게 상당한 지혜가 요구되는 부분이다.

요즘의 아동에게는 음식이 풍부한 편이기에 먹는 것에는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비싼 장난감을 갖고 싶어 하거나 놀고 싶은 부분에서는 그 충족이 쉽지 않을 것이다.

다만 아동의 따라 욕구적인 관심과 편차가 드러나는 것은 사실이다. 아동은 먹는 것에 관심을 보이는 아동이 있는가 하면, 유달리 갖는 것에 관심을 보이는 아동, 그런가 하면 대체로 모든 아동은 노는 것에 관심이 많은 편이다. 이런 세 가지에 어떤 것 하나라도 불충족이 되면 욕구불만이 초래되는 것이다.

3. 신호 체계가 원만하지 못한 상태

남의 흉내를 잘 내는 아동에게는 부모와 신호 체계가 문제가 있다고 보아야 한다.

신호 체계(信號體系)란 외부로부터의 자극이 감각기관을 통해 대뇌 피질에 전달되며, 그에 해당하는 반응을 하는 신경생리학적 활동 체계이다. 자극이 감각기관을 통해 대뇌로 전달되는 신경생리학적 체계이다.

그러면 부모와 아동이 생활하면서 신호를 보내고 받으면서, 신호체계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신호체계는 부모와 아동 간에 보이지 않게 작용되는 정신적인 것이다.

보이지 않는 신호체계를 통해 부모와 아동 간에는 정신적 특성이 충족되기도 하고, 결핍이 되는 결과를 드러내기 때문이다.

부모와 아동의 신호 체계 관점에서 중요시되는 것은 부정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부모의 부정적 자극이 아동에게 축적되고 있음을 상정한다.

부모와 아동의 정신적 신호체계에서 부모가 많이 사랑한다고 할 때, 아동은 그것을 받아서 내면에 충족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데 주는 만큼 받지 못하는 형태가 된 것이다.

이것의 원인이 중요한데, 아마 부모가 자기중심 방식을 아동을 양육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런 경우 아동의 개선을 연구하여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 부모의 방식을 이해하고 따라야 한다는 강요적인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는 점이다.

김충렬
▲김충렬 박사. ⓒ크리스천투데이 DB
4. 정리

남의 흉내를 잘 내는 아동을 둔 경우에 해당되는 부모라면, 전술한 원인을 참고해 스스로 반성할 필요가 있다. 부모가 올바르게 양육을 한다 해도, 원인이 될 만한 조건이 얽혀 있기 때문이다. 부모가 자신을 냉정하게 분석해야 개선 가능성이 보인다.

김충렬 박사(한국상담치료연구소장, 전 한일장신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