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플란트
앞니는 눈에 잘 보이는 위치적 특성상 상실되었을 때 티가 심하게 나고 발음이 새는 등 느껴지는 불편함이 더 크기 때문에 어금니에 비해 더 빠른 치료결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임플란트는 잇몸을 절개하고 뼈에 구멍을 뚫어야 하는 만큼 어려운 치료라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 특히 앞니의 경우는 더 어렵다고 할 수 있는데 다른 부위와 달리 치아는 물론 잇몸의 형태까지 어색하지 않게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앞니가 상실되면 기본적으로 얇은 바깥쪽 치조골의 흡수가 빠르게 진행되는데 이러한 현상에 대비하지 않을 경우 시술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임플란트 기둥이 보이는 등의 심미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수플란트 치과병원의 김선영 대표원장은 "3차원 CT를 통해 잇몸뼈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여 치료 계획을 확립하고 바깥쪽 치조골이 흡수되어 잇몸의 높이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확한 3D(전후, 좌우, 상하)식립이 필요하고 골 이식재를 이용해 겉면 뼈를 보강하여 높이와 두께가 유지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자연치아와 구분이 힘들만큼 완성도 높은 치아 보철물을 제작하여 이질감이 없어야 하며, 임플란트 시술 후 자연치아와 같이 둥근 모양으로 잇몸이 자연 재생되지 않을 경우 잇몸 연조직을 이식하거나 잇몸속의 치아 형태(emergence profile)을 수정하여 잇몸의 모양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는 설명이다.

과거에는 심미적 완성도를 위해 앞니에는 임플란트보다 브리지를 선택하는 사례가 많았으나, 멀쩡한 자연치아를 삭제해야 하는 브리지의 단점 때문에 최근에는 심미적 완성도가 높은 앞니 임플란트를 선택하고 있는 추세다. 심미적 완성도는 말 그대로 눈에 보이는 것을 보기 좋게 만든다는 것으로 이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눈으로 확인 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

일반적인 소비심리로 인해 임플란트를 결정할 때 좀 더 저렴한 비용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다. 김 원장에 따르면 난이도가 높은 앞니 임플란트인 만큼 비용을 우선시 하는 것보다 얼마나 정확하게 진단하고 안전하게 진료할 수 있는지를 따져 보는 것이 현명하다는 것.

김 원장은 "최근 오래된 앞니 브리지에 문제가 생겼거나 임플란트가 잘못되어 재수술을 위해 내원하는 환자가 늘고 있다. 겉면 뼈가 흡수되어 임플란트가 보이는 경우 환자 입장에서 느끼는 심리적 스트레스도 매우 높다. 이런 경우 기존의 임플란트를 제거하고, 부족해진 잇몸 뼈를 정상에 가깝게 재건한 후 좀 더 나은 모습으로 재수술 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그 치료기간이 늘어나면 비용 또한 매우 높아질 수 있으니 정확한 진단과 안전 진료 등이 매우 중요하다."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