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성애, 동성결혼
▲게이 퍼레이드에 참석한 동성커플의 모습. ⓒ미국 크리스천포스트
미국 메릴랜드 소재 존스홉킨스대학교 교수진들이 최근 “게이, 레즈비언, 트랜스젠더들이 특정한 성적 지향성이나 성 정체성을 갖고 태어난다는 사실을 뒷받침할 만한 충분한 과학적 증거가 없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존스홉킨스대학교 정신의학 분야의 전임 교수인 로렌스 메이어 박사와 정신의학 및 행동과학 교수인 폴 맥휴 박사, 애리조나 주립대학교 통계학 및 생물통계학 교수 등이 작성한 143쪽 분량의 이 보고서는 22일(현지시간), 과학기술 전문지 '뉴애틀란티스'(New Atlantis)에도 실렸다.

이들은 ‘성적 정체성과 성불쾌감이 자연적인 특성 때문에 생긴다’는 주장, 또 ‘차별과 사회적 낙인이 동성애적 애착을 가진 이들이나 트랜스젠더들이 정신건강 문제로 고통받는 유일한 이유’라는 주장에 대해 각각 연구했다.

먼저, 보고서는 “이성애적, 동성애적, 양성애적 이끌림은 사람들이 태어날 때부터 타고난 성질이라는 주장의 근거가 충분하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과거에 진행된 전염병학 연구를 자세히 살폈다. 과거에 진행된 이 연구는 유전적인 요소와 성적인 정체성이나 행동들 간의 조심스러운 관계를 발견했다. 그러나 보고서는 “이 같은 연구가 특정한 장르를 나타내는 중요한 증거로 제시될 수는 없다”고 언급했다.

보고서는 태아의 성장이나 호르몬과 같이, 가정된 생물학적 원인의 증거를 살폈으나 이는 매우 제한적이었다고도 덧붙였다.

이에 대해 보고서는 “동성애적 뇌와 이성적애적 뇌를 연구한 결과 일부 차이점을 발견했다. 그러나 이 같은 차이점들이 심리적 또는 신경생물학적 특징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인 요인 때문이라기보다 선천적인 것임을 나타내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또 “비이성애와 관련되어 나타난 환경적 요인 한 가지는 어린 시절 성적인 학대를 받은 것이었다. 이는 비율이 높았다”고 했다.

그러나 실제로 일부 증거들은 성적 정체성이 매우 유동적임을 나타냈다.

미국청년기건강추적조사(National Longitudinal Study of Adolescent to Adult Health)가 1994년부터 1995년에 당시 7세부터 12세 아이들을 대상으로 성적 지향성을 조사하고 13년 후 이들이 성인이 된 2007년부터 2008년 사이 다시 이들의 성적 지향성을 추적해 조사한 결과, 어릴 때 동성애적인 그리고 양적애적인 애착을 가졌던 성인 남성 응답자의 80%가 이성애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어릴 때 양성애적인 애착을 가졌던 성인 여성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이성에 대한 매력을 느낀다고 답했다.

메이어 박사는 최근 크리스천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성적인 정체성이 유동적이며, 사람들은 자라면서 변화한다는 개념이 있다”면서 “이성애자라고 밝힌 사람들 가운데 일부는 나중에 동성애자가 되었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여기서 중요한 점은 이같은 것들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유동성과 융통성을 가진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쌍둥이의 일치율에 초점을 둔 연구들도 분석했다. 학자들은 정신의학적 유행병 학자인 니클라스 랭스트롬 박사와 동료들이 3,826 쌍의 일란성·이란성 동성애 쌍둥이들을 분석한 2010년 연구에 주목했다.

쌍둥이들을 분석한 결과, 쌍둥이 중 최소 한 명이 동성애적인 이끌림을 가졌을 때, 둘 다 동성애적인 이끌림을 가진 것으로 나타난 경우는 일부분이었다.

남성 일란성 쌍둥이와 남성 이란성 쌍둥이의 경우, 일치율이 각각 18%와 11%로 나타났으며, 여성 일란성 쌍둥이와 여성 이런성 쌍둥이의 경우 일치율은 각각 22%, 17%였다.

보고서는 “쌍둥이에 관한 연구를 요약하면, 성적 정체성이 개인의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실에 대한 신뢰할 만한 과학적 증거가 없다고 말할 수 있다”면서 “그러나 유전자가 성적 정체성에 영향을 준다는 증거는 있다”고 했다.

보로서는 “따라서 ‘동성애자들은 원래 그렇게 태어났는가?’라는 질문에는 설명이 필요하다. 이 질문이 한 사람의 성적 정체성이 유전적으로 결정되느냐를 의미한다면, 동성애자 또는 이성애자인 누군가가 ‘원래 이런 식으로 태어났어’라고 말할 수 있는 증거는 사실상 없다. 그러나 특정한 유전적 프로필이 동성애자가 되거나 혹은 동성애적 행동을 할 수 있는 경향성을 키울 수 있다는 일부 증거는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의 3번째 부분에서 학자들은 트랜스젠더의 정체성과 신경학적 차이점들 간의 연결고리를 보여주기 위한 시도와 관련된 연구들을 분석했다.

비록 일부 연구들에서 생물학적으로 반대성을 가졌다고 밝힌 사람들의 뇌는 활성화 패턴이 일반인들과 다르다는 사실들이 밝혀지진 했으나, 학자들은 “이러한 연구들은 아직 뇌 활성화와 성적인 정체성 혹은 자극 간의 연결 가능성에 대한 정상적인 결론을 도출하기에 충분한 증거를 갖고 있지 않다”면서 “결과들은 매우 논쟁적이고 혼돈스럽다”고 했다. 

보고서는 “이러한 질문은 단순히 트랜스젠더인 이들의 뇌와 생물학적 성에 맞는 성적 정체성을 가진 이들의 뇌를 비교했을 때 차이점이 있는지 여부를 알아내려는 것이 아니”라며 “성적 정체성이 자신의 생물학적 정체성에 맞지 않는다고 해도, 이것이 원래 고정된 선전적인 것인지, 생물학적 특징은 어떠한 지, 환경적·심리적인 원인이 이러한 경우의 성적 정체성 발달에 영향을 미쳤는지 알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트랜스젠더 성인들 안에 있는 신경학적인 차이는 유전자나 태아기 때의 호르몬 노출 등 생물학적 요인들의 결과일 수도 있다. 또는 어린 시절 받은 성적 학대 등 심리적·환경적인 요인들 때문일 수 있다. 아니면 2가지가 복합돼 나타난 결과일 수 있다”고 했다.

메이어 박사의 공동저자인 폴 맥휴 박사는 성적 정체성과 성전환수술 등의 주제와 관련해 앞서 “성전환은 치료를 받을 만한 정신 질환이며, 성을 전환하는 것은 생물학적으로는 불가능하고 성전환을 조장하는 사람들도 정신 질환을 부추기는 것과 같다”고 주장해 왔다. 

이에 대해 메이어 박사는 “이번 연구가 오직 맥휴 박사의 편견을 뒷받침하기 위해 발표됐다는 비난이 나올 수 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내가 보고서를 쓰고 검증을 했으며, 어떤 편견을 연구한 것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는 아주 대규모의 전쟁에 들어와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최근의 상황과 관련해서 더욱 그러하다. 과학이 우리의 입장을 지지할 때, 때로는 살짝 목소리를 낮추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다. 즉, 보수주의자들은 ‘보고서가 이것이나 저것을 지지하지 않는다’며 너무 일찍 연구에 대한 강도 높은 비난을 한다. 과학이 말하게 하고, 사람들이 이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지켜보자”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