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음표 소녀 앞으로 참고 중복 요청 문제 응답 작업 중요성 기대 질문 정보 우리 아이 왜 이럴까요 이중성 양면성 궁금 김충렬
자기 신뢰감이 낮은 아이들이 있다. 자기 존재를 생각하는 가치감이 낮은 아동이다. 이런 아동은 자기 존재를 낮게 평가하기에 매사에 자신감을 갖지 못한다. 이는 성장해야 하는 아동으로서 벌써 심리적 위축을 초래하고 있다는 점에서 개선해야 한다. 자기 신뢰감이 낮은 아동은 주도성이 약한 아동, 수동적인 아동, 행동력이 약한 아동이다. 자기신뢰감이 낮은 아동은 다음 특징을 갖고 있다.

1. 자신에게 부정적인 결과

자기 신뢰감이 낮은 아이들은 자기 존재에 부정적이다. 반면 자기 신뢰감을 가진 아동은 자기 존재에 대해 긍정적이다. 이는 자신이 가진 능력과 그다지 상관이 없다고 보아야 한다.

자기 신뢰감이 없어도 능력 많은 아동이 있다. 그런가 하면 자기 신뢰감이 많아도 능력 없는 아동이 얼마든지 있기 때문이다.

자기 신뢰감(self-confidence)은 어떤 일을 스스로의 능력으로 충분히 감당할 수 있다고 자신의 존재를 믿는 마음이다. 자기 신뢰감의 개념은 일반적으로 개인의 판단과 능력, 그리고 힘 등에 대한 자기 확신으로 정의된다.

자기 신뢰감은 특정한 활동을 만족스럽게 완료한 경험의 결과로 증가한다. 자기 신뢰감은 미래에 일반적으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성취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믿음을 포함한다. 자기 신뢰감은 자신의 가치에 대한 평가인 자존심과 같지 않다.

반면 자기 신뢰감은 보다 구체적으로 어떤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뢰이다. 한 기존 연구 분석에서 제안한 자신의 일반화와 자기효능감과 유사하다.

에이브러햄 매슬로우는 많은 사람은 일반화된 성격 특성으로서의 자기 신뢰감과 특정 과제, 능력 또는 도전(즉 자기 효능감)에 대한 자기 신뢰감을 구별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2. 긍정성이 낮은 상태

자기 신뢰감이 낮은 아동은 긍정성이 낮은 상태이다. 아동의 자기 신뢰감은 긍정성 상태이기 때문이다. 긍정성은 아동으로 하여금 자기 신뢰감을 갖고 건강하게 자라나게 만드는 정신의 자양분이다.

아동이 부모로부터 이해와 인정을 받고 긍정적인 존재로 평가받으면 아동이 건강하게 자라나기 때문이다. 긍정성은 아동으로 하여금 건강하게 자라나지만, 부정성은 아동을 병들게 만드는 것이다.

물론 자기 신뢰감은 자신의 존재에 대한 신뢰감을 나타낸다. 이것은 심리학자 앨버트 반두라(Albert Bandura)가 “특정 상황에서 성공하거나 과제를 완수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으로 정의한 자기 효능감과는 다르다.

따라서 특정 자기 신뢰감을 보다 정확하게 나타내는 용어이다. 심리학자들은 사람이 일반적인 자기 신뢰감이 부족하더라도 특정 작업(자기 효능감, 예: 좋은 식사를 요리하거나 좋은 소설 쓰기)을 완료할 수 있다는 자기 신뢰감을 가질 수 있다고 오랫동안 언급해 왔다.

특정 과제(예: 소설 쓰기)를 달성하기 위한 자기 효능감이 부족하다. 그렇지만 자기 신뢰감을 갖는다. 그러나 이 두 가지 유형의 자기신뢰감은 서로 상관관계가 있고, 이 같은 이유로 쉽게 융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부모의 긍정 에너지가 아동을 인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이유이다. 아동은 자신의 존재가 부모로부터 인정을 받는다고 생각하면, 활달하게 생활할 것이다. 이는 부모의 인정을 받으며 자라나는 아동은 자기신뢰감이 넘치게 되는 이유이다.

3. 자주 지적을 받은 결과

자기 신뢰감이 낮은 아동은 부모로부터 자주 지적을 받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자주 지적을 받으면, 존재 비하를 자주 경험하게 되기 때문이다.

존재 비하는 자기 신뢰는 물론 자신감을 갖지 못하게 만든다. 부모의 지적이 기반이 되어 사회적 관계를 하면서 주변 영향을 받게 되기 때문이다. 우리가 알듯, 부모의 지적은 아동에게 부정적인 자극을 준다. 부정적인 자극은 존재의 비하를 경험하게 만든다. 부모의 부정적인 자극으로 인해 아동은 “자신이 형편없는 존재이다”는 느낌을 갖게 된다.

나아가 아동의 자기 신뢰감은 가정이나 학교와 같은 다양한 환경과 다양한 유형의 영향을 받는다. 사회와 관련하여 아동은 자기 신뢰감이 많을수록 다른 사람과의 판단에 순응할 가능성이 적다는 것을 발견했다.

레온 페스팅어(Leon Festinger)는 아동의 능력에 대한 자기 신뢰감이 경쟁적 환경에서 거의 유사하게 작용되는 경향이라는 것이다. 아동은 다른 사람과 자신을 비교할 수 있는 경우에만 오르거나 내릴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또 자기 신뢰감이 낮은 사람이 다른 사람으로부터 반응을 받을 때도 마찬가지다. 상대적 능력에 대한 정보와 부정적인 정보 반응을 받는 것을 꺼리고 긍정적 반응을 받는 것을 꺼린다. 이는 부모의 지적이 아동의 사회적 관계에도 영향을 끼치게 됨을 의미한다.

김충렬
▲김충렬 박사.
4. 정리

자기 신뢰감이 낮은 아동을 둔 부모라면, 전술한 원인을 참고하여 스스로 반성할 필요가 있다. 부모가 올바르게 양육을 한다 해도 원인이 될 만한 조건이 얽혀 있기 때문이다. 부모가 자신을 냉정하게 분석해야 개선 가능성이 보인다.

김충렬 박사
한국상담치료연구소장
전 한일장신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