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sus팡스터디 김항안
▲공부중인 학생들의 모습. (이 사진은 기사와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공부에 의욕이 없는 아이들이 있다. 아동은 생기발랄하고 활력이 넘치는 생명력을 보일 때인데 말이다.

아동의 생기발랄함은 그대로 생명력의 상징이다. 생명의 새로운 싹이 싱싱하게 자라나듯, 아동은 그런 싱싱함을 풍겨야 한다. 그것이 생명의 향기요, 생명의 에너지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의욕이 없는 아이는 전혀 그렇지 못하다. 공부에 의욕이 없는 아동은 자발성이 부족한 아동, 동기유발이 약한 아동, 수동성에 지배되는 아동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공부에 의욕이 없는 아동은 다음 원인에서 이해해야 한다.

1. 목표 설정의 문제

공부에 의욕이 없는 아이들은 목표 설정에 문제가 있다고 보아야 한다. 목표가 정확하면 의욕이 생겨나기 때문이다.

의욕이 있는 아동은 목표가 정확하지만, 공부에 의욕이 없는 아동은 목표가 정확하지 않은 것이다. 뚜렷한 목표를 가진 아동은 의욕도 강한 편이다. 실제로 발전적인 생활을 하는 아동의 경우 작은 목표를 자주 세워 나가면서 이루어내는 특성을 갖고 있다.

그런 아동에게는 작은 목표가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여 발전적인 생활이 되도록 만드는 결과를 산출하는 것이다. 생활에서 목표를 세우는데 있어 정확성이 중요시된다. 목표의 정확성은 의욕이 생겨나게 만드는 동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목표와 관련해 보면 공부에 의욕이 없는 아동은 목표 설정에 문제가 보인다. 목표가 정확하지 않고 희미하면, 행동도 따라가기 때문이다.

이를 고려하면, 우리는 공부에 의욕이 없는 아동에게는 심리적인 환경과 자연적인 환경이 긍정적이지 않은 이유도 있다고 보아야 한다. 이것은 그들이 행동의 향상을 결정하는 성취도에서도 부정적임을 암시하는 것이다.

목표는 인간이 행동을 결정하는 힘으로써, 개인의 생리적·심리적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목표와 관련해 욕구, 의욕, 그리고 의지 개념이 중요한데, 이는 심리학에서 발전돼 온 욕구와 동인 그 외의 유사한 개념과 함께 활용되는 측면이 있다.

2. 의욕이 약한 문제

공부에 의욕이 없는 아동은 공부를 하고자 하는 욕구가 약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공부에 대한 욕구는 무엇을 얻고자 하거나 무슨 일을 하고자 하는 바람으로서, 그 특성상 의욕과 비례한다.

그러면 아동의 욕구란 적극적으로 무엇을 하고자 하는 마음이나 욕망에서 이해된다. 반면 의욕은 인간에게 욕구적인 행동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이해된다.

그러니까 의욕은 단순히 기대하거나 바라는 요구의 차원을 넘어, 그것을 반드시 이뤄내고자 하는 심리적 특성이다. 그리고 의욕이 강해지면 그에 따라 성취하려는 욕구도 강해질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심리학자 머레이(H. A. Murray)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많은 동기들을 분류하면서, 성취욕구라는 특수한 동기를 포함시켰다.

머레이는 인간의 행동을 결정하는 요인은 욕구와 압력의 두 가지로 구분했다. 특히 그는 20여개의 심리적 욕구 중 성취 욕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는 장애물을 극복하고 권력을 행사하며, 가급적이면 훌륭하고 신속히 어려운 일을 하기 위해 노력하는 욕망 또는 가능성이라고 정의했다. 머레이에 의해 처음 소개된 성취 욕구는 그 후 맥클랜드와 그의 동료들에 의해 성취 동기라는 개념으로 발전했다.

3. 성취 욕구의 문제

공부에 의욕이 없는 아동은 성취 욕구에 문제가 있다고 보아야 한다. 성취 욕구는 무엇을 달성하거나 이루고자 하는 심리적인 강한 기대이기 때문이다.

성취 욕구와 관련된 설문조사로부터 맥클랜드는 성취 욕구가 높은 개인이 보다 나은 것을 하려는 그들의 욕구에 의해, 다른 개인으로부터 스스로를 차별화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들은 문제에 대한 해결안을 찾는 개인적 책임감을 가질 수 있고, 자신이 발전하고 있는지 아닌지 알 수 있는 성과에 대한 신속하고 분명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으며, 성취 가능한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할 수 있는 상황을 찾게 된다.

이 성취 욕구는 개인으로 하여금 자신의 능력에 비추어 도전할 만한 가치가 있는 일을 탐색하게 만든다. 그리고 그러한 일을 보다 능률적으로 수행하게 하며, 그러한 일을 성취해 낼 수 있을 것이라는 자신감을 갖게 만든다.

이런 현상은 공부에 의욕이 없는 아동이 성취동기가 낮다면, 자신이 직면하는 여러 분야에도 성취도가 낮을 것을 의미한다. 그에 따른 결과는 그들에게 긍정적으로 나타나기 어려운 것이다.

맥클랜드는 성취 욕구를 측정해 성취 동기가 높은 사람들과 낮은 사람들을 비교했을 때, 성취 상태에서 이들이 서로 다른 독특한 행동 특징을 보인다고 주장했다.

여러 연구들이 밝히고 있는 성취 지향적 인간의 행동 특징으로써 과업 지향적이고 적절한 모험을 즐기며, 과업 수행에 자신을 갖고 혁신적이며 정력적인 활동가로서 자기가 한 일에 대해 책임을 지며, 자신이 행한 과업의 결과를 알고자 하고, 미래 지향적이라는 것이다.

성취 욕구의 문제에서 우리는 공부에 의욕 없는 아동의 근본적인 문제를 발견하는데 중요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공부에 의욕이 없는 아동은 단순히 의욕이 약한 정도가 아니라, 무엇인가 바라고 기대하고 이루려고 하는 의욕이 낮은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김충렬
▲김충렬 박사. ⓒ크리스천투데이 DB
4. 정리

공부에 의욕이 없는 아동을 둔 부모라면, 전술한 심리적 원인을 참고해 스스로 반성할 필요가 있다. 부모가 올바르게 양육을 한다 해도 반드시 원인이 될 만한 조건이 얽혀 있기 때문이다. 부모가 자신을 냉정하게 분석해야 개선 가능성이 보인다.

김충렬 박사(한국상담치료연구소장, 전 한일장신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