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덕영의 신앙시, 기독 시인 1] 황동규
황동규(黃東奎) 詩選 <三南에 내리는 눈>
1
내 그대를 생각함은 항상 그대가 앉아 있는
背景에서 해가 지고 바람이 부는 일처럼 사소
한 일일 것이나 언젠가 그대가 한없이 괴로움
속을 헤매일 때에 오랫동안 전해오던 그 사소함으로
그대를 불러 보리라.
2
진실로 진실로 내가 그대를 사랑하는 까닭은
내 나의 사랑을 한없이 잇닿은 그 기다림으로
바꾸어 버린데 있었다. 밤이 들면서 골짜기
엔 눈이 퍼붓기 시작했다. 내 사랑도 어디 쯤
에선 반드시 그칠 것을 믿는다. 다만 그때 내
기다림의 姿勢를 생각하는 것 뿐이다. 그 동
안에 눈이 그치고 꽃이 피어나고 낙엽이 떨어
지고 또 눈이 퍼붓고 할 것을 믿는다.
황동규의 즐거운 편지(黃東奎 詩選 <三南에 내리는 눈>, 1975. 1. 1 발행, 민음사 간, 500원) 중에서
“황동규의 초기 시는 인간의 절대를 향한 비극적인 자세를 모티브로 하고 있다. 그것은 지극한 내면적 고뇌이며 따라서 그의 치열한 개인적 정서이고 쉽사리 포기하지 않고 그 비극과 대결하려는 지적 의지를 이룬다. …
황동규의 고뇌는 다중의 중첩에 있다. 그는 사랑을 사랑하면서 사랑의 종말을 사랑하고 그 사랑들의 무모함을 다시 사랑한다. 그는 기다리면서 그 기다림이 오지 않으리라는 것을 알고 있고 그 기다림들에 대한 처절한 열망을 몸으로 깨닫고 있다.”
황동규 시인의 친구였던 김병익(문학평론가)의 해설 ‘사랑과 변증의 지성’ 중에서
황동규 시인은 유명한 <소나기>의 소설가 황순원 선생의 아들로 서울대 교수를 지냈다. 황순원·황동규 부자는 개신교(장로교) 신자로 알려져 있다. 황순원 문학촌 소나기마을(기념관)을 가 보면 서재에 신학도서와 성경을 비롯한 다양한 기독교 관련 책들이 많이 눈에 띈다.
황순원 선생은 평생 잡글(칼럼이나 수필 등)을 쓰지 않은 작가로도 유명하다. 아들 황동규 시인은 서울대 인문대를 차석으로 입학(필자의 오랜 기억이니 틀렸을 수도 있음)한 수재였다.
시인 폴 발레리는 작품은 작가를 떠나면 그때부터는 독자의 몫이라 했다. 상상의 나래는 독자의 몫이라는 뜻이었을까? 참 멋진 말이 아닐 수 없다.
1970년대 연인들의 시편 두 편이 있었다. 한 편은 김춘수의 <꽃>이요 또 한 편은 바로 이 황동규의 <즐거운 편지>였다. <꽃>보다 <즐거운 편지>는 좀 더 문학적 감수성이 예민한 청년들이 즐겨 음미하던 시편이었다.
발레리의 말처럼 김춘수, 황동규 두 시인의 시적 의도와 달리 이 두 편의 시는 연인들이 여전히 즐겨하는 시편이 되어 있다.
조덕영 박사(신학자, 작가,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