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음표 소녀 앞으로 참고 중복 요청 문제 응답 작업 중요성 기대 질문 정보 우리 아이 왜 이럴까요 이중성 양면성 궁금 김충렬
의존성 많은 아이들이 있다. 이들은 스스로 결정하고 일을 처리하는 자주성이 부족하다. 남에게 의존하지 않고 자기 힘으로 해내려는 독립심이 약하기 때문이다. 아무런 판단 없이 대체로 부모 생각을 따르고자 한다. 아동의 의존성은 부모의 의지에 따라 달라지므로, 서둘러 개선해 주어야 한다. 의존성이 많은 아동은 행동의지가 약한 아동, 반응에 문제를 가진 아동, 지나치게 부모에게 기대는 아동이다. 의존성이 많은 아동은 다음 특징이 있다.

1. 자주성이 발달되지 못한 결과

의존성이 많은 아동은 자주성에 문제를 보이고 있다. 이는 자주성의 토대를 놓는 발달 시기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들은 자주성의 토대를 놓는 어린 시기에 자신의 생각이나 뜻을 갖고 자기 스스로 무엇을 해 보는 기회가 많이 주어지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자주성 발달은 협동적이고 친사회적인 행동은 학습을 촉진시킨다는 점에서다.

반면 공격적이고 적대적인 행동은 학습과정을 방해하게 된다. 행동이 파괴적이고 공격적으로 거부하는 아동은 부정적 정서와 태도가 발달한다. 결과적으로 그들은 일상생활에 무관심하게 된다. 다만 자주성이 발달되지 못하면 일상생활에서 좌절과 실망을 일으킨다. 그것은 사회적 이탈 행동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그리고 적응과 사회적 관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자주성이 낮은 아동은 긍정적 또래 지위를 얻기 힘들고, 또래에게 존중받지 못함에 따라 부정적 자기 지각이 발달하게 된다. 그 결과 사회 정서적 문제가 나타나게 된다.

2. 자신감이 결여된 상태

의존성이 많은 아동은 자신감이 부족하다. 자신감은 독립성과 상관이 있다. 독립성이 자신감을 가능하게 만들고, 자신감이 독립성으로 나타난다. 이 문제는 분명 관점의 차이일 수 있다. 정신적 측면에서 보는 관점과 신체적 측면에서 보는 관점에 따른 차이다.

아동이 스스로 하려고 하는 행동이 독립성이라면, 자신감은 자기 의지대로 행동하려는 심리 현상이다. 이처럼 자신감이 결여된 아동은 대개 몸이 약한 것이 아닐까, 지능이 늦기 때문이 아닐까를 고려해 볼 수 있다. 몸이 약한 경우 아동은 자신감을 갖기 어렵고 지능이 낮은 경우에 의존성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은 개인심리학자인 알프레드 아들러(A. Adler)가 신체적인 허약감이 열등감을 유발한다는 관점과 일맥상통한다. 만약 아동이 신체적으로 허약한 경우라면, 부모는 신체적인 건강에 신경을 기울어야 할 것이다. 지능이 낮은 경우 행동발달에 지체적 현상이 따라온다는 점에서다.

반드시 지능이 낮은 경우가 아니어도, 조금 발달이 늦은 아동이 있다. 4살인데도 자기 손으로 음식을 먹지 못한다. 옷을 입고 벗을 때, 목욕할 때와 화장실을 이용할 때도 부모의 도움을 받는 경우이다. 게다가 혼자 서지도 못하고 불안하게 걷고 언어에도 지체적 현상을 보이는 경우이다.

보기에는 자신감이 없고 동생이 하는 것을 보고만 있는 듯 보인다. 그러나 실제로는 동생이 신기해서 보는 것일 수도 있다. 이는 아동의 의존성이 오히려 단순한데 원인이 있음을 생각하는 것이다.

3. 과보호적 양육 결과

의존성이 많은 아동은 과보호 양육법으로 자란 경우일 수 있다. 부모가 아동을 과보호하면, 스스로 할 수 있는 것도 부모가 다 해주는 편이다. 때문에 아동의 의존성이 강해진다.

실제로 과보호 양육을 받고 자란 아동은 어린 시절 부모가 자신에게 유약한 태도를 취한다. 그런 것처럼 아동은 자기 자신에 대해 유약한 태도를 보인다. 그런 아동은 성장한 후에는 충동적 욕구를 통제하지 못하는 행동을 보인다. 여기에는 과음하거나 과식하고, 무분별한 애정표현을 하거나 돈을 낭비하는 경우이다.

중요한 문제들을 무시하는 경향도 있다. 충동적 욕구가 채워지지 않으면 화를 내는 성격을 지니게 된다. 충동적으로 행동하는 아동은 나중에 다른 사람들의 가정이나 권리를 예사로 침범한다. 그리하여 상대방의 감정을 상하게 하면서도 그것에 대해 모르는 경우가 많다. 상호관계에 대해 고려하지 않고 자기의 바라는 것을 자기방식대로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그렇지 못하면 화를 내거나 그것이 상대방이 자신을 사랑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들은 충동적이기에 행동의 조절이 어렵다. 인내와 끈질긴 노력이 요구되는 일이 주어지면 힘들어하며 쉽게 집중력을 잃는다. 이런 아동은 나중에 노력을 통해 만족을 얻는 것을 쉽게 포기한다. 때문에 쉽고 재미있는 충동적인 만족을 찾아 방황할 수 있다.

김충렬
▲김충렬 박사.
4. 정리

의존성이 많은 아동을 둔 부모라면, 전술한 원인을 참고해 스스로 반성할 필요가 있다. 부모가 올바르게 양육을 한다 해도 반드시 원인이 될 만한 조건이 얽혀 있기 때문이다. 부모가 자신을 냉정하게 분석해야 개선 가능성이 보인다.

김충렬 박사

전 한일장신대 교수
한국상담치료연구소장
문의: www.kocpt.com
상담: 02-2202-3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