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러시아의 침공으로 인해 물품 창고로 사용되고 있는 우크라이나 하르키우 대성당. ⓒACN 제공
|
기독교 자선단체인 ‘크리스천 채리티 스튜어드십’(Christian Charity Stewardship)의 우크라이나긴급대응자금은 지난해 36만5000 파운드를 모금해 자선단체와 교회들에 전달함으로써, 영국에 있는 난민들을 포함해 전쟁으로 피해를 입은 이들에게 실질적·영적인 지원을 제공했다.
이 단체는 “약 46,000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시리아와 튀르키예의 지진으로 삶의 위기에 내몰린 많은 이들에게 이러한 지원의 필요성은 더욱 높아진다”고 강조했다.
이 단체는 기금을 통해 우크라이나 수미 지역에서 분쟁으로 파괴된 교회를 다시 개척할 새로운 지도자를 양성하는 성경대학을 포함해, 현지에서 프로그램을 운영 중인 호프 리베딘(Hope Lebedyn) 사역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위기 발생 후 우크라이나에 최초로 등록된 국제 NGO인 미데어(Medair)에도 사용한다.
크리스천채리티스튜어드십은 분쟁이 시작된 이후 33만 명이 넘는 우크라이나인들에게 의료, 쉼터 및 필수 물품을 제공했다.
21일(현지시간)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가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2월 24일부터 2023년 2월 15일까지 약 1년 동안 우크라에서 발생한 사상자는 최소 21,293명에 달한다.
이 가운데 사망자는 8,006명, 부상자는 13,287명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일부 조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지역 등을 포함할 때 실제 사상자는 더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러시아가 병원, 학교 등 민간 시설에도 공습을 강행하며 많은 민간인 사망자들이 나왔다. 일부는 지뢰와 폭발물 잔재로 팔다리를 잃거나 목숨을 잃기도 했다.
이 기간 어린이 사망자 수는 최소 487명, 부상자 수는 954명으로 파악됐다.
보고서는 “전쟁으로 민간인들이 엄청난 대가를 치르고 있다. 사망한 민간인들은 집에 있거나 음식을 구하러 가는 등 삶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일을 하다가 변을 당했다”고 했다.
이날 미국의 조 바이든 대통령은 러-우 전쟁 1주년을 앞두고 러시아의 200여 개인과 독립 기관을 상대로 추가 제재를 예고하며 러시아를 압박했다.
그는 폴란드 왕궁에서 진행한 연설에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는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하다. 우린 나토의 모든 영토를 수호할 것이고, 러시아는 결코 승리할 수 없다”고 했다.
이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국정연설에서 “전쟁을 일으킨 것은 서방이며, 이를 억제하려 한 것은 우리였다. 국민 대다수가 돈바스 방어를 위한 우리의 작전을 지지한다. 우리를 패배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반발했다.
그는 “미국이 새 유형의 핵무기를 개발 중이고, 일부 미국 인사들이 전면적 핵무기 시험 가능성을 고려하는 것을 알고 있다”며 “미국이 핵실험을 할 경우 우리도 똑같이 할 것”이라고 핵무기 위협 발언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