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장의 영성 심포지엄이 진행되고 있다. ⓒ김진영 기자

한국기독교장로회총회(총회장 황용대 목사) 영성수련원(원장 홍순원)이 29일 오후 서울 초동교회 난곡홀에서 ‘기장의 신앙과 삶의 뿌리’를 주제로 영성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박근원(한신대 명예교수)·류장현(한신대 교수) 박사, 홍순원 목사(천호동교회)가 발제자로 나섰다.

먼저 ‘우리(기장) 교단의 뿌리와 그 정신사의 맥’을 제목으로 발표한 박근원 박사는 “우리 교단은 그 출발부터 개교회주의나 교회만능주의를 배제해 왔다”며 “교파주의를 타파하고 다른 교단 뿐 아니라 세계교회들과도 협력하고 정진한다는 입장을 표명하고 출발했다. 바로 에큐메니칼 지평을 확대해 가겠다는 의지의 표명이었다”고 했다.

이어 “우리 교단은 세계개혁교회연맹(WARC)과 세계교회협의회(WCC)에 가입했고, 그 지도력을 발휘해 오기도 했다”면서 “그 결과 세계교회의 지평에서 꽤 인정받는 교단으로 발전했다. 그러나 이 역사의 시점에서 질문하고 싶은 것이 있다. 이런 에큐메니칼 신학과 사고가 우리 교단 교역자나 일반 신도의 수준에까지 저변으로 확대돼 왔는가 하는 점”이라고 했다.

▲박근원 박사가 발표하고 있다. ⓒ김진영 기자

박 박사는 “이번 WCC 제10차 부산총회를 전후해서 우리 교단의 위상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느꼈다”면서 “몇 사람의 지도적 역할을 있었지만, 에큐메니칼에 대한 밑바닥 교회의 온도가 이번 WCC총회를 반대하는 교단들과 별로 다르지 않다는 느낌이 그것이다. 교단적으로 미래 목회를 구상하면서, 다시금 에큐메니칼 지평의 확대가 우리 교단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과 맞물려 있음을 강조하고 싶다”고 전했다.

다음으로 ‘만우 송창근의 삶과 영성 -성빈의 영성을 중심으로’를 제목으로 발표한 류장현 박사는 “송창근의 신앙과 삶의 핵심은 성빈의 영성”이라며 “그는 평생 성빈의 영성을 실천한 목회자이자 신학자요 예언자였다”고 했다.

류 박사는 또 “그의 성빈의 영성은 성서에 기초한 말씀의 영성, 예수의 삶을 재현하는 민중의 영성, 하나님의 말씀에 ‘아멘’으로 응답하는 순종의 영성, 하나님 체험에 근거한 감격의 영성을 특징으로 하며, 궁극적으로 하나님-인간-자연이 하나되는 새로운 세상을 지향한다”고도 덧붙였다.

그는 “또한 송창근은 ‘자기개혁, 신앙운동과 성서회복운동’을 통해 무너져 가는 교회를 바로 세우고 불의한 사회를 개혁하기 원했다”면서 “여기서 송창근이 ‘자기개혁, 신앙운동과 성서회복운동’을 강조한 것은 사회 변화에 무관심한 몰역사적 신앙의 표출이 아니라 교회의 본질적 사명과 기독교사회운동의 토대를 강조한 것이며, 변화된 인간이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신념의 결과다. 이러한 송창근의 삶과 영성은 기장 신앙과 신학의 토대가 돼 그 후 사회선교와 민중신학으로 발전했다”고 역설했다.

끝으로 홍순원 목사는 ‘영성으로 본 기장의 출발과 현재, 그리고 과제’를 제목으로 발표했다. 홍 목사는 “한국의 프로테스탄트 교회는 진보와 보수로 나뉘어, 서로 일방적으로 치달으며 그 싱명을 잃게 됐다”며 “보수 측은 예수께서 직접 선포하신 하나님나라의 복음과 실천을 잃어 버렸고, 그 영성은 성공과 복, 신비한 은사를 구하는 열광주의로 치달았다”고 했다.

홍 목사는 “반면에 진보 측, 바로 우리 교단의 문제인데, 기도와 기도생활을 잃었다”면서 “그러자 그 사회적 실천은 세속적인 운동으로 전락하고, 교회 삶은 온통 정치화됐으며, 방종으로 흘렀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 두 진영이 세속주의로 떨어진 그 근본 원인은 프란시스의 상실에 있다. 프란시스의 영성은 하나님 앞에서 벌거벗은 가난과 기도, 그리고 고난받는 생명을 위한 섬김이 결합돼 있다”며 “어느 틈에 우리 삶에서 가난과 기도가 실종되고 사회적 실천만 남게 됐다. 이것은 프란시스의 반쪽을 잃은 것이다. 곧 영성을 상실한 것인데, 이것이 오늘 우리 교단과 그 안의 모든 지교회들의 문제들, 곧 운동논리와 정치화, 세속주의, 분열 등을 야기시켰다”고 했다.

그러면서 홍 목사는 “우리의 얽히고 설켜서 바라만 보고 있는 오늘의 모든 문제의 해결은, 우리가 모든 교회의 삶의 토대인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는 영성에 있다”며 “이 영성 회복을 통한 세속주의의 극복만이 모든 문제를 바로잡는 첫걸음이 될 수 있다”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