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칼럼

오피니언/칼럼

이경섭

[이경섭 칼럼] 하나님을 알게 하는 중생, 빛을 낳는 생명

성경은 곳곳에서 ‘생명(life)’과 ‘빛(the light)’을 연결짓는다. 그 대표적인 구절이 “그 안에 생명이 있었으니 이 생명은 사람들의 빛이라(요 1:4)”이다. ‘그리스도 안에 있는 생명’이 ‘사람들에게 하나님을 알게 하는 빛’이라는 뜻이다. 여기서 진일보하여…
이경섭

[이경섭 칼럼] 창조로 말미암은 구속, 구속으로 말미암은 창조

개혁신학에서 반틸(Cornelius Van Til, 1895-1987)의 ‘전제주의(Presupposition)’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한다. ‘전제’의 핵심은 ‘하나님의 창조’이며, 이를 성경 해석의 중요 고리로 삼는다. 이 ‘창조’에서 ‘하나님의 영광’, ‘죄’, ‘심판’, ‘구속’이 따라 나온…
이경섭

[이경섭 칼럼] 인간 불행의 제1원인자가 사단인가?

흔히 사람들은 인간의 불행은 사단(satan)이 그의 삶에 분탕질한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인간이 평안한 삶을 구가하려면 평안의 박탈자 사단을 박멸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성경에 의하면, 인간 불행의 제 1원인자는 마귀가 아닌 ‘인간 자신’이고, 더…
이경섭

[이경섭 칼럼] ‘믿음’이 모든 사람의 것이 아닌 이유

‘인간의 전적 무능(total inability)’이란 단지 ‘인간이 자력으로 구원을 이룰 수 없다’는 뜻일뿐더러, 심지어 ‘구원을 주는 그리스도 복음도 자력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뜻이다. 그러나 여기에 모두가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자연신학자(a natural theologian)나 …
이경섭

[이경섭 칼럼] 왜 예정론인가?

하나님의 사랑 때문 알미니안(arminian)들은 ‘예수 그리스도가 모든 인류를 위해 구속을 이뤄놓고 그것을 취할지 말지는 그들 스스로 결정하게 했으며, 그 결과에 대한 책임 역시 그들이 지도록 했다’고 한다. 이렇게 하여 ‘인류에 대한 하나님 사랑’도 구현되…
이경섭

[이경섭 칼럼] 하나님의 사랑

구속의 사랑 하나님의 사랑은 두 종류이다. ‘일반은총적 사랑’과 ‘특별은총적 사랑’이다. 전자(일반은총적 사랑)은 창조주로서 피조물에 내려주시는 일반적인 사랑이다. 의인과 악인 그리고 동식물에게 그들의 생존에 필요한 모든 것들을 차별 없이 공급하…
이경섭

[이경섭 칼럼] 마귀의 능력과 한계

어떤 사람들은 모든 것을 ‘하나님과 마귀의 대결 구도’로 놓는다. 심지어 인류사(人類史)를 ‘하나님과 마귀의 투쟁사’로 규정하기까지 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들은 구속사(救贖史)를 ‘그리스도와 마귀의 대결적 관점’에서 풀어낸다. 예수님이 세상에 오신 …
이경섭

[이경섭 칼럼] ‘오직 성령’은 오순절주의자의 전유물인가?

오늘날 ‘오직 성령(only Holy Spirit)’의 슬로건(slogan)은 오순절주의자나 세대주의자들의 전유물로 간주되고, 일부 개혁주의를 표방하는 교회들에선 오히려 그것이 터부(taboo)시되기까지 한다. 그러나 이는 모두 성령에 대한 오해와 편견에서 온 것들이다. 사실 ‘오…
이경섭

[이경섭 칼럼] ‘죽음’은 비참하기만 한 것인가?

‘인간의 죽음’은 그 자체로 숭고한 의미가 없진 않지만, 현실적으로 언제나 비참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특히 악성 질병이나 불의의 사고로 목숨을 잃는 경우엔 더더욱 그렇다. 이런 죽음의 비참함을 볼 때, 과연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을 닮은 ‘만물의 영장(the lord…
이경섭

[이경섭 칼럼] 율법

◈계시이며 심판자인 율법 태초부터 ‘스스로 계신 하나님(I am that I am, 출 3:14)’은 ‘말씀’이신 성자(요 1:1)를 통해 자신을 피조물들에게 계시하셨다. 무죄했던 아담은 하나님에 대해 누구로부터 어떤 가르침을 받지 않았어도 ‘삼위일체의 자기 계시(self-revelati…
이경섭

[이경섭 칼럼] 죽음과 영생

낯선 영생 ‘단생(單生)’의 금세(今世)에선 초월적인 ‘영생(永生)’ 개념이 제대로 인식될 수 없다. 다만 그것은 희미하게 유추될 뿐이다. 만약 ‘금세’에서 ‘영생’을 인식할 수 있다면 그것은 이미 ‘영생’이 아니다. 이는 두 영역은 전혀 서로 다른 인식…
이경섭

[이경섭 칼럼] 죽지 않음과 ‘영생’

‘한시적인 죽음 없음(temporary no death)’과 ‘영생(eternal life)’은 다르다. 전자는 말 그대로 ‘한시적 생명의 이어짐’이고 후자는 ‘다함 없는 생명’이다. 전자는 아담의 범죄 전 그에게서 일시적으로 향유됐고, 후자(영생)은 그가 범죄 해 온 인류가 사망에 빠뜨려…
이경섭

[이경섭 칼럼] ‘예수 믿으면 구원 얻는다’는 말의 의미

죄인이 어떻게 믿음에 이르는가? ‘예수 믿고 구원 받으라’는 복음 전도는 어떤 의미인가? 이는 단지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 결단을 하여 구원을 받으라’는 뜻인가? 죄로 죽은 인간은 그리스도를 향해 그런 결단을 할 수가 없다. 이러한 인간의 실상과 …
이경섭

[이경섭 칼럼] ‘스스로 구원하라’는 말의 의미

‘구원’에 관한 한 성경은 언제나 ‘피동형(passive, 被動形)’을 써서 ‘구원을 받는다(be saved)’고 표현한다. “주 예수를 믿으라 그리하면 너와 네 집이 구원을 얻으리라(행 16:31, Believe in the Lord Jesus, and you will be saved--you and your household).” 그러나 “새가 그물 …
1 2 3 4 5 6 7 8 9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