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칼럼

오피니언/칼럼

배본철 교수(성결대 역사신학)_200

[배본철 칼럼] 은사주의와 전통 복음주의가 함께 가야 할 길

필자의 학문적 연구와 실천적 활동의 중심 주제 중에는 전통 복음주의와 은사주의 사이의 적절한 대화 소통에 대한 것이 있다. 그동안 필자의 조사와 연구에 의하면, 이들 사이의 일반적인 오해는 근본적인 신학적 대립에서 나오는 것이라기보다는, 특정 용어에 대…
배본철 교수(성결대 역사신학)_200

[배본철 칼럼] 은사중지론이냐 은사주의냐?

전통 복음주의와 대화하기 위한 관점에서 은사주의자들이 좀처럼 타협하기 어려운 교단들이 있다. 그 중에서 가장 심각한 대상은 특히 칼빈주의를 포함한 개혁주의 계통이다. 개혁주의 정통신학이 은사운동과 손 맞잡기 어려운 이유는 사도시대 이후에는 예언, 계…
애즈베리 대학교

애즈베리 영적 각성, 그 이후

최근 미국 켄터키주 윌모어에 위치한 애즈베리 대학교(Asbury University)에서 대규모 예배 모임이 몇 주간 이어지면서 영적 각성 운동이 일고 있다. 이 사건이 기독교계뿐만 아니라 각계각층의 비상한 관심거리로 전 세계에 퍼져나가고 있다. CNN 뉴스는 이 켄터키의 예…
배본철 교수(성결대 역사신학)_200

[배본철 칼럼] 쓰러지는 집회, 성령의 불 받아라!

어떤 집단에서는 귀신 추방할 때 기도 받는 자가 반드시 쓰러지도록 유도하곤 한다. 그러나 이런 체험적 현상에 너무 치중하다 보면 본질적인 귀신 추방 사역의 내용을 간과할 수 있다. 그 이유는 기도 받는 자가 다음번에는 더 강도 높은 체험적 현상을 기대하게 되…
배본철 교수(성결대 역사신학)_200

[배본철 칼럼] 잘 쓰러지는 집회를 경계하라

성령의 권능이란 도대체 무엇인가? 이 점을 설명하기 전에 필자는 먼저 신자들이 미혹되기 쉬운 잘못된 영성운동의 방향 몇 가지를 지적하고 넘어가야 하겠다. 왜냐하면 오늘날 한국교회가 이러한 극단적인 성격의 영성운동들로 인해 피해를 보게 되는 사례가 대단…
배본철 교수(성결대 역사신학)_200

[배본철 칼럼] 성령론 논쟁은 이제 그만, 화합의 시대로!

한국교회의 성령운동은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 것인가? 이 역사의 흐름 속에는 일정한 동인(動因)이 작용해 왔음을 보는데, 그것은 “서로 다른 성령론 사이의 갈등, 신학적 비평과 탐구 작업, 성령론의 자체 정화와 조화, 그리고 바람직한 성령론을 향한 발전…
배본철 교수(성결대 역사신학)_200

[배본철 칼럼] 방언 체험에 대한 최근 한국교회의 평가

21세기로 들어오면서 한국교회에는 방언에 대한 체험이 범교단적으로 보편화 되어감에 따라, 이에 대한 신학적 정립의 필요성도 점차 높아져갔다. 이에 2007년 11월 CBS TV ‘크리스천 Q’ 프로그램에서는 “방언, 하늘의 언어인가 인간의 언어인가”라는 제목으로 2회…
배본철 교수(성결대 역사신학)_200

[배본철 칼럼] 과도한 체험중심주의의 위험

1990년대를 맞이하는 대한민국은 1988년 서울 올림픽, 그리고 1990년 구소련의 붕괴 등으로 상징되는 세계화의 거센 조류에 편승하게 된다. 민족국가로서의 경계가 약화되고 국가 간의 상호 의존성이 급증하는 세계화의 표적이 국내 모든 차원과 영역에 나타나게 되는 …
배본철 교수(성결대 역사신학)_200

[배본철 칼럼] 한국 장로교 내에서 일어난 성령론 논쟁

한국교회에 일어났던 세 가지 성령운동의 각각 지닌 강조점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오순절운동의 성령론에서 나타난 가장 두드러진 특색으로서는 방언, 예언, 이적 등의 ‘성령의 나타남’((Manifestation of Holy Spirit)을 강조하여 이를 전도와 교회성장의 도구로 사용…
배본철 교수(성결대 역사신학)_200

[배본철 칼럼] 성령세례 강조하면 무조건 오순절파인가?

한편, 대표적인 한국의 오순절주의 교단인 하나님의성회는 1960년대에 조용기 목사를 중심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하다가, 1970년대부터는 장로교, 감리교 그리고 성결교회와 함께 한국의 대표적인 교단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오순절교단의 성장에 따라 한국교회의 방…
배본철 교수(성결대 역사신학)_200

[배본철 칼럼] 성령의 은사와 방언이 문제시되던 시기

한국교회는 일제로부터의 해방과 동족상잔(同族相殘)의 남북전쟁 그리고 이후 고착된 남북 분단의 비운을 맞이하면서 극심한 이데올로기 논쟁의 영향을 크게 받게 되었다. 따라서 교회 내에도 사랑과 이해와 화합 대신 정죄의식과 흑백논리로 인한 양극화 대립 구…
배본철 교수(성결대 역사신학)_200

[배본철 칼럼] 초기 한국교회가 경험한 성령론

성령론적으로 볼 때, 특히 성령세례에 대한 입장에 있어서 한국교회가 경험한 대부흥운동의 성령론은 정통 개혁주의 성령론과는 상이하다. 19세기 후반 미국의 개혁파 성령운동 노선에서는 웨슬리안 성결운동의 죄성에 대한 제거설(Eradication)을 부인하고 일반적으…
‘Again 1907’, 뜨거운 부흥의 열기

[배본철 칼럼] 성령세례를 받은 한국교회 대부흥의 시대

한국교회의 역사 속에서 일어난 성령운동의 특성은 어떤 것인가? 또 이에 근거하여 앞으로 복음적 성령론의 바람직한 방향은 어떻게 전망할 수 있을 것인가? 필자는 한국교회 성령운동의 시기를 사회적 변화의 큰 격동을 따라 크게 해방 이전 시대, 근대화 시대, 세…
배본철 교수(성결대 역사신학)_200

[배본철 칼럼] 표적 기독교의 시대는 지나갔는가?

보통 학자들에 따라 정경성에 있어서 의심스러운 사본으로 분류되기도 하는 마가복음의 마지막 부분(막 16:9-20)은 초대교회 당시 복음 증거에 동반되고 있던 성령의 능력과 표적의 내용을 제대로 요약하여 기록한 것이라고 본다. 이 지면을 통해 필자가 새삼스럽게 …
배본철 교수(성결대 역사신학)_200

[배본철 칼럼] 성령의 주 되심의 삶

 성경 말씀 아버지께서 내 안에, 내가 아버지 안에 있는 것같이 저희도 다 하나가 되어 우리 안에 있게 하사 세상으로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신 것을 믿게 하옵소서 내게 주신 영광을 내가 저희에게 주었사오니 이는 우리가 하나가 된 것같이 저희도 하나가되게 …
1 2 3 4 5 6 7 8 9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