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와 국제사회, 中 정부에 억류된
탈북민 강제북송 저지 노력 시급
6.25 73주년, 中 강제북송과 학살
![]() |
▲부산 중국영사관 앞 1인시위 모습.
|
이들은 앞선 6월 26일 부산 해운대구에 위치한 중국총영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중국 정부는 2천여 명의 탈북민에 대한 강제북송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자유를 위해 사선을 넘은 2천여 명의 탈북민들이 중국 공안의 함정 수사에 의해 체포됐다”며 “코로나 이후 북중국경이 개방되기 시작했고, 중국에 억류돼 있는 탈북민들은 대규모 강제송환 위기에 처해 있다”고 밝혔다.
![]() |
▲부산 중국영사관 앞 1인시위 모습.
|
이정하(45·여) 탈북민강제북송중지위원회 부울경 대표는 중국영사관 앞에서 1인 시위를 이어가며 “유엔 이사국 중국은 유엔에서 제정한 탈북 난민을 인정하지 않고 강제송환하고 있다. 중국은 탈북민들을 난민으로 인정하고, 이들을 대한민국으로 보내야 한다”며 “우리 정부도 중국 정부와 협력해 탈북민 전원 입국을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대표는 “세계의 양심과 국제도시 부산 시민들의 손에 2천여 명의 목숨이 달려 있다”며 “탈북민들의 진정한 삶을 위해 미국과 국제사회의 도움이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 |
▲부산 중국영사관 앞 1인시위 모습.
|
이들은 “한국과 미국 등에서 탈북민 강제북송 반대 시위가 확산되고 있지만, 중국 정부는 ‘중국에 불법 입국한 북한 국적자는 난민이 아닌 불법 이민자이며 이들에게는 강제송환 금지 원칙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며 “국제난민협약과 고문방지협약 등이 규정한 강제송환 금지 원칙은 고문, 비인도적 또는 굴육적 처우나 형벌 등에 노출될 위험이 있는 국가로 개인을 송환해선 안 된다는 국제법상 원칙”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