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들 강제 이주, 성폭행 및 징집
월드비전, 수십 년 수단에서 사업
![]() |
▲수단 지역 한 아이의 모습. ⓒ월드비전
|
지난 15일 발발한 수단 분쟁으로 최소 9명의 아동이 사망하고, 50명 이상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월드비전은 수단 현지 아동들이 분쟁으로 강제 이주 및 성폭행, 군대와 무장 단체에 의한 징집 등 심각한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수단 지역은 분쟁 전부터 850만 명 이상의 아동을 포함해 약 1,580만 명이 인도적 지원을 필요로 할 만큼 인도적 위기가 심각했던 상황이라, 분쟁의 타격은 더욱 클 것으로 전망된다.
수단은 세계에서 아동 영양실조 비율이 높은 나라 중 하나다. 이에 약 5만 명의 생명을 살리기 위한 중증급성영양실조(SAM) 치료 프로그램이 운영 중이나, 이번 분쟁으로 중단될 위기에 처했다.
월드비전은 “인도적 지원 활동이 신속히 재개되지 않으면 아동 영양실조 비율이 더욱 악화되고 아동 사망도 늘어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학교 폐쇄로 수백만 아동들이 학업을 지속할 수 없는 상황이다. 여아는 3명 중 1명, 남아는 4명 중 1명이 배움의 기회를 잃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수단 지역은 무력 분쟁 발발 전에도 10세 아동 중 70%가 글을 읽지 못하는 등 열악한 교육 환경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어왔다.
수단월드비전 엠마누엘 이쉬(Emmanuel Isch) 회장은 “아동들에게 식량과 영양 지원이 이뤄지지 않으면 사망하거나 신체적·발달적 피해를 입을 위험이 있다”며 “수단 약 1,600만 명의 인구가 월드비전과 같은 인도주의 기관에 의지해 삶을 이어가고 있는 만큼, 하루 빨리 이번 분쟁 사태가 종결되고 인도적 활동이 재개돼야 한다”고 긴급한 상황을 호소했다.
월드비전은 수단에서 가장 큰 인도주의 단체 중 하나로, 카르툼에 본부를 두고 300여 명의 직원과 자원봉사자가 수십년 간 일해왔다. 월드비전은 세계식량계획의 수단 최대 식량지원 파트너인 동시에 현재 수단 남다르푸르, 동다르푸르, 남코르도판, 블루나일 4개 지역에서 아동보호, 보건 및 영양, 식수 위생 사업 등을 진행해 오고 있다.
또 지난해 보건 및 영양 서비스 제공을 위해 56개 주요 보건 시설과 5만 5천 명 넘는 사람들에게 깨끗한 식수를 지원했다. 이외에도 14만 명 이상의 취약 아동들이 학교 급식 프로그램을 통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