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성애 깃발. ⓒUnsplash
|
미국 크리스천포스트(CP)에 따르면, 갤럽은 지난 22일(현지시각) 미국 성인 10,700명 이상을 대상으로 LGBT 커뮤니티에 관한 자기 인식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발표했다.
전체 표본오차는 ±1%p였으며, 584명의 LGBT 응답자의 경우 전체 표본오차는 ±1%p, 신뢰수준은 95%였다.
설문조사 결과, 자신을 LGBT라고 밝힌 미국인의 비율은 2021년 7.1%에서 2022년 7.2%로 증가했다. 이는 갤럽이 LGBT 인식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기 시작한 해인 2020년 5.6%, 2012년 3.5%보다 늘어난 것이다.
1997년에서 2004년 사이에 태어난 성인들로 정의되는 Z세대는 이전 세대보다 자신을 LGBT로 인식하는 인구의 비율이 훨씬 높았다.
Z세대의 13.1%는 자신을 양성애자라고, 3.4%는 게이라고, 2.2%는 레즈비언이라고, 1.9%는 트랜스젠더라고, 1.5%는 ‘기타 LGBT’ 범주에 속한다고 밝히는 등, 총 19.7%가 자신을 LGBT 커뮤니티의 일부라고 했다.
LGBT 커뮤니티에 속한 성인의 비율은 나이가 많을수록 감소했는데, 밀레니얼 세대(1981~1996년생)는 11.3%, X세대(1965년~1980년생)는 3.3%, 베이비부머 세대(1946년~1964년생)는 2.7%, 침묵세대(1946년 이전 태생)는 1.7%였다.
갤럽의 수석 편집자 제프리 M. 존스(Jeffrey M. Jones)는 보고서에서 “나이 든 성인보다 더 많은 젊은이들이 자신을 이성애자가 아닌 다른 성으로 여기기 때문에, 미 전체 성인 중에서 LGBT 비율은 향후 몇 년 동안 증가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미래에 성인이 되는 젊은이들이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보다 자신을 LGBT로 인식할 가능성이 지속적으로 더 높기 때문”이라고 했다.
갤럽의 이번 조사 결과는 월튼가족재단(Walton Family Foundation) 및 머머레이션(Murmuration)이 소셜스피어(SocialSphere)와 함께 실시한 ‘Z세대 선거 후 리서치’(Gen Z Post Election Research) 여론조사에서 수집한 데이터와 일치한다.
이달 초 발표된 이 여론조사는 성인을 비롯해 15세에서 17세를 대상으로 했다. Z세대 응답자의 경우, 75%가 자신을 ‘이성애자 또는 스트레이트(이성애자를 의미하는 단어)’라고 했으며, 나이 든 성인 응답자의 경우는 92%가 그같이 답했다.
또 자신을 이성애자라고 여기지 않는 Z세대가 채택한 가장 일반적인 정체성은 양성애자(9%), ‘기타 퀴어 정체’(4%), ‘트랜스젠더 또는 넌바이너리’(4%), 게이’(2%) 및 레즈비언(1%) 등이었다.
갤럽이 2022년에 수집한 데이터에 따르면, LGBT라고 밝힌 이들 중 대다수는 양성애자(58.2%)였으며, 그 다음이 게이(20.2%), 레즈비언(13.4%)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