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2 유네스코 유니트윈 공적개발원조 컨퍼런스 단체사진. ⓒ한동대학교 제공
|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고등교육 분야의 대표 개발협력 사업인 유네스코 유니트윈 사업의 성과 및 협력사례를 공유하여 코로나 시대 이후 적합한 혁신적 국제개발협력모델을 수립하고 고등교육의 미래 방향을 모색했다. 특별히 한국을 포함한 8개국(인도네시아, 베트남, 캄보디아, 몽골, 말레이시아, 네팔, 필리핀, 태국)의 정부 및 교육 관계자 등 총 60명이 참석하여 지속가능개발 역량강화 및 고등교육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이를 통해 UN SDGs 달성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한동대 최도성 총장은 “코로나 확산으로 인한 개도국 내 대학교육 질적 저하, 미얀마 및 아프가니스탄 등에서 고등교육 중단 등 개도국 내에서 발생하는 여러 도전에 대해 진단하고 해결하는 방법을 함께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서로의 협력이 꽃피는 기회가 되는 이 시기에 우리는 함께 지혜와 역량을 모아야 한다”고 전했으며, 박백범 前 교육부 차관은 “코로나19라는 급박한 상황에서 원격교육을 차질 없이 이행해 온 한국의 경험을 전 세계와 공유하고, K-Education을 확산해서 모든 학생들이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앞으로 우리가 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의견을 밝혔다.
한동대학교는 이번 행사를 계기로 개도국의 지속가능발전 및 고등교육 격차 해소, 국제개발협력모델 수립을 위한 교류의 장을 연례행사화하고, 국내 유니트윈 주관대학 및 개도국 교육기관들과 긴밀히 협력하여 UN SDGs 달성 및 고등교육 발전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유네스코 유니트윈(UNITWIN, University Twinning and Networking)은 선진국 대학이 개발도상국 대학들과 네트워크를 통해 개도국 대학 교육 및 연구 기관을 지원, 지식 격차를 줄이고 개도국의 자립 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목적으로 1992년 유네스코에 의해 창설된 프로그램이다. 한국에서는 한동대학교가 2007년 최초의 유니트윈 주관대학으로 지정됐다.
이 외에 한동대는 국내 최초 OECD 인턴 파견 대학 지정(2008), UN ACADEMIC IMPACT 주관 대학 지정(2011), UN 기탁 도서관 운영 대학 지정(2014), UN NGO 회의 주관 대학(2016), UNAI 반기문 글로벌교육원(IGE) 개원(2019) 등 국제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