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데이터연구소
▲부목사가 생각하는 향후 목회 중점 분야 설문. ⓒ목회데이터연구소
목회데이터연구소
▲향후 목회 중점 세대 설문. ⓒ목회데이터연구소
목회데이터연구소
▲소그룹 사역에 대한 인식, 향후 소그룹 운영 형태에 대한 의견 설문. ⓒ목회데이터연구소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교회 회복의 화두로 꼽히고 있는 ‘소그룹 사역’의 중요성에 대해 담임 목사와 부목사들의 인식이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그룹이 목회의 핵심이라고 생각한다는 비율이 담임목사는 21%인 반면, 부목사는 절반인 49%에 달했다. 그 성격도 부목사들은 전통 방식을 탈피해 셀·D12 등 새로운 방식이어야 한다는 의견이 상당했다.

목회데이터연구소(대표 지용근)와 기아대책은 ‘코로나19 이후 부목사가 보는 한국교회’를 주제로 (주)지앤컴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조사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이들은 “부목사들의 전반적 교회 사역 실태 및 인식 파악이 한국교회 트렌드를 추적하고 미래 전략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고 취지를 밝혔다.

부목사들은 현재 사역하고 있는 교회의 가장 어려운 점에 대해 ‘다음세대 교육 문제(47%)’를 1위로 꼽았고, 다음으로 ‘영적 침체/영성 하락’(41%), ‘교인들의 주일성수 인식 약화’(35%) 순이었다. 반면 담임목사는 ‘전도의 어려움(35%)’을 ‘다음세대 교육 문제(35%)’와 동일하게 어려운 점으로 꼽았다.

본인이 담임목사라면 목회 중점을 어디에 둘 것인지에 대해 부목사는 ‘교회 공동체성 회복’(51%)과 ‘교회학교 교육’(40%)을 가장 높게 꼽았다. 반면 담임목사는 ‘주일 현장 예배’(47%), ‘교회 공동체성 회복’(36%), ‘교인들의 친교/교제’(24%)에 방점을 뒀다.

향후 목회에 중점을 두고 싶은 세대에 대해 부목사는 3040세대(교회의 허리세대)를 54%가 꼽은 반면, 담임목사는 3040세대를 31%, 노년세대(60대 이상)를 22% 꼽았다.

또 부목사 대부분(82%)이 코로나19 이후 교회학교 사역 방식이 변해야 한다고 생각했으나, 이 중 48%는 구체적인 방법은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교회학교부터 청년부까지 코로나 19 이전으로 회복하기 가장 어려운 그룹은 대학 청년부(35%)를 꼽았다.

소그룹 사역에 있어서도 담임 목사와 부목사 간 이견이 컸다. 소그룹 사역에 대해 부목사는 49%가 목회의 핵심이라고 생각한 반면, 담임목사는 75%가 ‘목회의 중요한 사역 중 하나’로 인식했다. 소그룹 운영 형태도 부목사는 65%가 가정교회·셀·D12 등 새로운 방식으로 해야 한다고 생각한 반면, 담임목사는 구역·속회예배 등 전통적인 방식으로 해도 무방하다는 의견이 79%나 됐다.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사역에 대한 부담감은 응답자의 82%가 느꼈으며(어느 정도+매우), 구체적으로는 ‘미디어를 활용할 담당자의 부재(57%)’가 가장 많이 꼽혀, 전담 인력의 부족으로 인해 부목사 사역이 가중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배우고 싶은 기술로는 ‘동영상 제작 및 편집(49%)’이 현저히 높았다.

교회 개척 시 ‘예배 공간을 여러 교회가 시간대를 달리해서 사용하는 공유 교회(Shared Church)’에 대해서는 64%는 ‘긍정적으로 받아들인다’고 응답했고, ‘긍정적이진 않지만 어쩔 수 없이 상황에 따라 받아들일 수 있다’는 답변은 27%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