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조기. ⓒPaul Weaver/ Unsplash.com
|
미국 크리스천포스트에 따르면, 갤럽은 지난 6월 1일부터 20일까지 1,015명의 미국 성인을 무작위로 표본 추출하여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조사에 따르면, 미국인임이 ‘지극히 자랑스럽다’는 미국인의 비율은 이전까지의 사상 최저치였던 2020년(42%)보다도 낮았으며, 10년 전에 비해 20%나 줄었다.
이어 27%는 ‘매우 자랑스럽다’, 22%는 ‘적당히 자랑스럽다’, 9%는 ‘조금만 자랑스럽다’, 4%는 ‘전혀 자랑스럽지 않다’고 말했다.
‘지극히’ 혹은 ‘매우 자랑스럽다’고 답한 미국인은 65%였으며, 작년(69%)보다 낮아졌다. 이 수치가 올해보다 낮았던 해는 미국 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이 시작됐던 2020년(63%)이 유일하다.
여론조사에서 미국인임이 ‘지극히’ 자랑스럽다는 공화당원(58%)의 비율은 민주당원(26%)보다 두 배 이상 높았으며, 무소속(34%)보다도 크게 앞섰다.
그러나 공화당원과 무소속 가운데 국가에 대한 자부심은 21년 만에 최저치다. 그전까지 가장 낮았던 해는 2001년 공화당원(64%), 2019년 민주당원(22%), 2021년 무소속(40%) 이었다.
성별로는 미국인 남성(72%)이 여성(60%)에 비해 미국인임이 ‘지극히’ 또는 ‘매우’ 자랑스럽다고 답하는 비율이 높았다.
연령별로는 55세 이상 미국인의 10명 중 8명(80%)이 미국 국적에 대해 ‘지극히’ 또는 ‘매우’ 자랑스럽다고 말했으며, 그 비율은 35~54세(64%), 18~34세(48%)로 내려갈수록 떨어졌다.
반면 대학 이상 졸업자(59%)는 그렇지 않은 미국인(69%)에 비해 자신의 국적을 ‘지극히’ 또는 ‘매우’ 자랑스럽게 여길 가능성이 더 낮았다.
비슷한 시기에 실시된 또 다른 갤럽 조사에 따르면, 미국 성인의 4명 중 1명만이 ‘대법원을 상당히 신뢰한다’고 했다. 이는 1973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지난 5월 갤럽 조사에서는 미국 성인의 10명 중 2명(18%) 이하가 “의회가 일을 처리하는 방식에 찬성한다”고 답해 낮은 지지율을 보였다.
갤럽은 이번 결과에 대해 “미국인의 국가에 대한 자부심이 역사상 최저치에 가깝거나, 그 근처에 있다”며 “하지만 측정 기준에 따라 대다수의 미국 성인은 여전히 자신이 미국인임을 자랑스럽게 여긴다”고 했다.
그러면서 “최근 몇 년간, 모든 정당 그룹에서 국가를 자랑스럽다고 말하는 경향이 줄었다”면서 “이는 워싱턴DC에서 심화되는 정치적 분열과 정당 교착 상태, 인종 관계, 코로나19 정책 및 인플레이션에 관한 국가적 과제를 반영한 것”이라고 풀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