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독교에 대한 궁금증 해결 방법 설문.
|
![]() |
▲온라인 신앙 활동 성향 설문.
|
![]() |
▲온라인 교회 참여 의향률 설문.
|
목회데이터연구소(대표 지용근)는 예장 통합 총회, 기아대책과 함께 코로나19 이후 한국 개신교인의 온라인 신앙생활을 주제로 전국 19세 이상 개신교인 1,500명에게 설문한 결과를 5일 발표했다. 조사는 (주)지앤컴리서치가 실시했다.
이에 따르면, 코로나19 이전에는 교회 출석자 4명 중 1명(25%)만이 온라인 예배를 드렸으나, 이후에는 그 비율이 81%로 올랐다. 온라인으로 교회 모임을 경험한 이들은 42%였으며, 특히 소그룹 활동한 이들(66%)이 활동을 하지 않는 이들(26%)에 비해 현저히 비율이 높았다.
기독교에 대한 궁금증이 생겼을 때 어떻게 해결하는지 물은 결과 온라인(인터넷, 유튜브) 검색을 한다는 응답(60%)이 목회자(42%), 교인 혹은 교회 친구(41%)에게 묻는 경우보다 많았다. 이는 전 연령대에서 보편적이고 일상적인 현상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신앙생활에 대해 ‘긍정적(매우 10%+약간 33%)’이라는 답변이 42%였으며, 보통이라는 답이 42%, 부정적(약간 14%+매우 2%)이라는 답변이 14%를 차지해 온라인 신앙생활에 비교적 긍정적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10명 중 8명(82%)이 “온라인으로도 교회 공동체의 일원이라는 생각이 든다”고 답했으며, 다만 “온라인으로 예배 참여 시 목회자의 보살핌을 받고 있다고 느끼느냐”는 질문에는 53%만이 그렇다고 답했다.
신앙생활을 넘어, 전도의 영역에서도 온라인의 역할이 어느 정도 가능하다는 지표도 있었다. “작년 한 해 동안 온라인을 통해 누군가를 예수님과 관계 맺도록 도운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24%가 그렇다고 답했다. “온라인을 통해 믿음을 비기독교인과 공유하는 방법을 배우고 싶은가”라는 질문에는 절반(52%)이 관심을 보였다.
반면 스스로 기독교인이라고 생각하지만 교회는 나가지 않는 ‘가나안’ 성도들의 온라인 참여율은 2020년 4월 54%에서 2022년 4월 68%까지 높아져, “온라인을 통한 가나안 성도 사역에 대해 한국교회가 고민해야 할 부분”이라고 연구소는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