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음표 소녀 앞으로 참고 중복 요청 문제 응답 작업 중요성 기대 질문 정보 우리 아이 왜 이럴까요 이중성 양면성 궁금 김충렬
완벽주의가 심한 아이들이 있다. 무슨 일을 하든지 실수하지 않고 완벽하게 하려는 마음을 가진 아동이다. 아동답게 천진스러운 모습을 보이면 좋으련만, 상황이나 일에 잘 적응하지 못한다. 이들은 긴장감이 많고 편안하지 않아서 주변사람을 불안하게 만든다.

긴장감은 단순히 일과성이 아니라, 심리적인 문제를 보이고 있는 것이기에 서둘러 개선해 줘야 한다. 완벽주의가 심한 아동은 기대치가 높은 아동, 항상 긴장되어 있는 아동, 정서가 불안정한 아동이다. 완벽주의가 심한 아동은 다음 특징을 갖고 있다.

1. 부적응의 결과

완벽주의가 심한 아동은 부적응의 결과이다. 아동은 어떤 환경이든 간에 잘 적응해야 한다.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는 부적응적 완벽주의에는 다음과 같은 증상이 뒤따르게 된다.

종종 실패에 대한 두려움, 무가치하다는 느낌, 낮은 자존감, 불리한 어린 시절 경험에 의해 유발됨 등이다. 이런 증상은 종종 우울증과 불안, 강박장애와 섭식장애, 심지어 자살충동을 동반한다는 점에서 위험성이 있다.

이는 아동이 여유로운 분위기에서 성장해야 함을 의미한다. 그렇지 못하면 마음의 좁아져서 여유로움을 경험하지 못한다. 이것이 훗날 성인이 되어서는 강박증으로 이행된다. 그 중에서도 강박장애의 경우 강박적인 성향이 점점 심해지면서 위협을 줄이는 것, 위험을 피하고 병(그리고 죽음)을 방지하는 것 등에 대한 지나친 책임감을 느낀다.

심지어 강박증을 가진 아동은 강박적인 생각이나 마술적인 의식을 통해서 재난을 일으키거나 막을 수 있는 전지전능함을 믿게 된다. 또한 자신이 가진 생각이나 느낌 가운데 일부는 전혀 받아들일 수 없는 것들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어떤 엄청난 징벌을 두려워할 수도 있다.

강박장애를 가진 아동은 자신의 생각이 행동만큼이나 강력하다고 믿는다. 때문에 그들은 항상 ‘옳은’ 생각만을 해야 한다는 것에 대해 엄청난 책임의식을 느낀다. 그들은 ‘잘못된’ 생각을 품을 때 심한 죄의식을 느낀다는 점에서다. 강박적 성격과 강박장애에서 우리는 극단적 형태의 완벽주의가 가져오는 증상들을 본다.

2. 인정과 사랑을 요구하는 상태

완벽주의가 심한 아동은 인정과 사랑을 요구하는 상태이다. 완벽주의는 인정과 사랑, 칭찬을 얻는 방법이 된다는 점에서다.

실제로 완벽주의가 심한 아동은 부모, 돌보는 사람 또는 자신의 비현실적 기대를 갖고 자랐다. 일부 가정에서는 완벽주의가 권장된다. 때때로 부모는 고의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완전성을 표준으로 설정한다. 이 부모는 학교에서처럼 똑바른 피아노 연주나 흠잡을 데 없는 피아노 연주를 요구한다.

이러한 가정에서는 실수도 가혹한 처벌을 받게 된다. 처벌은 가혹할 수 있으며 심지어 모욕적일 수도 있다. 욕하기와 고함치기, 수치심과 묵묵부답, 그리고 체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실수는 용납되지 않음을 말이나 행동으로 아동에게 전한다.

완벽하다는 것은 혼란스럽고 예측할 수 없거나 안전하지 않은 가정에 대한 방어가 될 수도 있다. 흠잡을 데 없는 성적이나 제한적인 식단은 통제력과 예측 가능성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학교와 같은 일부 문화와 기관은 완벽주의적 사고방식을 조장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족이나 부모만이 아니라, 엄격한 가치기준이 있다. 그리고 그 이하의 것은 실패 또는 내재적 무가치함의 표시임을 가르치고 강화하는 더 큰 시스템이 되기도 한다.

3. 완벽주의적인 양육의 결과

완벽주의가 심한 아동은 완벽주의적 양육의 결과이다. 완벽주의의 가장 강력한 예측변수 중 하나는 양육 방법이다. 비판적이거나 가혹하거나 요구가 많은 부모나 보호자가 있는 아동의 경우이다.

이런 아동은 완벽주의적인 특성과 경향을 개발할 가능성이 훨씬 더 높다. 때때로 이러한 경험은 학대 또는 방치된 양육방법의 결과이다. 그리고 다른 때는 높은 기대치를 가졌던 선의를 가진 부모의 결과일 수 있다.

강한 부모-자식 유대는 지나치게 엄격한 양육방법의 해로운 영향을 부분적으로 완충할 수 있다. 이러한 유대가 단단히 형성되지 않으면, 아동은 엄격한 기대를 사랑과 수용의 조건으로 해석할 가능성이 더 크다. 이것은 또한 사람이 어린 시절에 외상이나 역경을 겪을 때 발생할 수 있다.

자녀-부모의 유대감과 가혹한 양육방법이 결합되면, 완벽주의적인 특성이 발달할 가능성이 가장 크다. 아동은 종종 자신에 대한 부정적 믿음이나 ‘도식’을 발전시켜 트라우마 경험을 이해한다.

예를 들어, 학대를 받은 아동은 학대의 원인을 부모 탓으로 돌리기보다 자신이 나쁘거나 사랑받지 못한다는 믿음을 키우는 것이 매우 일반적이다.

높은 수준의 완벽주의를 가진 아동은 정서적 박탈과 유기, 불신과 결함 및 사회적 고립과 관련된 쉐마를 보고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근본적인 부정적 믿음은 실패와 거부에 대한 두려움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이러한 믿음에 대처하는 방법으로 완벽주의가 발전하게 된다. 아동은 자신이 모든 일을 완벽하게 수행한다면(즉, 절대 잘못된 행동을 하지 않고, 더 많은 집안일을 하는 등) 사랑받고 받아들여질 것이라고 믿고 싶어 한다.

대처 방법으로 완벽주의를 사용하고, 자존감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통제력을 더 많이 느끼는 것은 일반적으로 어린 시절에 처음 개발되고 성인기에 반복되는 패턴인 이유이다.

김충렬
▲김충렬 박사.
4. 정리

완벽주의가 심한 아동을 둔 부모라면, 전술한 원인을 참고해 스스로 반성할 필요가 있다. 부모가 올바르게 양육을 한다 해도, 원인이 될 만한 조건이 있기 때문이다. 부모가 자신을 냉정하게 분석해야 개선 가능성이 보인다.

김충렬
한국상담치료연구소장
전 한일장신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