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음표 소녀 앞으로 참고 중복 요청 문제 응답 작업 중요성 기대 질문 정보 우리 아이 왜 이럴까요 이중성 양면성 궁금 김충렬
미루기가 심한 아이들이 있다. 상황에 적절하게 그리고 민첩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아동이다. 아동의 느린 행동을 보면, 부모는 두뇌 회전이 느리지 않을까 하는 걱정을 하게 된다. 이런 아동에 대하여 부모는 정확하게 이해하고 적절하게 대응해야 한다. 그대로 방치하면 심리장애로 이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미루기가 심한 아동은 발달에 문제를 가진 아동, 미루기가 습관이 된 아동, 행동 실천이 약한 아동이라는 특징이 있다. 미루기가 심한 아동은 다음 특징을 갖고 있다.

1. 정서발달의 문제

미루기가 심한 아동은 정서발달에 문제를 보이는 경우로 볼 수 있다. 운동발달과 정서발달은 함께 이뤄진다는 시각 때문이다. 이것은 운동발달과 정서발달이 수레의 양 바퀴라는 의미이다.

특히 6세 이전의 성장기에는 서로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면서 동시에 진행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어느 한쪽의 발달이 뒤떨어지면, 그 영향으로 다른 쪽도 발달이 느려진다.

예를 들어 불안과 두려움이 많은 아동 중에는 신체상 아무 문제가 없는데도 걸음을 늦게 배우는 경우가 있다. 정상적인 운동 능력을 갖추고 있어도 소심하고 겁이 많은 탓에 걷는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정서상의 이유로 운동 발달이 늦는 경우라면, 겁이 나고 불안하게 만드는 요인을 없애야 한다. 아동의 자신감을 길러 주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방법이 됨은 물론이다.

어떤 부모는 아동의 손을 잡고 억지로 걷는 연습을 시킨다. 그런데 자꾸 강요하면, 아이가 걸음마 자체에 대해서 거부감을 갖게 될 수 있다. ‘나는 이런 것도 못하는 사람’이라는 부정적인 자아상을 만들 수도 있다.

2. 심리적 억압의 결과

미루기가 심한 아동은 심리적 억압의 상태에서 양육된 경우로 볼 수 있다. 심리적인 억압에서는 아동의 정신 에너지가 자유롭게 발산되거나 발전되지 못한다는 점에서다.

아동이 자신의 의도와 견해를 키워나가기가 어려운 것이다. 행동의 실천력이 뒤로 밀리게 된다. 자신감 없는 마음이 행동의 실천에 위축된 결과를 보이는 것이다.

실제로 억압이 있는 경우 아동의 정신적 에너지가 정상적으로 발휘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억압은 아동의 마음을 무의식적으로 억누른다는 점에서다. 억압의 상태에서 아동은 정신의 교류나 에너지의 흐름이 차단된다.

교류와 차단은 매우 대조적인 것이지만, 정신의 에너지가 흐르는 측면에서는 동일한 상태를 갖는다. 에너지는 정신의 힘을 의미하므로, 아동은 이런 경우 지구력을 발휘하기 어렵다. 억압 상황에서는 정신의 교류가 방해를 받아 차단되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는 양육의 방법적 문제로서 부모와 관련되고 있다. 전체적 양육에서 이런 유형의 아이는 흔히 뒤처지게 마련이다. 어머니에게 있어 걱정되는 존재이기도 하다.

물론 아동에게 어느 정도 강압적이고 억지로 할 필요도 있다. 예를 들어 피아노를 치는 아동이 연습을 하지 않는 경우이다. 음악 특성상 자주 연습을 하지 않으면, 실력에 발전이 있을 수 없다. 이런 경우라도 억지로 하게 하기보다, 부모의 설득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작용한다.

3. 자발성이 낮은 상태

미루기가 심한 아동은 자발성이 낮은 경우일 수 있다. 이는 자발성이란 지치지 않는 에너지를 제공하는 특성이 있다는 시각에서 이해된다.

아동이 생활에서 자발성을 갖지 못하면, 의욕이 적을 뿐 아니라, 그 반응도 느리기 마련이다. 자발성이 낮은 아동은 대개 생활 전체에 활기가 없고 수동적으로 자라난다. 특별히 즐기는 놀이나 친구도 없고, 시키는 일이나 하며 지나는 것이다.

이런 아동은 무언가 기쁜 일이 있으면, 갑자기 활기 있는 행동을 하기도 한다. 생활이 수동적이 된 원인을 발견하여 생활 전체의 문제로 생각하여 풀어야 한다. 그들 대부분은 부모의 힘이 지나치다든가, 자신을 갖지 못하고 있는 아이들이다. 자발성은 아동의 관심을 붙드는데 마력을 갖는다.

자발성은 일을 지치지 않고 오래할 수 있는 에너지이다. 그래서 개인이 하는 일에 대해 자발성을 갖고 있는지를 살피게 된다. 스스로 나서서 하는 일이므로, 그만큼 힘이 덜 들게 된다. 또 반복적으로 계속 할 수 있다.

이처럼 미루기가 심한 아동의 경우 부모는 아동의 자발성을 유발시키는데 효과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이때 부모는 과제 출제 등을 잘 고려해야 한다. 그리하여 아동의 자발성을 소중하게 여기면서 일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아동이 어떤 일에 관심과 자발성이 없는데 부모가 레슨을 시킨다고 하자. 그런 경우 아동이 억지로 할 수밖에 없다. 자발성이 없는 아동은 근성과 끈기와는 별개의 것으로 생각해야 한다.

끈기를 붙여주기 위해 어떤 일이 있어도 레슨은 계속시킬 것이다. 이것은 근성을 만드는 방법이지만, 아동에게 적합하지 않으면 이미 강압적이 된다. 그러면서 심리적인 부담이 되기에 아동에게는 굉장한 부담으로 작용한다. 레슨을 계속 하는가의 문제는 아동의 자발성 문제이지, 의지의 문제는 아니기 때문이다.

김충렬
▲김충렬 박사.
4. 정리

미루기가 심한 아동을 둔 부모라면, 전술한 원인을 참고해 스스로 반성할 필요가 있다. 부모가 올바르게 양육을 한다 해도, 반드시 원인이 될 만한 조건이 얽혀 있기 때문이다. 부모가 자신을 냉정하게 분석해야 개선 가능성이 보인다.

김충렬 박사
한국상담치료연구소장
전 한일장신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