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 바이든 미 대통령. ⓒ백악관
|
미국 크리스천포스트(CP)에 따르면, 바이든 행정부는 ‘트랜스젠더 가시화의 날’(Transgender Day of Visibility)로 지정된 3월 31일에 발표한 여러 문서에서, 어린이를 위한 ‘성 확인 돌봄 관리’에 대한 지지 의사를 밝혔다.
미국 보건복지부 인구사무국은 “성 확인 돌봄 및 청소년들”(Gender Affirming Care and Young People)이라는 제목의 문서를 발표했는데, 이 문서는 “간성(넌바이너리) 또는 트랜스젠더로 식별된 미성년자들을 위한 ‘성별 확인 조기 돌봄’이 아동 또는 청소년이 사회적 전환에 집중할 수 있게 하며 탐색하는 동안 자신감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전반적인 건강 및 웰빙에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또 유방 절제술이나 확대술과 같은 ‘상부 수술’과 생식기 제거인 ‘하부 수술’이 ‘성 확인 돌봄’으로 열거돼 있다. 문서에는 이 수술이 “성인기에 일반적으로 이용되거나 청소년기에 사례별로 이용된다”고 명시돼 있다.
이어 “성별을 긍정하는 의료는 지지 형태의 의료다. 이는 트랜스젠더와 간성을 위한 의료, 외과, 정신 건강 및 비의료 서비스를 포함한 일련의 서비스로 구성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의료 및 심리·사회적 성별을 긍정하는 의료 행위는 정신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비율을 낮추고, 자존감을 높이며, 트랜스젠더 및 성별이 다양한 청소년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입증됐다”고 했다.
미 보건복지부의 ‘약물 남용 및 정신 건강 서비스 관리국’의 ‘전국 아동 외상 스트레스 네트워크’는 “성별 긍정 치료는 트라우마-정보 치료이다(Gender-Affirming Care Is Trauma-Informed Care)”라는 제목의 문서를 발표했다.
이 문서는 성 확인 돌봄에 “사춘기 차단제 및 성별 확인 호르몬과 같은 증거에 기반한 개입”이 포함된다고 정의하고, 성 확인 돌봄은 아동 학대나 의료 과실이 아니”라고 선언하고 있다.
이 성명은 텍사스 관계자들이 성별 불쾌감을 호소하는 아동에 대한 사춘기 차단 약물 투여를 ‘아동 학대’로 정의하고, “미 식품의약처(FDA)가 이러한 약물 사용을 승인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는 매우 실험적”이라고 지적한 데 이어 나온 것이다.
성명은 “과학적으로 건전하면서 성별을 긍정하는 진료를 제공함으로써 아동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는 없다”며 “트랜스젠더, 다양한 성별, 간성의 청소년은 자신의 정체성과 정체성 개발에 대한 지지와 확인을 받을 때 번성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미국 소아과학회(American College of Pediatricians)는 성별 불쾌감이 있는 어린이에게 사춘기 차단 약물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오랫동안 반대해 왔다.
학회는 성명을 통해 “성전환을 신뢰하는 청소년을 위한 사춘기 차단제, 교차 성호르몬 및 수술의 안전성이나 효능을 입증하는 단일한 장기간의 연구는 없다”고 강조했다.
학회는 “이는 청소년의 (성)전환이 실험적이라는 것을 의미하므로 부모는 이에 대한 사전 동의를 제공할 수 없으며, 미성년자도 이러한 (의료적) 개입에 동의할 수 없다. 더욱이 우리가 성인들에 대해 갖고 있는 최선의 장기적인 증거는 의료적 개입이 자살을 줄이는 데 실패한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고 했다.
그러면서 “사춘기 차단제인 루프론(Lupron)의 일시적 사용은 골다공증, 기분 장애, 발적, 인지 장애를 일으키고, 교차 성 호르몬과 결합할 경우 불임과 같은 심각한 영구적 부작용과 관련이 있으며 원인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 “루프론의 피해 외에도 교차 성 호르몬은 청소년에게 평생 심장 마비, 뇌졸중, 당노병, 혈전 및 암의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