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음표 소녀 앞으로 참고 중복 요청 문제 응답 작업 중요성 기대 질문 정보 우리 아이 왜 이럴까요 이중성 양면성 궁금 김충렬
이타성이 많은 아동이 있다. 주도적으로 행동하고자 하는 마음이 없는 아동이다. 이타성이 많은 아동은 생기가 없는 것처럼 보인다. 아동의 생기발랄함은 그대로 생명력의 상징이다. 생명의 새로운 싹이 싱싱하게 자라나듯, 아동은 싱싱함이 드러나야 하는 것이다.

이타성이 많은 아동은 전혀 그렇지 못하기에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타성이 많은 아동은 자기주도성이 약한 아동, 배려심이 지나친 아동, 자발성이 부족한 아동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타성이 많은 아동은 다음 특징을 갖고 있다.

1. 행동 목표가 약한 결과

이타성이 많은 아동은 행동 목표가 약한 것이다. 행동의 목표가 약한 것은 분명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행동 목표가 정확하면 의욕이 생겨나기 때문이다. 의욕이 있는 아동은 목표가 정확하지만, 이타성이 많은 아동은 목표가 정확하지 않은 것이다.

뚜렷한 목표를 갖고 있는 아동은 의욕도 강한 편이다. 실제로 발전적인 생활을 하는 아동의 경우에는 작은 목표를 자주 세워 나가면서 이루어내는 특성을 갖고 있다. 그런 아동에게는 작은 목표가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여 발전적인 생활이 되도록 만드는 결과를 산출하는 것이다.

생활에서 목표를 세우는데 있어서는 아동에게는 어느 정도의 정확성이 중요시된다. 목표의 정확성은 의욕이 생겨나게 만드는 동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목표와 관련해서 보면 이타성이 많은 아동은 목표설정에 문제는 보인다. 목표가 정확하지 않고 희미하면, 행동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이다.

아마도 이타성이 많은 아동에게는 심리적인 환경과 자연적인 환경이 긍정적이지 않은 데도 이유가 있다고 보아야 한다. 이것은 행동의 향상을 결정하는 성취도에서 아동이 부정적 태도를 갖고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목표는 인간이 행동을 결정하는 힘이라는 점에서다. 아동은 생리적·심리적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목표와 관련하여 욕구와 의욕, 그리고 의지란 아동에게 중요하게 작용되는 요소임을 생각해야 한다. 목표를 갖고 행동하게 되면, 그만큼 분명하게 행동을 하기 때문이다. 이타성이 많은 아동이 행동 목표가 분명하지 않은 이유이다.

2. 주도성이 발달하지 못한 결과

이타성이 많은 아동은 주도성의 발달이 문제라는 시각에서 볼 수 있다. 아동의 의욕은 주도성과 비례하기 때문이다. 의욕이 성장하면 주도성이 발달하고, 주도성이 발달하면 의욕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우리는 주도성에 대해서 한 가지를 분명히 해두어야 한다. 그것은 아동의 주도성은 삶이 시작되는 아동기부터 발달한다.

사람의 주도성은 숨을 거두는 마지막 순간까지 발달한다. 그러면서도 주도성은 한 번 쌓으면, 그대로 남아있는 상태의 단단함을 유지하지 못한다. 주도성은 고도로 취약하고 깨지기 쉬운 채로 남아 있는 것이다.

그러기에 부모는 아동의 주도성을 보존하려고 무척이나 노력해야만 한다. 주도성의 발달과정에서 부모는 반드시 노력해야 할 것이 있다. 생활에서 아동의 가치를 위협하는 것을 삼가야 하는 일이다.

아동이 성장하면서 성취하고 획득한 것에 대해 회의를 느끼게 만들지 말아야 하기 때문이다. 아동에게 획득하고자 하는 것을 가로막고 방해하는 것에 신경을 기울여야 하는 것이다. 그것이 무엇이든 간에 일단은 아동의 주도성에 대한 직접적인 공격으로 간주해야 하는 것이다.

아동이 자신의 주도성을 의심하게 되거나 취약해지면, 스스로 패배감과 굴욕감을 갖기 때문이다. 그 결과는 아동에게 주도성의 감소로 이어지는 것이다.

아동은 주도성으로 우월한 힘에 직면하여 무기력을 이겨나가야 한다. 아동은 성장의 과정에서 열등감이나 실패감 등을 극복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타성이 많은 아동이 주도성이 발달하지 못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3. 성취욕구가 약한 상태

이타성이 많은 아동은 성취욕구가 약한 아동이다. 성취욕구는 무엇을 달성하거나 이루고자 하는 심리적인 강한 기대이다.

성취욕구와 관련된 설문조사에서는 성취욕구가 높은 아동이 보다 나은 것을 시도하려는 행동이 드러난다. 더 낫게 행동하려는 마음은 자신의 욕구에 의해 다른 개인으로부터 스스로를 차별화한다는 것이다.

성취욕구가 높은 아동은 문제에 대한 해결안을 찾는 개인적인 책임감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자신이 발전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알 수 있는 성과에 대한 신속하고 분명한 반응을 받을 수 있다.

그러면서 성취할 수 있는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할 수 있는 상황을 찾게 된다는 것이다. 성취욕구는 아동에게 자신의 능력에 비추어 도전할 만한 가치가 있는 일을 탐색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실제로 성취욕구가 높은 아동은 그러한 일을 성취해 낼 수 있을 것이라는 자신감을 갖게 만든다. 그 반면에 이타성이 많은 아동은 성취욕구가 낮은 편이다. 성취욕구가 낮다면 자신이 직면하는 여러 분야에도 성취도가 낮을 것이다. 그에 따른 결과는 긍정적으로 나타나기 어려운 것이다.

성취동기가 높은 아동과 낮은 아동을 비교해 보면, 서로 다른 독특한 행동특징을 보이는 것이다. 성취욕구의 문제에서 이타성이 많은 아동의 근본적인 문제가 발견되는 이유이다. 이타성이 많은 아동은 단순히 의욕이 약한 정도가 아니라, 바라고 기대하고 이루려고 하는 의욕이 낮기 때문이다.

김충렬
▲김충렬 박사.
4. 정리

이타성이 많은 아동을 둔 부모라면, 전술한 원인을 참고해 스스로 반성할 필요가 있다. 부모가 올바르게 양육을 한다 해도, 반드시 원인이 될 만한 조건이 얽혀 있기 때문이다. 부모가 자신을 냉정하게 분석해야 개선 가능성이 보인다.

김충렬 박사
한국상담치료연구소장
전 한일장신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