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음표 소녀 앞으로 참고 중복 요청 문제 응답 작업 중요성 기대 질문 정보 우리 아이 왜 이럴까요 이중성 양면성 궁금 김충렬
승화의 심리가 많은 아이들이 있다. 자주 행동을 바꾸는 아동이다. 행동의 일관성이 없어서 친구들에게 신뢰를 얻지 못하는 아동이다. 이런 아동을 그대로 방치하면 나중에 행동이 자주 바뀌게 되는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승화의 심리가 많은 아동을 서둘러 개선 및 치료해 주어야 하는 이유이다. 승화의 심리가 많은 아동은 행동에 일관성에 없는 아동, 마음이 자주 바뀌는 아동, 친화성이 문제되는 아동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승화의 심리가 있는 아동은 다음 특징을 갖고 있다.

1. 방어적 심리의 결과

승화의 심리가 많은 아동은 아동기에도 성장의 문제를 노출한다. 생각이 건전하지 못하거나, 행동에 일관성이 없이 왔다 갔다 하는 등의 문제를 노출하는 것이다. 방어적인 심리가 작용하는 결과라는 점에서다.

그런가 하면 일찍이 “반드시 그래야만 한다” 등의 규칙이나 질서에 훈련되지 않아서 환경이 그들에게 타율성이 발휘되는 것이다.

승화의 심리가 많은 아동에게 특이한 행동은 언뜻 보기에는 문제 해결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승화의 심리가 많은 아동은 특이한 행동을 통하여 색다른 경험을 한다.

심한 공허감이나 자기혐오 등 고통스러운 감정상태에서 잠시 벗어날 수 있었다고 말하는 경우이다. 다만 특이한 행동의 긍정적인 효과는 잠시 지속될 뿐이다. 오히려 특이한 행동으로 인하여 친구들과의 관계에 지장이 생긴다. 자신의 행동이 일관을 유지하지 못하고 다르게 변경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자신이 “특이한 행동을 했다”는 죄책감으로 더욱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기도 한다. 그렇다 해서 승화의 심리가 많은 아동은 위험하거나 정신이 이상하다고 생각해서는 안 될 것이다.

승화의 심리가 많은 아동의 상당수가 불안장애, 우울증, 식이장애 등을 경험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어릴 때부터 정신적인 상처(트라우마)를 경험한 경우도 많을 수 있다.

다만 그들이 위험한 아동은 아니지만, 내면적으로는 허약한 아동일 수 있다. 자신의 행동을 바꾸는 것을 통해 자신을 보호하려는 방어적인 측면이기 때문이다.

이들의 행동을 다른 친구에게 해를 끼치지 않으려고 나름의 대응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승화의 심리가 많은 아동을 위험하거나 이상한 아동으로 낙인을 찍기보다는 그들에게 필요한 도움을 주는 것이 중요한 이유이다.

2. 감정이 자주 변하는 결과

승화의 심리가 많은 아동은 감정이 자주 변하는 결과이다. 특이한 행동은 대부분 고통스러운 감정에서 벗어나려는 건강하지 못한 대응방법이다. 감정의 변화에서 가장 극단적인 것은 분노적 감정이 공격적으로 변화는 경우이다. 자신의 생각에 상황이 여의치 않다고 생각될 때 분노하는 경우이다.

대부분의 상황에서 분노와 공격성은 예외가 있겠지만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없다. 어떤 사람들은 종종 분노를 터뜨리지만, 그 결과는 종종 극도로 부정적일 수 있다. 이러한 부정적 결과를 피하기 위해 승화를 사용하여 자신의 충동을 현실화할 수 있다.

여기에는 몇 가지 예를 들 수 있다. 승화의 심리가 많은 아동 중에는 사람을 자르고 싶은 강한 충동을 가지는 경우도 있다. 그 공격적인 충동에 굴복하는 대신, 그런 아동이 외과 의사가 될 수 있다. 외과 의사가 되어 사람들을 해치지 않고 사람들을 자르면서 도울 수 있는 상황이 된다.

승화의 심리가 많은 아동은 누군가에게 극도로 화가 나 있는 경우도 있다. 그런 아동이 그들과 말다툼을 시작하거나 그들에게 해로운 일을 하는 대신에, 승화를 시도하는 사람으로 변화되는 경우이다.

3. 생활에서 욕구의 문제

승화의 심리가 많은 아동은 생활에서 욕구적 문제를 갖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이것은 성장의 환경에서 올바른 욕구를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추정하는 것이다. 승화의 심리가 많은 아동에게 어느 정도 욕구가 결여된 결과라는 점에서다.

승화의 심리가 많은 아동의 욕구가 어떻게 결여되었는가? 그것은 가족환경에서 직접적이거나 또는 간접적으로 경험된다는 개연성이다.

심리학 원리에서 욕구는 내면에서 작용되는 심리적인 힘이다. 어떠한 행위가 그에 맞는 보상과 처벌을 받으면서 몸에 익숙해지는 과정이다. 다만 이 욕구에는 성적 특성도 어느 정도 무시할 수 없다. 아동에게도 성적인 욕구가 작용된다는 점에서다.

승화의 심리가 많은 아동은 다음과 같은 방식을 통해 성적인 욕구를 경험하게 된다고 보아야 한다. 쉽게 만나는 영상물을 접하는 경우이다. TV나 유튜브, 그리고 만화와 인형 등을 접촉하는 경우이다.

자극은 성적인 욕구를 자극하기 쉽다. 성적 욕구의 문제는 아동의 경우에도 인정되어야 한다. 물론 성적 충동이 항상 용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아동이 이성에게 관심을 갖고 있는 경우라면, 정상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는 점에서다.

아동에게도 성적 욕구는 관계에서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을 뿐 아니라, 더 긴밀한 유대감을 발전시킬 수 있다. 많은 성적 충동은 일탈적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해로운 것으로 여겨진다는 점에서 시각을 넓혀야 한다.

그런 점을 고려하여 부모는 승화의 심리가 많은 아동의 충동을 승화시키는 방법에 신경을 기울여야 한다.

부모가 집을 비운 동안에 남매를 남겨두는 경우이다. 부모를 속이면서 특이한 행동을 하는 경우이다. 혼자만의 시간을 갖고자 하는 남자아이의 경우이다. 평소에 충동성을 보이는 아동의 경우이다.

이들에게는 혼자 있을 때 공부하는 것이나 놀이에 에너지를 더 발산하는 습관에 더 많이 신경을 기울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김충렬
▲김충렬 박사.
4. 정리

승화의 심리가 있는 아동을 둔 부모라면, 전술한 원인을 참고하여 스스로 반성할 필요가 있다. 부모가 올바르게 양육을 한다 해도, 반드시 원인이 될 만한 조건이 얽혀 있기 때문이다. 부모가 자신을 냉정하게 분석해야 개선의 가능성이 보인다.

김충렬 박사
한국상담치료연구소장
전 한일장신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