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음표 소녀 앞으로 참고 중복 요청 문제 응답 작업 중요성 기대 질문 정보 우리 아이 왜 이럴까요 이중성 양면성 궁금 김충렬
왜곡 심리가 심한 아이들이 있다. 현실에서 일어나는 사실을 그대로 인정하지 않는 아동이다. 어떤 상황이나 사실에 대해 자신의 생각대로 받아들이는 태도이다. 자신이 원하는 방식대로만 인정하거나 믿으려 하는 아동이다.

주변에서 일어나는 사실에 대해서도 그다지 믿으려 하지 않는 아동이다. 현실 적응의 문제가 있는 점에서, 서둘러 개선해야 한다. 왜곡 심리가 심한 아이는 의심 많은 아동, 불만이 많은 아동, 차별감을 느끼는 아동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왜곡(歪曲) 심리가 심한 아이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1. 의심이 지배적인 결과

왜곡의 심리가 심한 아동은 의심이 지배적이다. 심리적 현상은 부모와의 관계에서 불신감이 조장된 결과이다. 부모와의 사이에서 불신감이 조장되면, 의심이 증폭되기 때문이다.

아동에게 의심이 심하면, 의심증으로 이행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의심이 지배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에서는 심리적인 억압이 작용한다. 의심하는 심리가 정신에서 압도적으로 작용될 때는 자신이 통제하기 어려운 의심증을 유발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아동이 생각하기에 부모가 약속한 것을 지키지 않았거나 자신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행동을 하는 경우이다. 그리고 자신의 욕구에 불만족스런 대응을 했다고 생각되는 경우에 발생한다.

의심이 지배적이면, 아동이 의심하고 싶지 않지만 어쩔 수 없이 의심이 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그것은 자신도 모르게 되는 경향으로서 의식적이기보다는 상당히 무의식적인 측면이다.

이는 의심의 경향이 의식적인 통제 아래서 이루어지기보다는 자신도 분명하게 모른 채 거의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지는 경향이다. 의심의 경향이 하나의 증상으로 굳어지면서, 자신의 의식에서 일어나는 흐름에 훼방을 놓는 결과이다. 자신이 바라는 것과 다른 방향으로 심리적 에너지가 작용하기 때문이다.

2. 억울 심리를 가진 결과

왜곡의 심리가 심한 아동은 억울심리를 가진 편이다. 왜곡의 심리가 심한 아동은 자연히 억울 심리가 가중되어 손해의식을 느끼게 된다.

아동이 억울 심리를 갖게 되면, 의심을 기반으로 하는 피해의식이 생긴다. 억울 심리와 관련하여 우리는 하나 더 알아두어야 할 것이 있다. 바로 불신감이다.

불신감이 많은 아동은 자신이 누군가로부터 피해를 당하고 있다는 억울 심리를 갖는다. 억울 심리와 더불어, 누군가로부터 손해를 보고 있다는 생각에 사로잡힌다.

억울 심리를 갖는 아동은 의심이 많고 남을 경계하고 적대적이다. 다른 사람들의 행동이 자신을 속이거나 배반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여 화를 잘 낸다. 또한 다른 사람들이 어떤 속임수나 나쁜 동기를 숨겨놓고 있으리라고 확신한다. 그리고 늘 그것을 찾아내는데 몰두한다.

이로 인해 다른 사람들과 좋은 관계를 맺지 못할 뿐 아니라, 상대방을 화나게 만들곤 한다. 다만 그런 경우에도 특이한 것은 아동은 전혀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않을 뿐이다. 오히려 자신의 생각을 옳다고 합리화하거나 정당화시킨다는 점이다.

그래서 아동은 상대방이 화를 내면, 자신의 예상이 적중했다는 생각에 의심과 경계를 더욱 강화하게 된다. 그들은 어떤 경우에도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합리화시키는 기회로 삼으려는 노력을 기울이는 편이다.

3. 편견이 높은 상태

왜곡 심리가 심한 아동은 편견이 높은 편이라고 보아야 한다. 편견이 높은 경우 자기 방어적이기 때문이다. 자존감 저하가 개선되지 않으면, 점차 의심증으로 발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왜곡이 심한 경우에는 타인을 신뢰하지 못하는 증상이 특징적이다. 엄밀하게 말하면 타인을 신뢰하지 않는 태도는 실제로 자신을 더 많이 신뢰하지 못하는 것이다.

자신을 신뢰하는 사람은 타인도 쉽게 신뢰한다. 그렇지만 자신을 신뢰하지 못하는 사람은 타인을 신뢰하지 못한다. 자신을 잘 믿는 사람이 타인의 말을 잘 믿어서 사기를 당하거나 속는 경우에서 알 수 있다.

여기서 문제는 그 이후에 발생한다. 왜곡의 심리가 심한 아동은 자존감이 결여된다. 그러면서 의심증으로 발전되면, 현실과 매우 동떨어진 상상이나 환상이 가능해진다.

의심증에서 가장 흔한 증상은 두드러지는 피해 망상이다. 지나치게 심한 자기 지시적인 경향이기 때문이다.

왜곡 심리가 심한 아동에게 병리적 증상 이행이 우려스럽다. 의심증이라는 심각한 병리적 증상으로 이행되면 큰 문제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아동은 타인의 행동이나 말이나 몸짓, 그리고 손짓 등을 자기에 대한 무시로 이해하게 된다. 자신에 대한 고의적인 무시, 비웃음, 그리고 경멸 등으로 오해하기 때문이다.

이것이 발전되면 아동이 자기 지시적 경향이 심해진다. 사실은 그렇지 않은데도 그렇게 되는 현실로 받아들인다. 자신은 공격을 당하고 있거나 비웃음의 대상으로 믿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들이 가진 죄책망상은 죄책감을 입증하는 경우도 있다.

김충렬
▲김충렬 박사.
4. 정리

왜곡 심리가 심한 아동을 둔 부모라면, 전술한 원인을 참고해 스스로 반성할 필요가 있다. 부모가 올바르게 양육을 한다 해도 반드시 원인이 될 만한 조건이 있기 때문이다. 부모가 자신을 냉정하게 분석해야 개선 가능성이 보인다.

김충렬 박사
한국상담치료연구소장
전 한일장신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