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교 비평, 설교자 격려하고 찬미하며
청중도 말씀 통한 성숙 기회 주기 위해
결단의 표현과 사랑과 선행 격려 효과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최광희 박사(오른쪽)가 발표하고 있다. 왼쪽은 좌장 신성욱 교수. ⓒ학회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회장 박태현 교수) 제41회 정기학술대회가 ‘코로나 이후 교회 활성화’를 주제로 지난 11월 27일 오전 10시부터 분당 만나교회(담임 김병삼 목사)에서 개최됐다.

이후 최광희 박사(행복한교회)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교회 활성화를 위한 청중의 설교 참여 방안 연구’를 제목으로 자유발표를 진행했다. 그는 ‘코로나 시대 교회 활성화를 위한 특별한 준비’의 대안으로 청중이 소그룹 활동을 통해 설교에 참여하도록 하는 방안으로써 ‘설교 비평’을 제시해 눈길을 모았다.

최광희 박사는 “코로나 팬데믹을 경험하면서 정체된 신앙 공동체를 바람직한 모습으로 활성화하려면, 특별한 준비와 노력이 필요하다.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을 초대교회 모습으로부터 모색하고자 한다”며 “초대교회는 생명력 있는 설교와 설교 후의 말씀 나눔이라는 두 가지 방법을 통해 신앙 공동체가 활성화됐다”고 소개했다.

최 박사는 “대표적인 예로, 베뢰아 성도들은 말씀을 받은 후 이것이 그러한가 날마다 성경을 상고했다고 한다. 이처럼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교회를 활성화하기 위한 해결책을 다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며 “첫째는 설교자의 수준을 높이는 것, 둘째는 청중들도 받은 말씀을 서로 나누는 활동에 적극 참여하는 것이다. 이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해결할 방법이 바로 ‘설교 비평’”이라고 제시했다.

그는 “설교 비평이 필요한 이유는 먼저 열정적으로 말씀을 준비하고 전달한 설교자를 격려하고 찬미하기 위해서, 그리고 청중 역시 그 말씀을 통해 성숙의 기회를 얻기 위해서”라며 “여기서 ‘설교 비평’이란 청중에게 설교를 평가시키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임재를 체험하였음을 표현하는 열정적 공감이다. 설교를 찬미하고 ‘아멘’으로 화답하게 하는 방법이다. 설교가 본문의 찬미이듯, 설교 비평은 설교의 찬미가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또 “설교 비평이 필요한 또 하나의 이유는 청중의 설교 참여를 위해서다. 설교에서 청중은 수동적 존재들이 아니라, 설교에 적극 참여하는 자”라며 “설교의 적용을 위해서도 비평이 필요하다. 설교자는 적용으로 청중을 데려갈 책임이 있다. 물론 그 가치관을 받아들이고 실행하는 주체는 청중 자신이다. 각자 결심한 내용을 표현하고 서로 사랑과 선행을 격려하려면, 설교 비평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광희 박사는 “성경 속 엠마오로 가던 두 제자나 교회사 속 성도들을 보더라도, 살아있는 하나님 말씀이 전해졌을 때는 기뻐하며 그 말씀으로 서로 대화하든 반발하든 어떤 반향이 있는 것이 당연하다”며 “설교를 들은 청중은 그 들은 내용에 관해 대화를 나누는 것이 자연스럽고 설교 목적에도 부합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최 박사는 “이렇게 중요한 설교 비평이 지금까지 관심 밖으로 밀려나 있었던 이유는 첫째로 강단의 성역화라는 장벽 때문이고, 둘째로 설교 비평자의 자질 및 설교 비평 기준이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며 “설교를 비평할 때는 설교자에 대해 예를 갖추어, 긍정적 평가 후 아쉬운 점이나 보완점을 언급해야 한다. 또 비평하는 사람은 설교자 못지 않은 설교학적 기준을 확보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설교 비평 시에는 지·정·의 3요소 가운데 감동을 먼저 전하는 것이 좋다. 청중에게 무언가가 들렸고, 청중이 그것을 이야기하는 일이 바로 설교의 찬미”라며 “설교에서 어떤 감동을 받았는지 나누고(情), 근거와 내용을 함께 파악하며(知), 결단이 있어야 한다(義)”고 정리했다.

효과적 설교 비평 방법에 대해선 먼저 ‘설교자 그룹’과 ‘청중 그룹’을 구분했다. 이에 대해 “설교 비평은 아무리 좋게 표현해도 설교자와 청중 모두에게 부담스러울 수 있기 때문”이라며 “‘설교자 그룹’은 설교자들끼리 모여 매주 한 사람의 설교를 비평함으로써 설교에 공감하고 격려하는 일과 더불어 설교 내용과 전달 방법 등을 평가하며 그 설교자가 더 발전할 수 있도록 세워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청중 그룹’에 대해선 “설교를 들은 후 소그룹에서 서로 나누면서 말로 표현하는 과정을 통해, 설교 내용이 다시 정리되고 강화될 수 있다. 나눔을 하면 설교 시간에 더욱 집중해서 듣는 효과도 있을 것”이라며 “이와 함께 청중이 열정을 다해 설교를 듣는 것 자체, 그리고 그 설교에 대해 계속 생각하고 다른 사람과 이야기하는 것까지 하나님과 동역하는 것임을 알게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최 박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청중 그룹 모임도 오프라인과 함께 온라인과 메타버스를 병행할 수 있다”며 “대면 모임은 한 주간 두 번 이상 모이기가 힘들지만, 메타버스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나 교제할 수 있다. 그리고 직접 만나서 교제하지 못한 아쉬움은 대면 모임을 더욱 갈망하게 하거나 각자 실천활동을 격려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학술대회에서는 이 외에 박태현 박사(총신대)가 ‘로이드 존스의 개혁주의 부흥설교’, 서지마 박사(프리토리아교회)가 ‘고난 설교를 위한 설교학적 제안: 구속사적 내러티브 설교를 중심으로’, 박동진 박사(복음과지음교회)가 ‘마틴 로이드 존스의 성령 세례 이해의 신학적 기원: 청교도의 온전한 확신교리’, 안덕원 박사(횃불신대)가 ‘문화와 교회건축 그리고 21세기 한국 개신교 교회건축의 주제와 과제’, 김순환 박사(서울신대)가 ‘“위드 코로나 시대를 위한 한국교회 예배의 진로모색: 삶 속에서의 시간적 공간적 예배지평 확장’, 김경재 박사(이랜드 사목)가 ‘일의 신학에 기반한 총체적인 제자훈련’을 각각 발표했다. 주제발표 ‘올라인(All Line) 교회’는 김병삼 목사가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