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음표 소녀 앞으로 참고 중복 요청 문제 응답 작업 중요성 기대 질문 정보 우리 아이 왜 이럴까요 이중성 양면성 궁금 김충렬
투사-심리가 심한 아이들이 있다. 보는 데서는 잘하는 체 하고, 안 보는 데서는 행동을 다르게 하는 아동이다. 투사-심리가 심한 아동은 자신의 행동을 솔직하게 드러내지 못한다.

일반적으로 아동은 어느 정도 양면성이 있지만, 투사-심리가 심한 아동은 심한 정도에 해당한다. 투사-심리가 심한 아이는 핑계가 많은 아동, 변명이 많은 아동, 책임감이 약한 아동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1. 피해의식의 결과

투사-심리가 심한 아동은 피해의식이 많은 편이다. 신뢰하지 못하는 마음은 많은 아동은 피해의식을 가진 결과로 보아야 한다.

아동은 피해의식을 느끼면, 어려서부터 타인을 신뢰하지 못하는 마음이 증가된다. 여기서 우리는 한 가지를 짚고 넘어가야 한다. 피해의식은 이미 신뢰하지 못하는 마음이 조장된 결과라는 사실이다.

피해의식을 갖는 아동은 신뢰하지 못하는 마음이 상당히 증가된 병리적인 차원이다. 피해의식은 편집증에서 2단계에 해당되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아동의 피해의식은 내면에서 존재가치의 발휘를 못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피해의식을 갖는 아동은 자신이 하고 싶은 마음보다 부모, 특히 어머니의 눈치를 본다.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보다 어머니에게 야단맞지 않으려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부모나 상대방의 눈치를 보는 아동의 태도는 본능적인 측면이 작용한 경우이다. 이는 부모의 정당하지 않은 태도에 따른 아동의 반응이자 대응적 측면이다.

그러니까 아동은 자기도 모르게 더 많이 야단맞지 않으려고 부모의 기준에 맞추려 한다. 부모의 강한 기준에 부합하지 않으면, 자신이 부모로부터 야단을 맞아 좋지 않은 아동으로 평가를 받는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피해의식을 갖고 있는 아동의 마음에는 편견을 갖고 있다. 부모가 자신에 대해 정당하게 대응하지 않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하여 아동의 마음에는 자신을 부당하게 대응하고 있다고 여긴다.

2. 자존감이 낮은 상태

투사-심리가 심한 아동은 자존감이 결여돼 있다. 자존감이 낮은 상태라면, 자신감이 저하된 편이다. 자존감은 자신감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투사-심리가 심한 아동의 어머니는 다정하고 따뜻한 어머니이기보다는 “아는 것이 힘이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마치 교육에 열중하는 선생님의 모습이다. 아동에게 생각의 분명한 논리만 전달하기 때문이다. 아동에게 정(情)적인 신호를 주어 정신에너지를 전달하지 않고 있다.

아동은 점차 정서적으로는 억압이 일어나면서, 자아는 위축되어 가는 것이다. 아동의 자존감이 부모로부터 오는 아동에 대한 존재의 인정에서 오는 결과이다.

이와 같은 현상을 우리는 다음의 비교에서 알 수 있다. 학교 성적이 좋지 않아도 존재의 인정을 받는 아동은 건강하다. 정신적으로 긍정적인 에너지가 충만하여 자신감이 많기 때문이다.

반면 학교 성적이 좋아서 공부를 잘하는 아동이 건강하지 않을 수 있다. 부모로부터 존재의 인정을 못 받는 경우라면, 자신감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대체로 우리 부모는 아동이 공부를 잘하거나 특별한 재능을 발휘하는 경우 대단한 존재로 인정을 한다. 그렇지 못한 경우 아동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거나 무시한다. 나아가 그런 아동에 대해 부끄러워하기도 한다.

여기서 우리는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이 있다. 자신감의 문제는 아동의 능력과 어느 정도 연결되기는 한다. 그렇지만 그것은 절대적인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 공부를 못하는 아동이라도 자신감이 충만한 아동이 있기 때문이다.

아동의 자신감이 부모로부터 나오는 존재 인정과 관련된다면, 부모야말로 아동의 자신감을 상승시키고 하락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자존감이 결여된 아동이 자신감이 저하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3. 부정 자극을 많이 받은 결과

투사-심리가 심한 아동은 부정적인 자극을 많이 받은 결과이다. 부모가 아동에게 부정적인 자극을 자주 하면, 아동에게는 부정성이 축적되기 때문이다.

부모에게도 특정한 아이를 귀엽다고 생각하는 것은 있을 수 있다. 그렇지만 그 마음을 밖으로 표출하면, 부모로서 바람직한 행동이 아닌 것이다. 대단치 않은 차별이나 편벽이라도 아동 눈에는 금방 간파되고, 신뢰하지 못하는 마음을 갖게 만들기 때문이다.

반면 귀여움을 받는 그 아이는 특권 의식을 갖게 된다. 그리하여 “다소 장난을 쳐도 못본 체 할 것”이라는 다소 부모의 묵인을 전제로 하는 마음을 갖게 된다. 그 결과 자칫하면 비뚫어진 마음, 세상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갖게 만드는 것이다.

그러면 부모는 자신도 모르게 행동하는 잘못된 행동이 과거에 부모로부터 학습된 것일 수 있다. 아동의 양육에 문제를 보이는 부모의 경우, 대부분 과거에 유사한 경험을 하였다. 아동의 특성에 맞추어 양육하기보다 자신의 기준에 맞추어 양육한 결과이다.

4. 정리

투사-심리가 심한 아동을 둔 부모라면, 전술한 심리적 원인을 참고해 스스로 반성할 필요가 있다. 부모가 올바르게 양육을 한다 해도, 반드시 원인이 될 만한 조건이 얽혀 있기 때문이다. 이는 부모가 자신을 냉정하게 분석해야 개선 가능성이 보인다.

김충렬
▲김충렬 박사.
김충렬 박사
한국상담치료연구소장
전 한일장신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