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음표 소녀 앞으로 참고 중복 요청 문제 응답 작업 중요성 기대 질문 정보 우리 아이 왜 이럴까요 이중성 양면성 궁금 김충렬
허세가 많은 아이들이 있다. 사실과 다르게 말하고 행동하는 아동이다. 허세는 자기방어적 성격이 강하므로, 이미 아동의 문제점을 노출하는 상태이기도 하다. 아동의 심리적 문제의 개선을 요구하는 표식이라는 점에서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허세가 많은 아동은 안정감이 없는 아동, 자기방어가 강한 아동, 자신을 부풀리는 아동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허세가 많은 아동은 다음 특징을 갖고 있다.

1. 자아가 허약한 결과

허세가 많은 아동은 자아가 건강하지 못하다고 보아야 한다. 자아가 건강하지 못하면 자신의 의도를 당당하지 드러내지 못하고, 부모나 주변의 눈치를 보는 경향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런 현상은 아동의 심리적인 허약함이 노출되고 있다는 점에서, 부모가 아동의 눈치 보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아동이 눈치를 보는 것은 부모가 적절한 애정을 쏟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암시하기 때문이다. 누군가로부터 진정하게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는 소외감이 아동으로 하여금 눈치 보게 만들고 있다.

이렇게 눈치를 볼 때는 이미 야단을 많이 맞았다는 것이기도 하다. 눈치를 볼 때 야단맞지 않기 위한 조심스런 행동을 방어적으로 취하기 때문이다. 이 정도의 행동은 이미 아이의 자연스러움이 소실된 상태이다.

그러나 이런 행동은 부모의 애정결핍이 그렇게 만든 결과로 보아야 한다. 아동은 부모의 애정을 받으면 건강하게 자라난다. 애정은 사람을 건강하게 만드는 마력이 있기 때문이다.

부모는 아이를 때로 편애할 수 있다. 첫째와 둘째의 차이, 부모의 말을 고분하게 듣는 아이와 그렇지 않은 아이, 더 정적인 아이와 이성적인 아이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다 보면 부모는 자신도 모르게 자신의 성격과 유사한 쪽으로 관심이 기울어 반응하게 될 것이다.

2. 자기방어적인 상태

자기방어적인 측면은 아동이 잘못했을 때 순간을 모면하려고 시도하는 방법이다. 이때 아동은 문제의 원인을 타인에게도 돌리는 투사를 작동하는 것이다.

투사(投射, projection)란 문제의 원인을 비자기적인 것으로 돌리는 행위, 즉 불쾌한 것을 다른 이에게 전가시키는 행위이다.

아동은 외부로부터 오는 부담과 압력으로 인해 느끼는 불안을 떨쳐버리기 의해 거짓말로 반응한다. 자신의 과오를 인정하거나 용납 및 수용하지 않고 순전히 남의 탓으로 돌리는 것이다.

이 현상은 일종의 자기합리화(rationalization)로서 받아들이기 어려운 일을 타인이나 외부 세계에 적절한 구실을 전가시킴으로서 금지와 처벌을 모면하는 것이다. 아동은 이렇게 함으로 도덕적인 불안을 벗어나 방어하게 된다.

이런 투사는 아동이 자주 쓰는 방법이다. 투사는 자아의 방어기제의 원형이라는 의미는 아동이 도피를 위하여 그만큼 자주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주 사용하는 데는 사용이 손쉽기 때문인데 자신이 잘못한 경우 그 원인과 내적인 동기가 자신에게는 존재하지 않고 순전히 타인 때문이라고 책임을 전가한다. 이로써 아동은 일단 그 죄책과 불안으로 부터 해방을 경험한다.

이런 투사의 형태는 샤머니즘에서 자주 사용함으로써 죄책이나 잘못된 결과의 책임을 회피시켜주는 방법이다. 물론 이는 완벽한 모면이나 처방은 될 수 없으며, 다만 일시적인 것이라는 시한성에 제한되고 있다.

3. 존재 인정을 받지 못한 결과

존재 인정을 받은 아동은 내면에 긍정성이 축적되어 자신감이 있기 때문이다. 자신감을 가진 아동은 당당한데 비해, 허세가 많은 아동은 당당하지 못하다는 데서 이해된다.

부모는 아동에게 그 아이가 갖고 있는 능력 이상의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런 심리적인 상황에서 아동은 부모로부터 보이지 않는 억압을 경험하게 된다. 자신은 잘 하고 싶은데, 부모의 기대에 도달되지 못하는 것이다.

실로 아동은 평소에 자기 나름의 발전을 하면서, 부모의 요구에 응하려고 노력하지만 쉽지 않다. 그래서 아동은 자신도 모르게 자주 한숨을 쉬게 된다. 이런 현상을 두고 부모는 겉과 속이 다르다고 보는 것이다.

이것이 더 심각해지면, 아동은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친구를 모함하는 요령을 부리게 된다. 예를 들어, 부모가 보고 있으면 친구보다 먼저 무엇을 하고 나서 “저는 했어요. 저 애는 아직이구요” 하고 고자질한다.

감독하고 있지 않는 곳에서는 행동이 태만하므로 마침 그럴 때 부모의 얼굴이 보이면 깜짝 놀라는 것이다. 이런 경우 부모는 아동의 단순한 ‘교활’에 대해 못본 체하고 책망하지 않는 것이 좋다.

가정에서는 얌전하지만 학교에서는 뽐내는 경우도 있고, 이는 주위 환경에 따라 적응하고 있다고 생각하여야 한다. 엄마에게는 솔직하게 약속하는데 아빠에게만은 그 약속도 깨뜨리고 마는 경우도 대부분은 가정교육의 불합리에 원인이 있다.

김충렬
▲김충렬 박사.
4. 정리

허세가 많은 아동을 둔 부모라면, 전술한 원인을 참고해 스스로 반성할 필요가 있다. 부모가 올바르게 양육을 한다 해도, 반드시 원인이 될 만한 조건이 얽혀 있기 때문이다. 이는 부모가 자신을 냉정하게 분석해야 개선 가능성이 보인다.

김충렬 박사
한국상담치료연구소장
전 한일장신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