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음표 소녀 앞으로 참고 중복 요청 문제 응답 작업 중요성 기대 질문 정보 우리 아이 왜 이럴까요 이중성 양면성 궁금 김충렬
관계-의존형 아이들에 이어, 관계-지배형 아이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친구들을 규합하여 지배력을 행사하는 아이들을 말한다.

관계-지배형 아동은 힘으로 친구들을 제압하여 폭력을 행사하기도 한다. 주변 친구들을 위협하면서 두려워하게 만들기에, 또래관계에 문제를 보인다. 지배력은 공격성의 문제이므로 서둘러 개선해야 한다.

관계-지배형의 아동은 친구들을 끌고 다니는 아동, 힘의 우위를 지향하는 아동, 공격성이 많은 아동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1. 욕구불만이 내재된 결과

관계-지배형 아동은 욕구불만이 내재되어 있다. 이 욕구불만이 툭하면 행동으로 터져 나오게 된다. 물론 이 욕구불만은 강한 에너지를 수반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쉽게 공격성으로 돌변하는 수가 많다.

이런 이유로 그들은 양면적인 성격을 갖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이런가 하면 저러고, 저런가 하면 이러기 때문이다. 사람은 누구나 양면성을 갖고 있지만, 이들의 양면성은 매우 극적인 현상을 보인다. 마음에 들고 좋을 때는 활력 있게 행동하지만, 마음에 들지 않을 때는 전혀 행동하지 않으려 한다.

이런 현상은 그 차이가 너무나 대조적이므로, 때로는 극과 극을 달린다. 동생들과 어울려 놀 때는 거의 리더의 역할을 하지만, 자주 토라지는 특성을 보인다. 감정 기복이 심하여 인격의 원만성을 보이지 못하는 것이다. 그래서 불안정하고 어디로 튈지 모르는 축구공이나 다름없고, 놀이를 하다가도 자주 다투거나 싸우게 될 것이다.

마음에 맞는 아이와 놀 때는 누구보다도 인정스런 모습을 보이기도 하지만, 싫으면 누구보다도 강한 미움을 표현할 것이다. 이처럼 관계-지배형의 아동은 감정이 강한 것이 원인이다.

그러다 보니 자아의식이나 자기 주장도 대단히 강하다. 이것이 좋은 방향으로 가면 대단히 적극적인 인격으로 성장한다. 활력 있는 시작만 하면, 그 일에 돌진해 가는 적극성을 갖는다. 그리고 어떤 일에서는 반드시 해내려는 근성도 있다.

반면 나쁜 방향으로 가면, 자기중심성이 강한 경쟁형이 되고 만다. 자부심이 강하고 욕심쟁이가 되는 것이다.

친구 관계에 반목이 심하여 진정한 친구를 사귀기 어렵지만, 친구를 잘 사귀어도 쉽게 헤어진다. 꾸준하게 지속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그래서 친구를 잘 사귀며 지내다도 감정이 상하면 곧잘 결별을 선언해 버린다.

2. 열등감 보상의 상태

관계-지배형의 아동은 열등감을 숨기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그들의 지배하려는 심리는 열등감의 보상에서 이해되기 때문이다.

아동의 지배욕은 겉으로는 열등감과 대립된다. 지배욕은 다스리려는 데서 나오고, 열등감은 다스림을 받는 환경에서 유발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외적인 현상의 구분일 뿐, 내적으로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지배욕과 열등감은 동전의 양면과 같다. 지배욕구란 심리학적으로는 일종의 열등감 보상에서 발현되기 때문이다. 지배욕은 열등감의 다른 면이라는 점은 실로 흥미롭다. 지배욕과 열등감은 한 지체에 있는 서로 다른 대립적 특성이기 때문이다.

아들러(A. Adler)는 이 지배욕구를 ‘힘에의 의지’(Wille zur Macht)로 표현하였고, 이를 인간의 중요한 본능으로 보았다.

아들러에 의하면 인간의 권력욕이나 지배욕은 근본적으로 열등감에서 비롯된다. 열등감이 강한 사람일수록 지배욕을 강하게 나타내고자 한다는 것이다.

열등감을 가진 사람일수록 권력에 대하여, 그리고 지배와 굴복에 대하여 민감한 것이 사실이다. 누가 강한 지배욕을 보인다면, 그만큼 열등감을 보상하려는 차원이다. 심한 열등감을 보인다면, 지배욕을 발휘하지 못한 데서 비롯되고 있는 것이다.

3. 결핍된 양육의 결과

관계-지배형 아동은 긍정에너지가 결핍된 측면이다. 긍정에너지의 결핍은 부정적 특성이다. 이는 아동이 부모로부터 긍정적인 에너지를 받지 못한 결과이다.

실제로 부모는 자신이 못한 부분에 대해 자녀가 해 주었으면 소원과 기대를 반영하기도 한다. 이런 시각에서 보면 부모의 강요가 때로는 순전히 아동을 위한 것만이 아니라, 부모의 성격적인 특성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이런 부모의 강요는 대개 지난 날 부모 자신이 박탈당한 것을 보상받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아동에게 행해질 때도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부모는 자신이 배우지 못한 것에 대한 보상으로 자녀에게 공부하는 것을 강요하는 태도를 보인다.

또 하나의 이유는 부모 자신의 주변 사람들의 낮은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작용한다. 그러니까 그런 부모들은 다음의 문제를 유발시킨다. 아이들을 너무 버릇없게 키운다고 다른 사람들이 생각할지도 모른다는 시선에 대한 두려움, 아이들이 다칠지도 모른다는 부상에 대한 두려움, 아이가 어떤 물건을 부술지 모른다는 두려움 등이 아이들을 강요하는 동기로 작용하는 것이다.

김충렬
▲김충렬 박사.
4. 정리

관계-지배형의 아동을 둔 부모라면, 전술한 원인을 참고해 스스로 반성할 필요가 있다. 부모가 올바르게 양육을 한다 해도, 반드시 원인이 될 만한 조건이 있기 때문이다. 부모가 자신을 냉정하게 분석해야 개선 가능성이 보인다.

김충렬 박사
한국상담치료연구소장
전 한일장신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