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음표 소녀 앞으로 참고 중복 요청 문제 응답 작업 중요성 기대 질문 정보 우리 아이 왜 이럴까요 이중성 양면성 궁금 김충렬
부모를 원망하는 아이들이 있다. 부모의 의견에 순순히 따르지 않고 거부하는 행동을 취하는 아동이다.

아동들은 특성상 어린 시기에는 어느 정도 부모의 의견에 따르게 된다. 그렇지만 내면에서 부모를 원망하는 아동은 그만큼 마음에 문제들이 내재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모를 원망하는 아동을 방치하면, 더욱 심각한 문제 로 이행하게 된다는 점에서 서둘러 개선해야 한다.

부모를 원망하는 아동은 불만이 가득한 아동, 부정성이 많은 아동, 욕구불만이 많은 아동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부모를 원망하는 아동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1. 정서 발달이 미숙한 결과

부모를 원망하는 아동은 정서발달에 문제를 보이는 것이다. 정서가 원만하게 발달되면 반항심이 해소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이다.

반항심(反抗心)이란 다른 사람이나 기존의 권위 따위에 대하여 반대하거나 저항하려는 마음이다. 이 반항심은 자신의 의견이나 심리에 충돌하거나 저항이 되는 현상이다. 자신의 기준에 부합되지 못한다고 생각하여 못마땅해 하는 심리적 현상이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정서발달의 미숙은 정신적 측면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의사소통이 잘 안 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런 상태에서 아동은 자신의 주장을 더 내세우는 태도가 우선되기 때문이다.

다르게 표현하면 아동이 자신이 바라는 것을 부모에게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하여 다르게 반응하는 경우이다.

이런 아동의 경우 대개 아직은 나이에 따른 적절한 발달을 이루지 못하여 애기의 티를 벗지 못했기 때문에, 생활의 질서를 잘 이해하지 못한다.

자기가 원하는 것이 일단 충족되어야 하고 부모의 의견에 따르는 일을 자신이 거부당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나이에 걸맞지 않게 심리적으로는 아직도 덜 성숙한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 경우는 이렇다 할 반항의 의지는 없는 채, 말만 듣지 않는 편이다.

이러한 발달의 미숙성은 대개 열등감이 뿌리에 자리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열등감은 아동의 정서가 정상적으로 작용하는데 방해적이다.

2. 심리적인 억압의 상태

부모를 원망하는 아동은 심리적으로 억압 상태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억압은 심리적으로 눌려 있다는 것으로, 그 원인은 다양하다. 자신의 요구가 거절되어, 욕구가 충족되지 않아서, 원하는 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등 실로 다양하다.

억압은 아동의 자유로운 감정을 억제시킨다. 이처럼 반항적인 태도는 그들의 내면에 부정적인 에너지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부정적 에너지는 욕구의 불만과도 상당 부분 관련성을 갖는다. 여기에는 물론 부모가 강제적이며 지나치게 엄하기 때문에 기를 펴지 못하는 현상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아동이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받고 있음을 상정하게 된다. 아동의 의사나 욕구나 자주 무시당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에 아동의 내면에는 불만감이 쌓인다.

이런 아동들은 어머니에게 의사가 거절되거나 아버지로부터 인정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할 것이다. 이런 아동은 친구 관계도 원만치 못하기 쉬운데 그들이 가진 불만감을 친구들에게 스트레스를 표출하기 때문이다.

이들의 행동은 일상의 생활에서 부정적인 감정덩어리를 만들어 나가고 있다. 이런 감정 덩어리는 나중에 어떻게든 터져나오게 되는 폭탄이나 다름없는 것이다.

3. 수동-공격의 상태

부모를 원망하는 아동은 내면에 공격성을 내재되어 있다. 일정한 자극이 가해지면 거침없이 공격성이 나올 준비가 되어 있다.

물론 이 공격성은 언어적인 것이나 행동적인 것으로 상황에 따라 다르게 표출될 것이다. 반항적인 아동은 대체로 에너지가 많은 편이다.

그런 에너지는 대개 공격성으로 드러난다. 이들의 공격성은 자기애적 박탈감과 수치심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그러니까 이들의 자기애적 박탈감과 수치심은 굴욕감과 격노를 증가시킨다.

아동은 상처받은 자기애를 보존하고 회복하는 데에 공격성뿐 아니라 다양한 방법기제를 동원한다. 그 중에 하나는 모든 책임을 다른 아동에게 돌리는 투사(投射)와 공격자와의 동일시이다.

이는 자기애의 발달이 병리적으로 내사에 뿌리내리고 있는 상태로서 고착되고 박탈된 자기애의 특성을 과대적으로 해석하려는 결과이다.

때로는 아동의 반항은 에너지라는 힘의 측면에서 이해할 수도 있다. 힘이 없는 아이는 그다지 원망하는 태도를 취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반항은 일종의 정신적 에너지의 산물이라는 점에서 원망하는 아동은 대개 체력이나 능력이 뛰어나 현재 하고 있는 일이 지루하며, 남아도는 에너지를 반항에 소비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이런 유형의 아이는 늘 부모에게 선수를 치면서 “알고 있다, 해 본 적이 있다, 어제도 똑같은 거 하지 않았느냐” 등 의례히 한 마디 한다. 이는 반항적인 아동에 대하여 에너지의 발산을 자세히 관찰하고 그 이유가 무엇인가를 확인해야 하는 이유이다.

김충렬
▲김충렬 박사.
4. 정리

부모를 원망하는 아동을 둔 경우에 해당되는 부모라면, 전술한 원인을 참고하여 스스로 반성할 필요가 있다. 부모가 올바르게 양육을 한다 해도 반드시 원인이 될 만한 조건이 얽혀 있기 때문이다. 부모가 자신을 냉정하게 분석해야 개선 가능성이 보인다.

김충렬 박사
한국상담치료연구소장
전 한일장신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