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음표 소녀 앞으로 참고 중복 요청 문제 응답 작업 중요성 기대 질문 정보 우리 아이 왜 이럴까요 이중성 양면성 궁금 김충렬
식욕이 약한 아이들이 있다. 부모가 조르고 보채도, 먹는데 신경전을 벌이는 아동이다. 아동은 성장의 과정 중 잘 먹는 때도 있다. 식욕이 약한 때도 있지만, 심한 경우에는 개선해 주어야 한다. 자칫하면 식욕부진증으로 이행돼 발육에 문제를 보일 수 있기 때문에 개선해야 한다.

식욕이 약한 아동은 음식을 두고 갈등하는 아동, 긍정성이 낮은 아동, 신체에 문제를 보이는 아동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식욕이 약한 아동은 다음 상태를 중심으로 원인을 이해해야 한다.

1. 신체와 관련되는 문제

식욕이 약한 아동은 신체적인 측면과 관련된다고 볼 수 있다. 신체적인 측면이란 신체적인 기능의 측면으로, 신경전달물질까지도 연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신체적인 측면이란 생리적인 이상과 연관성을 시사한다. 신체의 생리적 조건이 식사의 행위에 적절히 대응되지 않는 것이다.

식사행동의 중추는 시상하부(hypothalamus)이다. 그 중에서도 측면시상하부(lateral hypo thalamus)는 식사행동을 시작하게 만드는 감각센터(feeling center)이다. 배내측 시상하부(ventro-medial hypothalamus)는 이를 중단시키기는 포식중추(satiety cente)r이다. 이때 인슐린은 혈당을 내리므로 배고픈 느낌을 야기한다.

낮아진 혈당이 오르려고 할 때, 즉 당-이용도(glucose utilization)가 떨어져 동맥과 정맥 사이의 혈당에 차이가 적어질 때 식욕이 느껴진다. 이를 포도당 항상성 이론(glucostatic theory)이라고 한다. 장(腸)에서 흡수된 탄수화물이 간의 시상하부의 혈당수용기(glucore- ceptor)에 감지되어 그 정보가 미주신경(vagus)을 통해 뇌로 전달되고 인슐린이 유리되면, 배고픔을 느끼게 된다.

시상하부는 식욕을 자극하는데 결정적으로 역할한다. 음식에 대한 갈망인 식욕(appetite)도 포만감과 함께 음식물 섭취를 조절하는 기전에 관여한다. 배고픈 사람이라면 음식이 많이 있을 때 충분히 만족할 때까지 먹을 것이다. 식욕은 사람으로 하여금 포만감의 도를 넘어서 폭식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물론 생각이나 감정 등의 심리적인 요소도 식욕을 증가시키는데, 비정상적인 식욕은 음식물의 섭취를 비정상적으로 증가시킨다. 특히 후각기관도 포만감을 느끼는데 일조하게 된다. 특정한 음식냄새가 흡입기를 통하여 코의 후각선을 자극했을 때 바로 그 음식을 억은 것처럼 포만감을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

2. 식욕발달 과정의 문제

식욕이 약한 아동은 식욕발달에 문제가 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아동이 식사가 느린 태도는 식욕에 문제가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기 때문이다. 아동의 식욕은 건강한 정도를 드러내는 측면이 있다는 점에서 부모는 주의력을 갖고 관찰해야 한다.

아동은 성장하는 과정에서는 예상하지 않은 신체 및 심리적 변화를 보이기도 한다. 젖을 잘 먹던 아동이 밥을 잘 먹지 않는다든가, 젖을 잘 먹지 않는 아동이 밥을 잘 먹는 경우도 있다. 그런가 하면 아주 어려서는 밥을 잘 먹다가 조금 커나가는 과정에서도 잘 먹으려 들지 않는 경우도 있다.

대체적으로 유치원에 다니는 나이 또래 아동에게 있어 식사란 그다지 매력적인 것도, 흥미를 끌만큼 재미있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어느 쪽이냐 하면 귀찮은 습관이라고 생각하고들 있는 것 같다.

지금의 아동은 궁핍했던 옛날과 달라, 심한 공복감을 느끼는 일도 없으며, 그렇다고 색다른 음식에 접하게 되는 것도 아니다. 즉 지나치게 채워진 상태에 있고 이 채워진 상태에서 식사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 내기란 무척 어려운 작업이다.

그 중에서도 3세 아이는 기술이 미숙하며 쉽게 실증내고, 4세 아이는 덤벙대는 난폭자라서 식사가 끝날 때까지 조용히 있을 수 없다. 5세 아이는 동작이 느려서 보조가 맞지 않고, 6세 아이는 귀찮아하기 때문에 전 유아기를 통해 매끈하게 진행될 시기가 없는 편이다.

여기에 더해 가정의 식습관에 결함이라도 있을 때는 문제는 더욱 심각하게 되는 수도 있기에 놀면서 밥을 먹는 상태는 당연한 일이기도 할 것이다.

3. 집중력이 약화된 상태

식욕이 약한 아동은 집중력이 약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집중력이 약하면 식욕에도 문제를 보이기 때문이다. 물론 이 집중력이 신체와 더 많이 관련이 되는지, 아니면 심리적인 문제와 관련이 되는지에 대해서 다시 고찰해야 한다.

이런 것을 차치하더라도 아동에게 음식의 섭취는 일종의 심리적 측면으로서 집중력의 문제이다. 집중력의 문제란 가정의 심리적인 것으로 아동과 부모의 심리적인 교류나 상태 등이 모두 포함된다. 이런 문제들 중에서 어떤 아동은 심리적 에너지의 교류와 관련되는 식습관의 문제에 관련되어 있을 것이다.

실제로 식사에 집중하지 않는 아동은 독립성이 약하고 신경질적인 데다 활동량이 적은 등의 공통된 문제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중요한 문제가 하나 있는데, 이는 아동의 부모 역시 식사에 문제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식사에 집중하지 않는 아동의 부모는 대개 신경질적이며, 주로 야단을 많이 치는 편이면서도 아동에 대해서는 크게 걱정하는 태도를 보인다.

행동적 증상은 선천적인 것보다는 후천적인 것으로서 부모의 생활하는 부정적인 습관이 아동에게 무의식적으로 쉽게 답습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이다. 실제로 부모의 습관은 아동에게 무의식적으로 답습되기 쉬운 일들은 생활에서 얼마든지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상황에 처하여 생각하고 행동을 결정하는 일이나 생활의 습관 등이 그 예이다.

김충렬
▲한국상담치료연구소에서 만난 김충렬 박사.
4. 정리

식욕이 약한 아동을 둔 부모라면, 전술한 원인을 참고하여 스스로 반성할 필요가 있다. 부모가 올바르게 양육을 한다 해도 반드시 원인이 될 만한 조건이 얽혀 있기 때문이다. 부모가 자신을 냉정하게 분석해야 개선의 가능성이 보인다.

김충렬 박사
한국상담치료연구소장, 전 한일장신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