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음표 소녀 앞으로 참고 중복 요청 문제 응답 작업 중요성 기대 질문 정보 우리 아이 왜 이럴까요 이중성 양면성 궁금 김충렬
시기심이 많은 아이들이 있다. 매사에 지기를 싫어하고 이기려고만 하는 아이들이다. 자신의 일에 잘 적응할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못하는 편이다. 지나치게 시기심이 심하면, 다른 측면에서 손해를 보는 등 어려움이 많기에 개선해 주어야 한다.

시기심 많은 아동은 부러워하는 마음이 많은 아동, 심리적 결핍이 많은 아동, 자기 일에 애착을 가진 아동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시기심 많은 아동들은 다음 심리적 상태를 중심으로 원인을 이해해야 한다.

1. 심리적 결핍의 결과

시기심이 많은 아동은 심리적 결핍이 자리한다고 보아야 한다. 시기심은 심리적 결핍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심리적 결핍이 없는 아동은 마음이 채워져 있는 아동이기에, 타인이나 타인의 것을 그다지 부러워하지 않는다. 물론 아동의 성격과 관심에 따라 친구가 가진 물건을 부러워 할 수 있는가 하면, 친구가 가진 재능을 부러워하는 아동, 또는 친구가 부자로 사는 것을 부러워하는 아동, 그리고 친구가 교사에게 더 많이 인정과 칭찬을 받는 것을 부러워하는 아동들이 있다.

유형은 다르다 해도, 공통점은 자신이 갖지 못한 것에 대한 공허감이라 보아야 한다. 그 공허감의 보상작용으로 부러워하고, 그것을 갖지 못해 질투가 유발되기 때문이다.

현상은 행동은 마음을 드러내는 원리에서 이해된다. 아이의 행동을 보면, 그만큼 아이의 마음이 보이기 때문이다. 행동으로 나타나는 방법은 여러가지일 수 있지만, 그 원인은 하나다. 바로 아동의 마음에 뭔가 채워지지 않은 것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면 이처럼 시기심이 많은 아동의 경우에는 자신의 빈 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마땅히 채워져야 할 마음에 공허감이 자리한 결과로 유발된다는 점에서다. 아동은 자신이 가진 것보다 남의 것이 더 커 보이기에, 다른 아동의 것을 더 많이 부러워한다.

2. 부러움이 많은 상태

시기심이 많은 아동은 타인에 대해 부러움이 많은 편이다. 앞에서는 시기심 많은 아동이 심리적 공허감에서 비롯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원인을 이해한 것이다.

여기서는 시기심이 많은 아동의 타인의 선망에 대해 초점을 두어 이해하려고 한다. 타인이나 타인이 가진 것에 대해 부러워하지 않는 아동은 질투하지 않기 때문이다.

부러운 감정이 강한 것을 우리는 선망이라고 부른다. 선망(羨望)은 일반적으로 자신에게 없는 뛰어난 특질이나 업적, 재산 등을 다른 사람이 가질 때 일어나는, 그들에게 갈망 혹은 대상이 그것들을 잃게 되기를 바라는 감정이다.

이 선망은 질투와 비교해 이해하면 쉽다. 질투는 주로 현실, 상상에 지나지 않고, 자신 외 누군가와의 관계에서 보인다. 반면 선망은 가장 원시적인 욕망이며, 부러운 대상을 파괴해 버리는 편이다.

질투의 감정이 강한 아이들은 생각하는 특성보다 느끼는 쪽이 발달해 있다. 침착하게 사고하여 합리적으로 생각하기보다, 느낌으로 받아들이려 한다. 생각하고 판단하기보다, 느낌을 인지의 중심적 기준으로 삼으려 한다.

태도는 자연히 두뇌의 판단보다 느끼는 기분이 중요해진다. 감정은 대개 자기적인 측면과 상당히 연계되고 있는데, 대개 자기중심적 성향이 강하다.

감정이 강한 아이들은 상대방과의 비교에 능하고 감정에 민감하다. 이것이 특별이 강해 남이야 어떻든 ‘자기만’이라는 형태를 취할 때 문제가 되는 것이다.

3. 비교당한 경험의 결과

시기심 많은 아동은 성장 과정에서 비교당한 경험이 많은 것으로 보아야 한다. 아무리 능력이 많은 아동이라도 자주 비교를 당하면 상대적으로 박탈감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질투란 비교적인 측면에서 유발된다고 보는 것이다. 질투심은 시기심처럼 비교적 측면에서 유발되기도 한다.

때로 우리는 “그까짓 거, 누구나 하는 거, 하나도 안 좋아, 발전이 없어서 난 불행해, 그게 뭐 대단하다고, 다 별 볼일 없는 것이야, 나는 불행해!”라고 말할 수 있다.

실제로 학생이 100점을 맞고도, 상대방에게 질투심을 느껴서 불행해 할 수도 있다. 다른 사람이 100점을 맞지 않고 자신만 100점을 맞아야 행복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때 자신이 형편이 없다고 생각하던 사람이 100점을 맞았다면, 자신의 100점은 감소가 되고 상대방에 대한 질투심을 느끼게 될 것이다.

이렇게 질투심은 자신이 성취한 모든 의미까지도 파괴하게 된다. 이를 생각하면, 우리는 인생을 살아가면서 의미를 잃어버리고 산다면 무엇이 즐거우며 무엇이 보람이 있을까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질투심 때문에 사는 것이 진부하고 지루하고 원망스럽다면, 어떻게 생생한 즐거움의 인생을 창출할 수 있겠는가 말이다. 이처럼 질투심은 우리 마음 곳곳에 진을 치고, 자리를 잡아 인생을 지루하게 만들고 있다. 이는 확실히 불행이 아닐 수 없다.

김충렬
▲한국상담치료연구소에서 만난 김충렬 박사.
4. 정리

시기심이 많은 아동을 둔 부모라면, 전술한 원인을 참고해 스스로 반성할 필요가 있다. 부모가 올바르게 양육을 한다 해도, 반드시 원인이 될 만한 조건이 얽혀 있기 때문이다. 부모가 자신을 냉정하게 분석해야 개선의 가능성이 보인다.

김충렬 박사(한국상담치료연구소장, 전 한일장신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