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자에서 회심한 이정훈 교수(울산대, 엘정책연구원장)는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생활과 경쟁에 부대끼고 지친 현대인들에게 혜민 류의 힐링, ‘다 괜찮아. 잠시 멈춰 봐.’ 하는 것들은 물질로부터의 자유를 보여 준다”며 “그런데 현대인들은 삶 속에서 그게 잘 안 되면서도, 마치 명품을 소비하면 자신도 그 명품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계층에 속한 것 같은 만족감을 얻게 되듯이 혜민을 소비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인사이드 시티
이 기사는 논쟁중

한교총 “‘좌석수 10%’, 작은교회에 불리… 입장 전할 것”
“대정부‧언론 상설기구 절실… 우리끼리 비난 말자”
목회자 2천여명 “확진자 발생에 사과… 인터콥 정죄 그만”
많이 본 기사

전국 교회, 24일 주일 새해 첫 성도 참석 ‘대면 예배’로

“예배 10~20% 허용도 과도한 제한”… 예자연, 헌법소원 접수

2차 코로나 확산 중 나타난, 교회의 5가지 흐름

美 남침례회장 후보 2인 추가… 4파전 열기 고조

‘마리아에게서 태어난 그리스도’ 기록된, 1500년 된 비문 발견

[김진홍의 아침묵상] 하나님이 주신 먹거리(2) 3식 3금

[영상] “돈 때문에 예배 강행” 비난에 반박

[영상] 좌석 수 10% 예배가 ‘완화’? 절대다수 작은교회는 ‘악화’

[영상] 세계로교회 손현보 목사, 대면 예배의 가치 재차 강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