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음표 소녀 앞으로 참고 중복 요청 문제 응답 작업 중요성 기대 질문 정보 우리 아이 왜 이럴까요 이중성 양면성 궁금 김충렬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아이들이 있다. 전반적인 발달장애를 보이면서 비정상적 사회 상호작용이나 제한되고 반복적인 행동 문제를 특징적으로 보이는 아동이다.

이런 아동은 행동이나 관심 분야, 활동 분야가 제한되어 있으며, 같은 양상을 반복하는 증세를 보이지만, 인지발달 및 언어발달이 지연되지 않는다. 이는 더불어 살아가는 현대에서 사회성이 점차로 증가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그 중요성을 인식하여 개선해 주어야 한다.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아이는 상호작용에 문제를 보이는 아동, 친구관계에 문제를 보이는 아동, 의사소통에 문제를 보이는 아동이라는 특징이 있다.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아이는 다음 상태를 중심으로 그 원인을 이해해야 한다.

1. 자폐 스펙트럼의 일부

아스퍼거 증후군의 원인이 무엇인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많은 경우에서 유전적 요인이 명백히 중요하다. 아스퍼거 증후군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의 일부이다.

가족 연구는 자폐증과 아스퍼거 증후군이 종종 커다란 한 가계 내에 존재한다는 것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초기 후뇌(hindbrain, 소뇌, 뇌교, 연수포함) 발달 조절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서 중요하다는 몇몇 근거들이 있다.

X염색체, 15번 염색체, 2번 염색체, 7번 염색체에 있는 유전자들이 여러 연구에서 주목받았다. 아스퍼거 증후군 또는 고기능 자폐의 가족 중에 준(準) 임상적인 변이(subclinical’ variant)- 흔히 가벼운 증상을 보여 본인이나 가족에 의해 간과되는 자기 중심성, 경직된 사고, 완벽주의, 사교에 관심은 많으나 재능은 부족함)가 있음을 시사하는 연구들이 많아지고 있다.

부모나 친척 중 한 사람이 어릴 적 비슷한 징후를 지녔다면, 아이를 관찰하는 데 굉장한 도움이 된다. 그들은 앞으로 무슨 일이 일어날지 예측할 수 있다.

아이가 외로움을 느끼고 누군가에게 오해를 받는 순간, 그들은 한때 자기들도 같은 기분을 느꼈음을 말해줄 수 있다. 단 부모나 친척이 자신들에게도 같은 증상이 있다는 것을 받아들이고, 부끄러워하거나 당황하지 말아야 한다.

2. 신경생리학적 소견의 결과

아스퍼거 증후군에서 전두엽이나 측두엽의 기능 이상을 보여주는 증거들이 늘고 있다. 이것은 일련의 신경심리학 실험과 뇌영상 기술을 활용한 연구들에 의해 제기되고 있다.

추정능력(mentalising tasks-공감, 다른 사람의 인지적, 정서적 관점을 필요로 하는 작업)을 시행하면서 PET등 뇌활동을 보는 검사를 시행한 결과, 특히 좌측 전두엽(브로드만 영역 8/9)이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않는다는 것이 규명됐다.

그 외에도 감정을 담당하는 변연계(limbic system Brodmann area 24)의 크기와 대사 감소가 관찰되기도 하였다. 또한 비언어적 학습장애(NLD)로 불리는 증후군과 유사한 오른쪽 대뇌반구피질 기능 이상의 징후가 발견되기도 한다.

이는 성별의 차이를 보이는데, 남자에서 5:1-15:1의 비율로 더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성별에 따라 임상 양상의 차이가 있다. 남자아이들은 여자아이들에 비해 들쑥날쑥한 기능 차이로 훨씬 더 큰 사회적 결함을 지니는 경향이 있고, 좌절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는 성향이 있다.

여자아이들은 종종 특별한 관심이 강렬하거나 눈에 잘 띄지 않기도 한다. 여자아이들은 이상하기보다는 미성숙한 것처럼 보이곤 하고 다른 아이들을 관찰한 뒤 그대로 뒤따라한다.

3. 불안한 심리상태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아동은 불안한 심리상태로 이해할 수 있다. 이들이 사회성이 부족한 현상은 불안에 대해서 반응하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불안 반응은 아동에게 사회적 상황에서 일어나는 변화이다.

불안 반응은 아동이 사회적 상황에 놓일 때 나타나는 중요한 변화 중 하나다. 그들은 타인에게 부정적 평가를 받게 된다고 생각하면, 먼저 자신이 면밀히 검색하고 관찰하는 방향으로 신경을 기울이게 된다.

아동은 주의를 내부로 바꾸어 스스로 느끼는 것에 집중하고 이것을 통하여 자신의 사회적 인상을 형성한다. 그 인상이 곧 타인들이 자신에 대하여 실제로 관찰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들은 다른 사람들이 자신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단서를 얻기 위해 다른 사람들을 면밀히 관찰하는 대신, 주의를 내부로 바꾸어 스스로 느끼는 것에 집중하고, 이러한 정보를 다른 사람의 평가와 관련짓는 것을 자동적으로 가정(假定)한다.

다만 진화론을 주장하는 학자들은 진화에서 협력적 행동에 기초하는 대인관계가 생존은 물론 환경 적응에 꼭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여기에는 사냥과 같이 협력적 행동을 통하여 자원을 더욱 개발할 수 있는 것을 예로 든다.

이러한 협력적인 활동이 진화에 도움이 되는 것이 분명해진 이후에는 사회규범, 노동분담 등과 같은 협력하는 목표에 대조적으로 경쟁하는 행동을 억제하게 되는 요인들이 발달하게 된다.

그러나 경쟁과 협력이 적응적이지만, 이 두 가지는 매우 극명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경쟁은 수직적이면서 위계적인 인간관계와 연관되며, 이로 인하여 자신과 타인이 갖는 힘과 능력을 비교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인의 목표는 다른 사람에 관한 통제와 우월을 독점하는 것이 되는 반면에, 협력이란 수평적인 인간관계 상태에서 기능을 한다.

김충렬
▲김충렬 박사. ⓒ크리스천투데이 DB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아이를 둔 부모라면, 전술한 심리적 원인을 참고해 스스로 반성할 필요가 있다. 부모가 올바르게 양육을 한다 해도, 반드시 원인이 될 만한 조건이 얽혀 있기 때문이다. 부모가 자신을 냉정하게 분석해야 개선 가능성이 보인다.

김충렬 박사(한국상담치료연구소장, 전 한일장신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