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진단, 치명률 의문
▲해당 청원은 사전 동의 100명 이상을 달성해 현재 관리자가 검토 중이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

코로나19 사태가 8개월째에 접어들면서 현직 의사들이 정부의 방역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대표적인 의문들은 ‘PCR진단법의 문제점’과 ‘GH형 코로나 바이러스의 낮은 치명률’과 관련된 것이다.

최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무리한 코로나 방역을 중단할 것”을 권고하는 청원이 게시됐다.

자신을 ‘면역전문가’로 알려진 치과의사라고 밝힌 청원인은 “quarantine, 격리를 의미하는 방역은 전염병을 막기 위해 사용했던 가장 원시적인 수단이었다”며 “이런 방식은 K방역으로 자리잡았다. 무리한 인권 침해, 경제활동 침해의 소지가 발생할 수 있지만 전체의 이익을 위해 받아들여졌다. 지난 3, 4월 우수한 결과를 내며 우수한 방역으로 인정받게 되었지만, 현 시점에서 이것을 언제까지 지속해야 할지 그 해답을 찾아야 한다”고 했다.

이어 “저는 1차 코로나가 유행하던 3월부터 정부와 질본의 대응에 비판적이었다. 치명률이 30프로에 육박했던 메르스 때와 동일한 방식이었기 때문이었다. 당시 코로나19는 중국의 사례를 통해 치명률이 1-3프로로 예상되었다. 5월 이태원발에 이어 8월 코로나를 보면서 지금 제겐 더 큰 회의가 들 수밖에 없다”고 했다.

청원인은 “프랑스는 1일 확진자 7천명이 나온지 한 달째지만 정부와 맞선 한 의사가 있어 학생들은 9월 1일 정상적으로 등교했다. 그 의사를 지지한 전문가들은 8월 들어 무증상자에 대한 테스트를 강화하여 지금의 코로나는 더 이상 공격적이지 않다고 밝혔다”고 했다.

이어 “지난 3월 우한에서 직수입된 코로나 바이러스는 비교적 강했다. 그러나 5월 이태원 발부터는 유전자형이 바뀌어 GH유형이 나타났다. 지금 프랑스도 같은 유형”이라며 “코로나19에서 다양한 유전자 변이가 나타날수록 백신은 의미가 약해진다. 독성이 약해져도 그렇다. 의료계에선 예상했던 부분이다. 실제로 5월 이후 각국의 치명률은 계속 감소하고 있는 추세”라고 했다.

또 “바이러스의 양과 상관없이 대량 증폭하는 PCR진단법의 문제”에 대해 언급하며 “코로나 GH처럼 약한 바이러스는 인체에 초기 착상 후 창궐하지 못할 수도 있다. 잠시 존재하다 사라질 바이러스까지 다 확진자로 삼아 관리하는 것은 무리한 측면이 있다. 의학은 전통적으로 자각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중시해 왔다”며 “지금의 무증상자에 대한 강제검사는 인권침해의 소지가 있는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이밖에 자신을 ‘지방의 동네 의사’라고 밝힌 한 의사도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에게 보내는 공개 질의서를 통해 “PCR은 코 속이나 목 안에 죽은 바이러스의 조각들만 있어도 양성으로 결과가 나올 수 있다”며 “그것이 살아있는 감염이라고 말할 수 없기 때문에 과연 확진자라고 부르는 사람들이 과연 어떤 상태에 있는 사람들인지 분명하게 밝혀 달라”고 질의했다.

그는 “PCR 검사로 확진자를 판정하는 현재의 진단 방식에 문제가 많다는 점을 깨닫게 되었다”며 “만약 죽은 바이러스들의 조각만 가지고 있어도 이를 바이러스 감염의 확진이라고 한다면 그것은 앞서 말한 바이러스 감염의 정의에 부합되지 않다”고 강조했다.

그는 “확진자 판정을 받았음에도 특별한 증상이 없이 2주 동안 자가격리된 사람들의 증언을 들어보면 이런 문제점을 바로 깨달을 수 있다. 이는 곧 확진자(PCR 검사 양성)라고 모두 감염된 사람은 아니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며 “현재 확진자들 중에 왜 자신이 Covid 19 감염자 취급을 받아서 격리되어야 하는지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고 했다.

한편 방역 당국은 지난 6월 25일 이 같은 의견을 받아 들이며 ‘양성’이지만 증상이 없는 무증상 확진자와 ‘양성’이지만 발열이 없고 증상이 호전되고 있는 확진자를 격리 해제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최근 다른 집단에 비해 무증상과 경증 확진자의 비율이 높았던 사랑제일교회와 도심 집회에 대해서는 “무증상과 경증 환자들이 지역 감염 확산에 큰 역할을 한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