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Pixabay
|
한국기독의사회는 29일 발표한 성명에서 “정부가 추진 중인 의료정책은 전문가 단체를 배제하고 이뤄졌고, 실행 계획은 기회가 평등하지도, 과정이 공평하지도 않게 기획되어 있다”며 “정부의 지원없이 민간 기관에서 급여를 받으며 의료 업무를 주 80시간씩 인내하는 미래 의료의 주역인 전공의와 정부 지원 없이 힘들게 어렵게 의대 공부를 수행하고 있는 의대생들에게 ‘미래’를 빼앗는 상실감을 안겨줬다. 정부의 역할은 이들에 대한 지원이지, 압력이 아니”라고 비판했다.
이어 “논의 진행 과정에서 정부가 공권력을 이용하여 보여준 압력은, 평범한 의대생과 전공의를 극한 저항의 길로 몰아가고 있다”며 “어린 학생들과 전공의들을 대상으로 정부의 모든 권력을 동원해 탄압하는 것은 민주정부에서 상상할 수 없는 모습이다. 이들에 대한 탄압은 이 사회에 대해 불공정함과 불신을 갖게 할 것이다. 10년 뒤의 불확실한 4,000명을 위해, 현재의 3만 명이 넘는 의대생과 전공의를 극한 투쟁으로 몰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 묵묵히 고생해 왔던 전공의들과 학업에 매진하던 의대생들이 가장 선봉에 나선 것은, 이러한 의료제도에 대한 정부 주도의 근시한적인 정책들이, 바람직하고 정상적인 의료제도를 꿈꾸는 젊은 세대에 철저한 절망을 안겨주었기 때문”이라고 지적하고 “정부는 미래 사회, 한국 의료의 주역인 의대생과 전공의의 상실감과 분노를 이해하고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