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소녀상
ⓒpixabay
‘역사 제자리 찾기’ 직접행동 집단지성 반일동상진실규명공대위와 여성가족부해체추진위는 25일 윤정옥·이효재 이화여대 명예교수에게 “위안부 연구를 진정성 있게 고백해야 한다”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들은 “윤정옥(95세) 이화여대 명예교수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최초로 세상에 알리고 이를 위해 몸소 뛰어온 사람이자 이효재(96세) 교수와 함께 1990년 창립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현 정의연)의 창단멤버”라고 소개했다.

이어 “윤정옥 교수가 위안부 지원활동을 벌이게 된 것은 1982년 ‘요시다 세이지’라는 일본인이 일제시대 제주지역에서 200여명의 여성을 ‘강제로 연행’했다는 내용의 증언집을 1982년 출판하면서 <아사히 신문>이 이를 토대로 1990년대 초 일본군 위안부 ‘강제연행’을 인정한 기사들이 근거로 자리하고 있다”며 “이후 1994년 12월, 윤정옥 교수는 위안부 연구 및 활동에 대한 성과를 인정받아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KNCC)에서 인권상을 수상했고, 유엔에서도 윤정옥·이효재 교수의 주장이 비중 있게 발표됐다”고 했다.

그러나 이들은 윤 교수의 토대가 된 ‘요시다 세이지’의 증언집이 허위사실로, 아사이 신문 또한 기사를 삭제한 점과 위안부와 정신대를 혼동한 점을 지적했다.

이들은 “윤정옥·이효재 교수의 잘못 꿰어진 위안부 문제는 두 가지로 압축된다”며 “하나는, 기본적으로 일제의 공창제 아래 성노동에 종사한 위안부를 2차 세계대전 말기 일본 군수공장에서 일한 여자근로정신대(정신대)로 혼동한 것”과 “다른 하나는, 위안부 문제의 기원이 된 요시다 세이지의 출판물이 허위사실임이 밝혀져 <아사히 신문>이 관련 기사를 취소한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1990년 착오로 설립된 정대협(현 정의연)이 요시다 세이지의 허위 진술 이전과 이후에도 여전히 위안부 문제에 대해 입장 변화가 없어야 하는가 하는 점”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군은 280만 명 수준이었으며, 일본이 공창제 아래 1937년 위안소를 공식 설치할 때 병사 150명 당 1명의 위안부를 두는 방침이었다. 고로 일본군을 상대한 일본인, 중국인, 조선인 등 위안부의 총 수는 1만 8,000명 정도로 추정된다. 민족별 구성은 일본인 40%, 현지인 30%, 조선인이 20%, 기타 10%로 추산되며 따라서 조선인 위안부는 대체로 ‘3,500명’ 정도였다”며 윤정옥 교수가 10만~20만 명이라고 주장한 조선인 위안부 수치는 “실제의 30배에서 60배로 부풀려졌고, 또한 민간의 취업사기와 인신매매로 일반화 과장됐음에도 불구하고, 20만 명설은 변함없이 기정사실화 증폭되고 있다”고 했다.

또한 이들은 윤 교수의 주장을 바탕으로 다큐멘터리 영화도 왜곡되고 있음을 언급했다. 이들은 “다큐형 위안부 영화 『귀향』의 20만 명 설에 이어 『강철비』에서 외교안보 수석 곽철우가 43만 위안부 중에서 23만 명이 사망했다고 브리핑할 정도로 크게 왜곡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반일동상진실규명공대위는 귀하의 얼마 남지 않은 생에 있어 역사적 팩트를 잘못 인식했음을 인정하고 자성하기를 권고한다”며 “위안부와 정신대를 혼동한 자신의 과오를 진정성 있게 시인할 생각이 없는가?”라고 물었다.

또 “귀하는 일제의 전쟁 오판에 의해 강제 동원된 280만 명의 조선인 출신을 포함한 일본군이, 내일을 모르는 죽음의 총알받이 앞에서 조선 여성들을 ‘성노예’로 부릴 만큼 한가했다고 생각하는지”, “지난 일제하 역사적 사안을 70여 년이 지난 오늘 새삼 이슈화하는 것이 오늘 한국 사회에서 정치 권력의 내수용 반일 프로파간다 및 성거래 금지주의 정책과 무관하다고 생각는지” 물으며 성명서를 끝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