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신종코로나
ⓒ연합뉴스 보도화면 캡쳐
북한 당국의 코로나19 대응이 주민들의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는 15일(현지시각)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중국에서 코로나19가 발병했을 때, 이웃나라인 북한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성을 주시했다”며 “북한이 지금도 공식적으로 코로나19 감염 사례가 없다고 보고하고 있으나, 코로나19와 대응 조치가 주민들의 인권에 가져올 결과에 대해 심각히 우려한다”고 밝혔다.

이날 홈페이지에는 유엔인권 서울사무소 시나 폴슨 소장의 인터뷰가 ‘현장의 소리’라는 제목으로 공개됐다. 폴슨 소장은 “강화된 이동 제한 등 북한 당국의 코로나19 대응이 북한의 절박한 인도주의적 상황을 더욱 악화시킨다”고 지적했다.

폴슨 소장은 “코로나19 사태 이전에도 인구의 40%가 식량 불안정 사태 등으로 생존을 위해 고군분투하고 다른 경제적 어려움에 놓여 있었는데, 중국과의 국경 폐쇄로 무역이 심각히 제한되며 상황이 더욱 악화됐다”고 설명했다.

폴슨 소장은 특히 “가장 취약한 계층을 우려한다”면서 비좁은 수용소의 수감자들, 적절한 보건 관리 및 충분한 음식·식수원에 접근할 수 없는 사람들, 마스크와 비누를 살 만한 여유가 없는 사람들을 언급했다. 또 “열악한 국가보건체계와 상당한 인구와 영양 결핍 상태 등을 고려할 때, 북한에서 바이러스가 대규모로 확산할 경우 이웃나라보다 치명률이 훨씬 더 높을 수 있다는 사실이 우려할 만하다”고 지적했다.

폴슨 소장은 정보와 현지 접근 제한 등으로 북한의 전체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점이 가장 큰 도전이라고 했다. 이와 더불어 국경 폐쇄와 코로나19 감염 우려로 탈북이 거의 불가능해진 상황도, 코로나 사태가 가져온 큰 도전이라고 덧붙였다.

폴슨 소장은 지금은 국제적인 대응이 필요한 ‘글로벌 팬데믹’ 상황이라며, 사람들에게 지역적·국가적 관리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권한을 주고, 기술을 더욱 잘 활용하며, 공평한 방식으로 자원을 배분하는 것이 중요한 대응 방법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북한 내 인권 상황을 감시하고 기록하는 것이 핵심 업무이며, 최신 정보를 얻기 위해 탈북민과 시민 사회, 특히 북한 내부와 접촉이 가능한 이들과 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