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음표 소녀 앞으로 참고 중복 요청 문제 응답 작업 중요성 기대 질문 정보 우리 아이 왜 이럴까요 이중성 양면성 궁금 김충렬

유달리 의지력이 약한 아동이 있다. 아동은 생기발랄하고 활력이 넘치는 생명력을 보일 때인데 말이다. 아동의 의지력은 그대로 생명력의 상징이다. 생명의 새로운 싹이 싱싱하게 자라나듯, 아동은 그런 싱싱함을 풍겨야 한다. 그것이 생명의 향기요 에너지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의지력이 약한 아이는 전혀 그렇지 못하다.

의지력이 약한 아동은 행동하려는 마음이 약한 아동, 자아가 허약한 아동, 자발성이 결여된 아동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의지력이 약한 아동은 다음과 같은 심리적 원인에서 이해해야 한다.

1. 자아가 허약한 아동

의지력이 약한 아동은 자아가 건강하지 못하다고 보아야 한다. 자아가 건강하지 못하면 자신의 의도를 당당하지 드러내지 못하고, 부모나 주변의 눈치를 보는 경향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런 현상은 아동의 심리적인 허약함이 노출되고 있다는 점에서, 부모가 아동의 눈치 보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아동이 눈치를 보는 것은 부모가 적절한 애정을 쏟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암시하기 때문이다.

누군가로부터 진정하게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는 소외감이 아동으로 하여금 눈치 보게 만들고 있다. 이렇게 눈치를 볼 때는 이미 야단을 많이 맞았다는 것이기도 하다. 눈치를 볼 때 야단맞지 않기 위한 조심스런 행동을 방어적으로 취하기 때문이다.

이 정도의 행동은 이미 아이의 자연스러움이 소실된 상태이다. 그러나 이런 행동은 부모의 애정결핍이 그렇게 만든 결과로 보아야 한다. 아동은 부모의 애정을 받으면 건강하게 자라난다. 애정은 사람을 건강하게 만드는 마력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부모는 아이를 때로 편애할 수도 있다. 첫째와 둘째의 차이, 부모의 말을 고분하게 듣는 아이와 그렇지 않은 아이, 더 정적인 아이와 이성적인 아이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다 보면 부모는 자신도 모르게 자신의 성격과 유사한 쪽으로 관심이 기울어 반응하게 될 것이다.

2. 목표의식이 약한 결과

의지력이 약한 아동은 생활에서 목표의식이 약하다고 보아야 한다. 목표가 정확하면 의욕이 생겨나기 때문이다. 의지가 있는 아동은 목표가 정확하지만, 의지력이 약한 아동은 목표가 정확하지 않은 것이다.

뚜렷한 목표를 갖고 있는 아동은 의욕도 강한 편이다. 실제로 발전적인 생활을 하는 아동의 경우 작은 목표를 자주 세워나가면서 이루어내는 특성을 갖고 있다. 그런 아동에게는 작은 목표가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여 발전적인 생활이 되도록 만드는 결과를 산출하는 것이다.

생활에서 목표를 세우는데는 정확성이 중요시된다. 목표의 정확성은 의욕이 생겨나게 만드는 동인으로 작용한다. 목표와 관련해서 보면, 의지력이 약한 아동은 목표설정에 문제는 보인다고 보아야 한다. 목표가 정확하지 않고 희미하면 그에 따른 행동이 따르기 때문이다.

이런 것을 고려하면서 우리는 의지력이 약한 아동에게는 심리적인 환경과 자연적인 환경이 긍정적이지 않은 데도 이유가 있다고 보아야 한다. 이것은 그들이 행동의 향상을 결정하는 성취도에서도 부정적임을 암시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목표는 인간이 행동을 결정하는 힘으로써 개인의 생리적 심리적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목표와 관련하여 욕구, 의욕, 그리고 의지란 개념이 중요한데, 이는 심리학에서 발전되어 온 욕구와 동인 그 외의 유사한 개념과 함께 활용되는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3. 자발성을 훈련하지 못한 결과

의지력이 약한 아동은 자발성이 낮은 것과 관련된다고 볼 수 있다. 그들에게는 스스로 하고자 하는 의지가 약하다는 시각에서다. 자발성(自發性, spontaneity)은 남의 지시나 영향에 의하지 않고, 자기 스스로 의지에 따라 행동하는 성질이나 특성이다.

자기 스스로의 의지에 따라 행동하고자 한다는 것은 일종의 생명력이기도 하다. 생명력이 강한 사람은 스스로의 의지에 의해 행동하려 한다는 점에서다. 이 자발성은 생명력이기에, 정신의 건강과 건강하지 않음을 결정하는 기준이 된다.

여기서 우리는 의지력이 약한 아동에 대해 자발성이 낮은 것과 관련되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자발성이 낮다는 자발성 저하의 문제는 아동이 생활에서 직면하는 대상에 대한 가치 인식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아동이 대상에 대해 가치를 높게 인식하면 스스로 그것을 소유하거나 성취하려는 욕구가 작용된다. 물론 아동이 가치를 인식하는 일은 반드시 의식적인 것이라고만 할 수는 없다.

아직 의식이 발달하지 않은 아동은 본능적이거나 무의식적으로 행동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아동이 의식하지 않아도 자기도 모르게 보이지 않는 저 깊은 내면에서 에너지가 느껴지는 현상이기 때문이다.

물론 이런 무의식적인 현상은 평소 의식적 행동의 조각들이 쌓인 결과다. 그러니까 이런 무의식이란 대개 부모가 아동을 어떤 마음으로 대하여 왔는가에 대한 의식의 침전물이다. 아동의 자발성은 근본적 동인으로서 자신을 지탱하는 중요한 주체이기 때문이다.

김충렬
▲김충렬 박사. ⓒ크리스천투데이 DB

4. 정리

의지력이 약한 아동을 둔 부모라면, 전술한 심리적 원인을 참고하여 스스로 자신에 대해 반성할 필요가 있다. 부모가 올바르게 양육을 한다 해도 거기에는 반드시 원인이 될 만한 조건이 얽혀 있기 때문이다. 부모가 자신을 냉정하게 분석해야 개선 가능성이 보인다.

김충렬 박사(한국상담치료연구소장, 전 한일장신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