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음표 소녀 앞으로 참고 중복 요청 문제 응답 작업 중요성 기대 질문 정보 우리 아이 왜 이럴까요 이중성 양면성 궁금 김충렬
학교에 가기 싫어하는 아이들이 있다. 여러 핑계를 대면서 유치원이나 학교에를 가지 않으려고 하는 아동이다. 이런 아동은 겉으로는 단순히 학교에 가기 싫어하는 것 같지만, 심리적으로는 여러 문제를 보이는 것이다. 이는 서둘러 개선해야 할 이유이다.

학교에 가기 싫어하는 아동은 내면이 허약한 아동, 분리불안을 경험하는 아동, 그리고 사회적응력이 결여된 아동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학교에 가기 싫어하는 아동은 다음 심리적 원인에서 이해해야 한다.

1. 부정적인 자극을 많이 받은 결과

학교에 가기 싫어하는 아동은 부정적 자극을 많이 받은 아동으로 보아야 한다. 아동이 부정적인 자극을 많이 받으면, 내면이 긍정성의 축적에 실패하여 자신감이나 당당히 부족하기 때문이다.

부정적인 자극은 정상적이지 못한 것으로 불안을 발생시키는 원인이다. 물론 이런 경우 정상적이지 않은 불안은 아동의 생각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이다.

학교에 가기 싫어하는 아동은 사회적 상황에서 사람을 불안을 경험한다는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자신의 과거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은 물론 사회적 경험에 대해 “상대가 나를 좋아한다는 것을 보여주지 않는다면, 그 사람은 분명 나를 싫어하는 것이다.”, “모두가 나를 좋아하지 않으면, 나는 가치가 없는 존재다.”, “나는 언제나 무능하고 부족하다.” 등의 잘못된 신념을 발달시킨다.

또한 그들은 사회적 환경을 위험하다고 판단하면, 그들의 과거로부터 물려받은 ‘불안체계’가 자동반사적으로 활성화된다. 이것은 불안의 신체적이고 인지적인 증상들인데, 이는 얼굴이 붉어지거나 가슴이 두근거리며 몸이나 목소리에 떨림이 있고 땀이 나며, 주의집중이 잘 안되고 어떠한 생각도 나지 않는다.

이런 경우 학교에 가기 싫어하는 아동은 불안을 줄이고 타인에게 부정적으로 평가받지 않기 위해 안전행동들을 취해야 한다. 여기에는 주의를 끌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 시선접촉을 피하려 하는 것, 자신이 말하는 것을 검토하는 것, 연설 중간에 중단을 피하는 것들이 대표적인 안전행동들이다.

2. 불안감이 높은 상태

불안감은 아동의 심리적 문제의 기초다. 아동은 심리적으로 불안하면 행동이 부자연스러워진다. 물론 아동의 불안감은 겉으로는 적응의 문제이면서 내면적으로는 긍정적인 에너지의 결여이다.

이런 불안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일단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외인불안과 분리불안이 그것이다. 낯가림 또는 외인불안(stranger anxiety)은 낯선 사람이나 장소에 대한 공포는 유아기부터 시작한다.

대개 만 3세가 지나면 이런 모습이 없어지지만, 낯선 장소에서 만나는 낯선 사람에 대한 두려움이 있는 아동은 유치원이나 학교에 가기를 거부한다.

낯선 버스나 낯선 화장실도 아동에게는 두려움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분리불안(separation anxiety)은 이별 불안 또는 격리불안이다. 이는 애착이 생겨나면서 애착의 대상인 엄마와 헤어지는데 대한 두려움, 즉 이별불안이 출현하는 시기는 대개 8-12개월 무렵이다. 15개월 무렵 가장 심하다가 대개 만 3세 이후에는 사라진다.

엄마가 존재하고 있다는 아동의 믿음을 위협하는 환경은 아동의 이별불안을 증가시킨다. 엄마에게 안정되게 애착될수록 이별불안이 적게 나타나는 이유는, 스스로의 경험에 비추어 엄마가 곧 돌아올 것으로 쉽게 믿기 때문이다. 분리불안은 부모와의 관계에 신뢰성이 결여될 때 나타난다. 신뢰성이란 부모를 믿는 마음으로 긍정적인 에너지의 결과이다.

3. 사회성이 결여된 상태

사회성의 부족이 유치원이나 학교에 가는 것을 싫어하게 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유치원이나 학교에는 적어도 아이에게 처음 경험하는 단체생활이다. 어린 시절부터 다른 아동과 함께 보낸 시간이 많은 아동은 온종일 집에만 있는 아동보다 더 일찍 사교적이 된다.

사회성은 더불어 사는 행동이나 습관이다. 아동은 가족에서 이런 사회성이 훈련되어야 한다. 그러던 사회성이 이제 유치원이나 학교라는 현장으로 옮겨지는 것이다.

아동의 사회성은 전술한 적응과 관계하는 것 등이 모두 포함되는 측면이 있다. 그리고 이런 사회성에는 또래들과 어울리고 유치원이나 학교에 교사와 사귀는 것,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것에는 개인차가 있다.

아동의 사회성 결여에는 다음의 이유를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부끄러움, 수줍음: 지나치게 부끄럼을 타는 경우도 유치원이나 학교 가기를 싫어한다. 심한 정도의 부끄러움은 사회적 상황에서 경험하는 성인의 ‘사회공포증’에 가깝다고 본다. 일부 아동들은 집에서는 말을 잘하지민 유치원이나 학교에서는 한 마디도 하지 않는 선택적 함구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과잉 보호: 어려서부터 스스로 문제 해결을 하도록 격려하는 양육이 이루어지지 못해서 유치원이나 학교에 다니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자발성이나 자율성이 떨어지는 아동은 유치원이나 학교에 가기를 싫어한다.

-까다로운 기질: 순한 아동은 낯선 사람이나 환경에 잘 적응하지만, 까다롭고 반응이 더딘 아동은 환경변화에 적응하는데 시간이 더 걸린다.

-발달장애 : 언어, 지능이나 사회성 등의 발달에 문제가 있으면 유치원이나 학교에 적응이 어렵다.

-부모의 불안: 품안의 자식이 부모를 처음 떠나는 경험은 부모를 불안하게 만든다. 이 부모의 불안이 아이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성장 환경: 어려서부터 주변 여러 어른들과 접촉하면서 길러진 아동은 낯선 사람에 대한 두려움이 적다. 그러므로 성장 과정에서 사회적 경험이 부족한 아동은 유치원이나 학교에 간다는 환경변화에 더 불안을 경험하기 쉽다.

김충렬
▲김충렬 박사. ⓒ크리스천투데이 DB
4. 정리

학교에 가기 싫어하는 아동을 둔 경우에 해당되는 부모라면, 전술한 원인을 참고하여 스스로 반성할 필요가 있다. 부모가 올바르게 양육을 한다 해도, 반드시 원인이 될 만한 조건이 얽혀 있기 때문이다. 부모가 자기 자신을 냉정하게 분석해야 개선 가능성이 보인다.

김충렬 박사(한국상담치료연구소장, 전 한일장신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