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라냐 악몽 물고기 떼를 생선 물 동물 위험한 공포 브라질 아마존 푸른 이상한
▲악몽. ⓒ픽사베이
악몽을 자주 꾸는 아이들이 있다. 자다가 무서운 꿈을 꾸며 놀라는 아동이다. 이런 일들은 서로 상관성을 갖고 있으며, 심하면 수면장애 증상이 되기도 한다.

악몽을 자주 꾸는 아동은 잠을 편안하게 들지 못하는 아동, 내면에 불안을 경험하는 아동, 그리고 경험한 행동을 해소하거나 정리하지 못한 아동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악몽을 자주 꾸는 아동은 다음의 심리적 원인에서 이해해야 한다.

1. 생리적 조건의 결과

악몽을 꾸는 아이들은 생리적 조건이 원만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생리적 조건이 정상화되지 않은 것이다. 물론 여기에는 호르몬 수준이나 신경전달물질의 수준이 아직은 정상화 되지 않은 것이 문제일 수 있다.

생리적 현상이란 생체리듬과 관련되는 것이다. 생체에는 여러 리듬이 있어서, 여러 기능들을 효율적으로 조절하고 있다. 그 중 가장 중요한 리듬이 24시간 주기(circadian)의 리듬이다.

이 리듬은 대뇌의 시신경이 교차해서 지나가는 자리에 위치한 시교차상핵(suprachiasmic nucleus, SCN)에 있는 내적 시계(internal cliock)에 의해 조절되기도 하며, 시간제공기(zeitgabers)라는 외적 요인, 즉 태양의 강도와 위치, 인공-빛, 식사, 시계, 업무시간, 저주파 전자장, 기상 및 수면시간 등이 있는 가장 강력한 시간 제공은 기상시간이다. 이러한 요인은 조절된다.

이 리듬과 가장 밀접하게 변하는 것은 체온이다. 체온은 수면 시작과 함께 내려갔다가, 새벽부터 오르기 시작하여 활동시간에 최고치를 유비한다. 생체호르몬 중에는 성장호르몬이 이 리듬의 조절을 받는다.

아동의 악몽은 야경증과는 달리 REM수면이 많은 수면 중반 이후에 꾸는 것으로 대개 새벽에 많이 발생한다. 아동은 수면기간 또는 낮잠 때 반복적으로 깨는 것으로 이때 대개 생존, 안전 또는 자존심에의 위협에 관련되는 확장된 극히 무서운 꿈들을 자세히 회상한다. 수면기간의 후반부에 주로 깬다.

무서운 꿈으로부터 깬 후, 아동은 곧 인지력이나 방향상실 등을 나타낸다. 때로 수면경약장애 때나 어떤 형태의 간질 때 착란과 지남력장애가 있음과 대조적이다. 꿈-경험이나 깸으로 생긴 수면장애는 임상적으로 현저한 사회적, 직업적 혹은 다른 주요 기능면에서의 곤란과 장애를 초래한다.

기타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의 정신질환이나 남용된 약물, 처방된 약 등에 의한 직접적인 생리작용이나 일반적 의학적 상태에 의한 것이 아니어야 한다.

2. 부정적 정서의 결과

악몽을 자주 꾸는 아동은 내면에 부정적 정서를 가지고 있는 경우로 볼 수 있다. 부정적인 정서는 부정적인 꿈을 유발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다. 이는 악몽은 불안이나 두려움과 같은 부정적 감정과 관련된다는 시각에서 이해된다.

아동의 악몽은 대체로 3-6세 사이의 어린아이에게서 흔하고, 10세 이후엔 점점 줄어든다. 악몽을 자주 꾸는 아동은 ‘나만 어른이 되어서까지 악몽으로 고통 받는 건가?’라는 생각을 하지만, 성인도 2-8%는 악몽을 꾼다.

악몽의 내용은 사람마다 다르지만, 보통 무서운 대상이 나오거나 누군가에게 쫓기는 꿈을 꾼다. 꿈을 자주 꾼다는 건 수면의 연속성이 좋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곧 수면의 질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런 경우 단순히 나쁜 꿈을 반복해서 꾸는 거라 생각하지 말고 전문가에게 도움을 받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악몽은 꿈의 원리에서 이해해야 한다. 꿈을 꾼다는 것은 REM수면 중 각성이 발생해 꿈을 기억하게 되면서 생기는 것인데, 꿈의 내용이 안 좋고 무서운 내용이라면, 심리적으로 불안정하고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악몽은 다음날 컨디션에도 지대한 영향을 준다. 악몽을 반복적으로 꾸는 사람은 불안하고 괴로워하는 등 심리적 부작용을 겪을 뿐 아니라, 수면 패턴이 파괴되고 수면 부족에 시달린다.

3. 공포감의 상태

악몽을 자주 꾸는 아동은 내면에 공포심이 있다고 보아야 한다. 공포심은 두려움이 내재하여 그것이 꿈으로 형상화된다는 점에서다.

물론 아동기는 공포감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공포감의 시기이다. 4-6세경 상상력이 풍부하고 환경에 민감한 나이가 되면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여러 현상에 대한 공포감이 생기게 된다.

흔히 귀신, 괴물, 도깨비에 대한 공포가 시작되는 시기가 바로 이 시기이다. 따라서 낮에 겪었던 불안한 일이 꿈으로 재현된다. 잘 자던 아이가 갑자기 운다거나 소리를 지르며 칭얼거리는데 대개 깨어나지 않고 엄마가 다독거리거나 안아 주면 다시 잠이 든다.

아동은 꿈과 현실을 잘 구분하지 못 할 수 있고, 성장 과정에서 악몽에 시달리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악몽들이 지속되고 일상생활에도 영향을 끼치는 것 같다면, 아이를 데리고 병원을 방문하시는 것이 좋다.

어쩌면, 물론 어른들도 마찬가지지만, 현실에서 소화되지 못한 불안과 두려움들이 꿈에서 재현되고 있을 수도 있다. 아무런 이유 없이 악몽을 꿀 수 있지만, 악몽이 반복될 때는 현실에서의 불안의 여부와 악몽증의 여부를 구분해야 할 것이다.

가장 좋은 방법은 찬찬히 상황을 잘 들어보고, 아이와 직접 이야기를 해 보는 방법이다. 깨어난 당시에 혹은 다음날 아침에 어젯밤 무서운 꿈을 꾼 것을 기억하고 있다.

악몽이란 정상 소아에서도 흔히 관찰되며, 모든 연령에서 나타나는 소견으로 대개 수면 후반기에 나타난다. 가꿈 악몽을 꾸는 경우는 보통의 다른 아이에게서도 있을 수 있는 현상이므로, 걱정할 필요는 없다.

만약 계속적으로 매일 밤 악몽에 시달린 탓에 자주 깨서 보챈다면, 아이의 심리적 불안 요인을 찾아 해결해야 하며, 때로는 약물 투여도 요구된다.

김충렬
▲김충렬 박사. ⓒ크리스천투데이 DB
4. 정리

악몽을 자주 꾸는 아이에게 해당되는 부모라면, 전술한 원인을 참고하여 스스로 반성할 필요가 있다. 부모가 올바르게 양육을 한다 해도, 반드시 원인이 될 만한 조건이 얽혀 있기 때문이다. 부모가 자기 자신을 냉정하게 분석해야 개선 가능성이 보인다.

김충렬 박사(한국상담치료연구소장, 전 한일장신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