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음표 소녀 앞으로 참고 중복 요청 문제 응답 작업 중요성 기대 질문 정보 우리 아이 왜 이럴까요 이중성 양면성 궁금 김충렬
분리불안을 보이는 아동이 있다. 부모와 쉽게 떨어지지 못하는 아동이다. 아동은 발달에 따라 적절한 성장이 이뤄져야 하지만, 분리불안을 보이는 아동은 그렇지 못하다.

이런 현상은 아동의 정신의 문제를 노출하는 것이므로 서둘러 개선해 주어야 한다. 이를 방치하면 심각한 정신병으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시각에서 분리불안을 보이는 아동은 얼굴에 불안함이 나타나는 아동, 부모와 떨어지지 않으려는 아동, 그리고 친구와 어울리지 못하는 아동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분리불안을 보이는 아동의 심리적 원인에 대해 다음 몇 가지를 생각해 보자.

1. 부정적인 자극을 많이 받은 결과

분리불안을 보이는 아동은 부정적인 자극을 많이 받은 것으로 보아야 한다. 아동이 부모로부터 부정적인 자극을 많이 받으면 긍정 에너지의 축적에 실패하기 때문이다.

분리불안을 보이는 아동에게 부정적인 자극은 정상적이지 못한 것으로 불안을 발생시키는 원인이다. 물론 이런 경우 정상적이지 않은 불안은 아동의 생각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이다.

분리불안을 보이는 아동은 사회적 상황에서 사람을 불안을 경험한다는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자신의 과거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은 물론 사회적 경험에 대해 “상대가 나를 좋아한다는 것을 보여주지 않는다면, 그 사람은 분명 나를 싫어하는 것이다”, “모두가 나를 좋아하지 않으면, 나는 가치가 없는 존재다”, “나는 언제나 무능하고 부족하다” 등의 잘못된 신념을 발달시킨다.

그들은 또한 사회적 환경을 위험하다고 판단하면, 과거로부터 물려받은 ‘불안체계’가 자동반사적으로 활성화된다. 이것은 불안의 신체적이고 인지적인 증상들인데, 이는 얼굴이 붉어지거나 가슴이 두근거리며 몸이나 목소리에 떨림이 있고 땀이 나며, 주의집중이 잘 안 되고 어떠한 생각도 나지 않는다.

그러면 이런 경우에 분리불안을 보이는 아동은 불안을 줄이고 타인에게 부정적으로 평가받지 않기 위하여 안전행동들을 취해야 한다.

여기에는 주의를 끌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 시선접촉을 피하려 하는 것, 자신이 말하는 것을 검토하는 것, 대화를 하는 도중에 중단을 피하는 것들이 대표적인 안전행동들이다.

2. 긍정 에너지가 낮은 문제

분리불안 증상은 이미 긍정 에너지의 결여, 즉 존재 가치감의 저하를 나타낸다. 아동이 자신의 존재에 대하여 그다지 가치감을 갖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가치감의 저하는 아동으로 하여금 대개 자신의 결핍, 자신이 중요하지 않음, 자신의 의미없음과 직면하게 만든다. 그리고 이러한 가치감의 저하는 사실상 아동에게는 견딜 수 없는 생각에 대한 거부이며, 그것을 보상하려는 시도이기도 하다.

이런 증상은 물론 병리적 현상으로서는 존재의 박탈감과 다르지 않지만, 여기서 박탈은 부모로부터 긍정적인 에너지를 받아서 만들지 못한 박탈감이라는 점이다.

아동이 스스로 자신을 귀한 존재라고 생각할 수 없는 결과이기 때문이다. 이런 아동의 발탈감은 대개 자신이 스스로 행동한 어떤 것 때문이 아니라, 그 자신이 타인에게 가치 없는 존재라고 느껴진 결과인 것이다.

이러한 박탈감에 기초한 존재에의 가치감을 심리학적으로 우리는 ‘열등감’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심리학자들은 아동이 자신을 가치 없는 존재로 여기는 이런 열등감은, 대개 초기 유아기 때 겪은 자기애적 상처로 인한 자기애적 고착에 기초해 있다고 본다.

따라서 이런 존재에의 무가치감이 마음에 걸리므로 다른 아동에 대하여 아무렇지도 않게 그리고 순순하게 활동에 참가하거나, 친구들이 함께 노는 데 낄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아동의 분리불안이 일시적인 경우도 있는데, 신체에 원인이 있는 경우다. 아동은 신체에 아픈 부분이 있을 때 능력에 자신감을 갖지 못하므로, 부모는 혹시 이런 신체와 관련되어 존재의 가치감이 저하되는 경우인지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3. 자존감이 낮은 문제

분리불안을 보이는 아동의 심리적 원인에서 낮은 자존감은 2차 문제이다. 낮은 자존감은 일반적으로 개인의 자율성을 침해함으로 인해 이 낮은 자존감에 따른 낮은 자율성이 아동에게 불안신경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분리불안을 보이는 아동에게 자존감은 실수에 대응하는데 긍정 및 부정으로 작용하게 된다고 보아야 한다. 낮은 자존감은 실수를 견뎌내는 방어력이 약한 반면, 높은 자존감은 실수를 견디어낼 준비를 단단하게 한다.

반면 낮은 자존감의 아동은 어떻게 자신을 방어할까 생각하는 정도가 증가될수록, 강박적인 걱정은 높아질 것이다. 이런 시각은 정신분석론에서 아동에게 자존감이 낮을수록 자아방어 기제가 더 강하게 작용되는 이유로 보는 관점을 견지하기 때문이다.

물론 의학과 심리학에 있어 신경증 유발원인의 연구에도 불구하고, 그 원인을 밝히는 문제는 아직도 어려운 부분이 많다. 이때 부모의 양육과정은 일반적으로 그 원인을 찾는데 매우 유익한 방법으로 인정되고 있다.

부모의 엄격한 통제방식으로 인해 아동의 자존감을 억압하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부모는 아동의 심리를 이해해야 하는데, 아동기는 많은 노력을 통해 자기 유능감을 성취하기 시작하는 때이기 때문이다.

김충렬
▲김충렬 박사. ⓒ크리스천투데이 DB
4. 정리

분리불안을 보이는 아동을 둔 경우에 해당되는 부모라면, 전술한 원인을 참고하여 자신에 대해 반성할 필요가 있다. 부모가 올바르게 양육을 한다 해도 원인이 될 만한 조건이 얽혀 있기 때문이다. 부모가 자신을 냉정하게 분석해야 개선 가능성이 보인다.

김충렬 박사(한국상담치료연구소장, 전 한일장신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