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덕영 박사.
▲조덕영 박사.
사도 바울은 과연 누구였을까? 사도 바울(Paul)만큼 기독교 역사에서 극적이고 독특하고 중요한 인물이 있을까? 그는 도대체 어떤 사람으로 무엇을 배웠으며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었고 그의 외모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출신과 가문은? 그리고 회심 이전에는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다가 부활의 예수를 만난 후 돌연 신앙의 변곡점을 맞았던 것일까? 스스로 성경을 읽을 수 있는 그리스도인 가운데 한번쯤 그에 대한 궁금증이 없는 사람이 있을까?

바울은 길리기아 다소(행 9:11; 21:39; 22:3)에서 로마 시민이었던 부모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성경 속에서 그의 가족에 대해 더 이상 알려진 내용은 거의 없다. 제롬(jerome)은 한 구전을 통해 그의 부모가 원래 기스갈라(Gischala)라고 불린 한 성읍 출신으로 주전 1세기 로마가 팔레스틴을 유린할 때 다소로 도피한 사람들이었다고 했다(Comm. on Philemon, 23). 2세기 문헌은 바울의 외모에 대해 "체구가 작고 양 눈썹이 붙었으며 코가 좀 크고 머리는 벗겨졌으며 다리가 구부정하고 단단한 몸을 가진 은혜가 충만한 사람이었다. 사람처럼 보이면서도 때때로 바울은 천사의 얼굴을 가진 사람으로 보였다."고 묘사하고 있다. 바울이 선한 표정은 가진 평범한 외모의 인물로 로마 시민권을 가진 것으로 보아 평범한 유대인 가정보다는 약간의 기득권을 누린 가정 출신임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그는 초대 교회 집사 중 한 사람이었던 스데반을 돌로 치는 자리에 함께 있던 예수 불신자로 놀랍게도 부활한 예수를 다메섹 도상에서 만났다. 그의 회심이 세상 누구와도 달리 정말 극적이고 독특한 이유다. 이후 그는 예수의 12 제자 출신도 초대 집사 출신도 아닌 사람으로 부활하신 예수로부터 이방인의 사도로 임명되었다. 그런 그가 없었다면 과연 기독교가 지금의 틀을 가진 종교가 될 수 있었을까?

사도 바울은 성경 계시의 저자 40 여명 가운데 가장 많은 성경을 저술한 저자다. 성경 66권 중 최소한 13권이 바울이 쓴 책이다. 예수 불신자요 기독교 핍박자에서 극적으로 부활하신 주님을 대면하면서 교회의 일원에 동참하게 된 인물로 공교회를 굳건히 견고하게 만든 공로자다. 그가 오늘날 기독교가 세계적 종교가 되는 데 있어 최고 공로자 중의 한 사람이라는 것에 이의를 제기할 사람은 아무도 없다.

초대 교부들이 바울 저작들을 연구하고 다룬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루터와 칼빈의 종교개혁 사상도 바울 로마서의 이신칭의(以信稱義)에서 비롯된다. 이후에도 무수히 많은 학자들이 바울 저작들을 언급하고 연구하였다. 헤겔, 불트만, 헤르만 리델포스, F. F. 부르스, 칼 바르트, 그레샴 메이천, 윌리엄 바클레이, 알버트 슈바이처와 같은 다양한 배경의 신학자들이 사도 바울 연구에 매달린 것도 기독교 안에서 사도 바울이 얼마나 중요한 인물인가를 증거하는 그런 연장선상에 있다. 비록 바울의 이신칭의만이 정경성의 표준(principium canonicitatis)은 아니었으나 종교개혁 이후 바울 사상의 요점이 기독교의 중심 교리 안에 자리 잡은 것은 분명하다. 그런데 사도 바울이 가지는 상징성이 구속 신학의 칭의 교리를 중심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바울 연구에 있어 미흡한 부분들이 생겨났다. 바로 창조, 창조주, 창조 세상에 대한 사도 바울의 관심은 주목 대상에서 밀려난 감이 있다. 필자의 관심은 이 부분들을 다루어보려고 한다. 사도 바울은 창조를 어ᄄᅠᇂ게 바라보았으며 자신의 복음에 어떻게 이 창조 신앙을 연결하고 있는가? 즉 사도 바울은 자신의 창조 신학을 어떻게 구속 신학으로 연결하여 기독교 신학을 완성해 간 것인지를 살펴보려 한다.

신약학자 윌리엄 바클레이(William Barclay)는 바울이 예수 그리스도를 어떻게 생각하고 믿었는지를 알아보기 전에 우선 두 가지 기억해야 할 것이 있다고 했다.

첫째 바울은 조직신학자가 아니었다는 점을 지적한다. 바울은 신학을 체계화한 그런 사람이 아니었다. 바울은 사람의 지성이나 지력에 충분한 만족을 줄 어떤 체계나 만드는 일에는 조금도 관심이 없었다. 오직 자신의 경험에 의거한 믿음을 전하여 그들도 믿음으로 말미암아 생명을 얻도록 하기 위해 그 믿음을 말하는 데 관심이 있었다. 그는 그 예수에 대해 말할 때 자기의 부활하신 주님에 대하여 자신이 경험한 것이라고 단순하게 말했다.

둘째, 바울 신앙 안에는 정적(靜的)인 것이 전혀 없었다. 바울은 늘 변동하고 변화하는 인간 경험의 조류에 항상 직면하면서 살았다. 때론 실수도 하고 사색사가들과 이단자들을 응대하고 교회가 제도상 정통교회로 정착하기 이전 시기를 살면서 변화무쌍한 상황과 문제에 대면하고 그리스도의 신비스러운 보고에서부터 새로운 진리, 새로운 보물을 꺼내오는 일을 하였다.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운 위대함과 새로운 풍요로움을 늘 발견하면서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로 소개하려는 의도가 바울에게는 있었다. 텍스트와 컨텍스드에 대한 사도 바울의 구별과 말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너무도 정확했다는 의미다. 이를 바탕으로 바울의 기독론, 칭의론, 구원론, 죄론, 종말론, 교회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다.

문제는 변화하는 세상 속에서 결코 정적이지 않았던 사도 바울이 변화하는 과학 기술 시대를 살아가는 이 시대를 보고는 무어라 말하고 어떻게 복음을 설명하려 했을까하는 점이다. 사도 바울 연구에 있어 주류에서 밀려난 바로 그 부분이다. 조금은 관심을 덜 받는 바로 변화하는 세상 속에서의 창조와 창조주 그리고 작금의 창조 세상에 대한 것이다. 즉 오늘의 인간, 율법, 의식주, 환경(땅) 그리고 과학기술의 발전 속에 있는 세상에 대해 사도 바울의 계시는 어떤 연결 고리를 가질 수 있을까? 우리 시대 그리스도인들의 중요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계속)

조덕영 박사(창조신학연구소 소장, 조직신학, 평택대 신학부 겸임교수)